KR200184571Y1 - 휴대용 화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화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571Y1
KR200184571Y1 KR2019990030208U KR19990030208U KR200184571Y1 KR 200184571 Y1 KR200184571 Y1 KR 200184571Y1 KR 2019990030208 U KR2019990030208 U KR 2019990030208U KR 19990030208 U KR19990030208 U KR 19990030208U KR 200184571 Y1 KR200184571 Y1 KR 200184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board
portable
folding
seating surfaces
me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2019990030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5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5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를 접었단 폈다 하면서 그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화이트 보드는 하나의 판형태로서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지만 휴대하고 다니지는 못하였다. 즉, 화이트 보드는 그 특성상 메모와 메모된 내용의 지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메모의 한계가 발생하는 관계로 휴대를 하여도 별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복수개의 절첩부를 통해 서로 다른 면적으로 구획된 세개의 안착면을 갖는 직물지 형태의 절첩판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절첩판부재에 구획된 세개의 안착면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화이트 보드를 부착 고정시킨 휴대용 화이트 보드를 구성하므로서, 휴대할때는 절첩부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세개의 화이트 보드를 서로 겹쳐지게 접어 휴대하고, 사용할때에는 절첩부를 통해 세개의 화이트 보드를 펼쳐 메모를 보다 많이 할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화이트 보드{WHITE BOARD FOR CARRYING ALONG}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를 접었단 폈다 하면서 그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이트 보드는 하나의 판형태로서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지만 휴대하고 다니지는 못하였다.
즉, 화이트 보드는 그 특성상 메모와 메모된 내용의 지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메모의 한계가 발생하는 관계로 휴대를 하여도 별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절첩부를 통해 서로 다른 면적으로 구획된 세개의 안착면을 갖는 직물지 형태의 절첩판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절첩판부재에 구획된 세개의 안착면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화이트 보드를 부착 고정시킨 휴대용 화이트 보드를 구성하므로서, 휴대할때는 절첩부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세개의 화이트 보드를 서로 겹쳐지게 접어 휴대하고, 사용할때에는 절첩부를 통해 세개의 화이트 보드를 펼쳐 메모를 보다 많이 할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펼침상태를 보인 결합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접힘상태를 보인 결합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펼침상태를 보인 결합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접힘상태를 보인 결합 정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및 제 3 화이트보드(10a)(10c)의 일측단 모서리부위에는 패킹부재(20)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가 부착(예: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 1 내지 제 3 안착면(30a)(30b)(30c)을 형성시킨 절첩판부재(30)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면(30a)(30b)과 제 2 및 제 3 안착면(30b)(30c) 사이에는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의 절첩으로 그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절첩부(40)(40')를 각각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3 화이트보드(10a)(10c)의 일측단 모서리부위에는 패킹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후,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 1 내지 제 3 안착면(30a)(30b)(30c)을 형성시킨 절첩판부재(30)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면(30a)(30b)과 제 2 및 제 3 안착면(30b)(30c) 사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절첩부(40)(40')를 형성시킨다.
이후, 상기 제 1 내지 제 3 안착면(30a)(30b)(30c)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 고정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는 그 휴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부(40)(40')를 통해 제 1 내지 제 3 안착면(30a)(30b)(30c)에 부착 고정된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를 절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는 서로 겹쳐지게 되는 바 그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부(40)(40')를 통해 제 1 내지 제 3 안착면(30a)(30b)(30c)에 부착 고정되면서 절첩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10a)(10b)(10c)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펼치면, 메모의 범위가 보다 넓게 제공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절첩부를 통해 서로 다른 면적으로 구획된 세개의 안착면을 갖는 직물지 형태의 절첩판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절첩판부재에 구획된 세개의 안착면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화이트 보드를 부착 고정시킨 휴대용 화이트 보드를 구성하므로서, 휴대할때는 절첩부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세개의 화이트 보드를 서로 겹쳐지게 접어 휴대하고, 사용할때에는 절첩부를 통해 세개의 화이트 보드를 펼쳐 메모를 보다 많이 할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및 제 3 화이트보드의 일측단 모서리부위에는 패킹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가 부착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 1 내지 제 3 안착면을 형성시킨 절첩판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면과 제 2 및 제 3 안착면 사이에는 제 1 내지 제 3 화이트보드의 절첩으로 그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절첩부를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이트 보드.
KR2019990030208U 1999-12-29 1999-12-29 휴대용 화이트 보드 KR200184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08U KR200184571Y1 (ko) 1999-12-29 1999-12-29 휴대용 화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08U KR200184571Y1 (ko) 1999-12-29 1999-12-29 휴대용 화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571Y1 true KR200184571Y1 (ko) 2000-06-01

Family

ID=1960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208U KR200184571Y1 (ko) 1999-12-29 1999-12-29 휴대용 화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5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13Y1 (ko) * 2012-06-27 2014-05-12 (주)크래들코리아 접이식 자석 학습판
US8766825B2 (en) 2001-09-20 2014-07-01 Yuvee, Inc. Multifunction display-based user interface for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6825B2 (en) 2001-09-20 2014-07-01 Yuvee, Inc. Multifunction display-based user interface for devices
KR200472613Y1 (ko) * 2012-06-27 2014-05-12 (주)크래들코리아 접이식 자석 학습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576Y1 (ko) 접이식 휴대용 책상칸막이
KR960011641A (ko) 펜 컴퓨터
US20030152908A1 (en) Folding writing board
JP2016119384A (ja) 連結部材、及びこの連結部材を備えた折り畳み構造体、並びにこの折り畳み構造体に用いられる分離部材
KR200184571Y1 (ko) 휴대용 화이트 보드
US20080011818A1 (en) Folding type package box for display
US20030136308A1 (en) Foldable desk
JP4221741B2 (ja) 折畳み展開自在なボード状構造物
KR200198312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CN207133717U (zh) 机箱底座
KR200171811Y1 (ko) 서류 홀더
JP2003228293A (ja) 広告体
JP2006035577A (ja) 卓上カードスタンド
USD404760S (en) Notebook binder
JPH0552Y2 (ko)
KR200195546Y1 (ko) 접이식 자
KR0122620Y1 (ko) 접철식 도장
CR6806A (es) Estuche armable de alta estabilidad
KR200348849Y1 (ko) 메모지
JP3089157U (ja) 広告用表示装置
KR200291340Y1 (ko) 앨범
KR200198313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200235393Y1 (ko) 휴대용 첩
KR960005316Y1 (ko) 앨범내지
KR970001620Y1 (ko) 야외용 바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