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230Y1 - 매설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매설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30Y1
KR200184230Y1 KR2019990029651U KR19990029651U KR200184230Y1 KR 200184230 Y1 KR200184230 Y1 KR 200184230Y1 KR 2019990029651 U KR2019990029651 U KR 2019990029651U KR 19990029651 U KR19990029651 U KR 19990029651U KR 200184230 Y1 KR200184230 Y1 KR 200184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ried
buried pipe
pipe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2019990029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설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 매설관 시공시 지하수의 수압이나 지진 또는 외부의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지지하는 매설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매설관의 매설시 지하수의 수압에 쉽게 부유하거나 유동하여 연결부와 같은 취약부가 쉽게 손상 및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종 매설관(30)을 지하에 매설 시공함에 있어서, 상면에 매설관 지지홈(12)을 갖는 중량의 지지물(10)을 구성하여 매설관(30)이 매설되는 지하에 매설하고, 지지물(10)의 매설관 지지홈(12)에 매설관(30)을 안착시킨 후 이를 클램프(14)로 지지물(10)에 고정시킨 후 매립하였다.
이러한 매설관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관은 견고하게 지지됨으로 지하수의 수압에도 안정되게 매설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매설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설관 지지장치{A supporting device of undergraund pipe}
본 고안은 매설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 매설관 시공시 지하수의 수압이나 지진 또는 외부의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매설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는 상,하수를 공급 및 배수시키는 상,하수도관이나, 전기 송전용 케이블 및 통신케이블 등을 매설하는 많은 관로가 매설된다.
매설관은 주로 콘크리트,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요즘은 폐비닐을 이용한 합성수지재의 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매설관의 시공은 관로가 매설될 위치로 땅을 파고 이에 매설관을 연결부재로 연결한 후 매립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시공후 잦은 누수사고가 발생하여 이를 찾아 보수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는 관로가 묻힌 곳에 지하수가 용출되어 그 수압에 의해 매설관이 부유하거나 유동하게 되어 연결부와 같은 취약부가 파손되기 때문이다. 특히 매설관이 합성수지재일 경우에는 내부식성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에 반하여 그 무게가 가벼워 작은 수압에도 쉽게 부유하거나 유동하고 또 지진이나 외부의충격 및 계절의 변화에 따른 지반의 융기 또는 침하작용에 의해 연결부와 같은 취약부가 쉽게 손상 및 파손되는 단점이 있어 자주 유지보수작업이 수반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 그로인한 많은 유지보수비가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매설관을 매설할 때 중량의 지지물을 매설하고 그 위에 매설관을 배관한 후 지지물에 고정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수압이나 지진, 외부의 충격 및 지반의 융기 또는 침하작용에도 안정되게 견고한 매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매설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매설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설관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설관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지지물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물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물 12 - 지지홈 14 - 클램프
20 - 지지물 21 - 지지물 케이스 22 - 매설관 지지홈
24 - 클램프 26 - 개구부 28 - 캡
29 - 충진물 30 - 매설관 32 - 고정구멍
33 - 말뚝 B - 기초볼트 N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매설관 지지장치는
매설관을 지하에 매설 시공함에 있어서,
상면에 매설관 지지홈을 갖는 중량의 지지물을 구성하여 매설관이 매설되는 지하에 매설하고, 지지물의 지지홈에 매설관이 위치하도록 매설관을 배관한 후 매설관의 둘레를 감싸는 클램프를 결합하여 그 양단을 지지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매립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설관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설관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량물로 이루어진 지지물(10)과 이 지지물(10)에 매설관(30)을 고정하는 클램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물(10)은 지하에 매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반드시 보유해야하고 충격이나 하중에서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가진 재질이어야 하며, 시공성이 편리하도록 운반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거푸집만 제공하면 현장에서도 타설 및 양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를 들 수 있다.
지지물(10)의 상부에는 매설관(30)이 배관되는 방향으로 매설관(30)을 안내 및 지지하는 지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홈의 양측에는 기초볼트(B)(앵커볼트)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물(10)에 매설관(30)을 고정시키는 클램프(14)는 길이가 긴 판을 반원형으로 절곡하고 그 양단을 지지물(10)과 평행하도록 절곡시킨 구조로서, 이또한 지하에 매립되는 것이므로 내부식성이 뛰어난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매설관(30) 지지장치는 매설관(30)이 매립되는 라인으로 땅을 일정깊이와 넓이로 개토시킨 다음 매설관(30)을 매립하기전 먼저 지지물(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특히 매설관(30)의 취약부인 연결부를 보호하기 위해 연결부의 양측으로 지지물(10)을 근접 설치하는 것이 좋다. 지지물(10)을 설치할 때에는 특정 제조공장에서 제조된 것을 운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지지물(10)이 설치될 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이에 시멘트와 모래 및 자갈을 물과 함께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서 현장에서 제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지지물(10)이 설치된 후에는 매설관(30)을 지지홈(12)에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클램프(14)를 씌운 다음 그 양단을 지지물(10)에 형성된 기초볼트(B)에 결합하여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흙을 매립하여 완성한다.
이와 같이 매설관(30)을 매립시키면 지하수가 용출하여 매설관(30)에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물(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으로 유동 없이 안전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진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져도 내부관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한편, 지지물의 현장시공성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 3과 같은 구조의 지지물(20)을 가질 수 있다.
즉, 합성수지로 내부가 중공인 통형상의 지지물 케이스(21)를 성형하고, 그 내부에 중량의 충진물(29)을 충진시켜 구성하였다. 충진물(29)은 콘크리트나 모래 또는 자갈, 흙 및 잡석 등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또 상부에는 매설관 지지홈(22)을 포함함과 아울러 충진물(29)을 유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26)와 그 개구부(26)를 닫을 수 있는 캡(28)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지지물 케이스(21)를 시공할 때에는 매설관(30)이 설치될 라인을 일정한 넓이 및 깊이로 개토시킨 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물 케이스(21)를 설치한 후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6)의 캡(28)을 열고 이를 통해 충진물(29)을 충진시킨다음 캡(28)을 닫게 되면 지지물(20)의 설치는 완성된다. 이어서 매설관(30)을 지지홈에 설치한 후 클램프(24)로 지지물(20)에 고정하고 매립시키면 도 4와 같이 매설관(30)의 시공은 간단히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지지물(20)은 지지물 케이스(21)가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므로 별도의 제조공장에서 제조한 후 이를 시공 현장까지 쉽게 운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물 케이스(21)에 충진하거나 또는 주변의 흙이나 자갈 또는 모래와 같은 것을 충진하면 되므로 현장시공성이 좋아 재료비절감 나아가 시공비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가 합성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식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도 5a,5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물 설치상태도로서, 지지물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 지지물(10)(20)의 양측 전후부에 상하로 고정구멍(32)을 형성하여 이를 설치할 때 고정구멍(32)을 통하여 지면에 말뚝(33)을 박아 지지물(10)(20)을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지지물(10)(20)이 지면에 말뚝(33)으로 고정됨에 따라 지지물(10)(20)의 무게와 더불어 말뚝(33)의 고정력이 결합되어 지하수의 수압이나 지진 또는 외부의 충격에 더욱더 견고하게 매설관을 지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매설관을 매설할 때 중량의 지지물을 매설하고 그 위에 매설관을 배관한 후 지지물에 고정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수압에도 안정되게 매설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매설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종 매설관(30)을 지하에 매설 시공함에 있어서,
    상면에 매설관 지지홈(12)을 갖는 중량의 지지물(10)을 구성하여 매설관(30)이 매설되는 지하에 일정간격으로 매설하고, 지지물(10)의 매설관 지지홈(12)에 매설관(30)을 안착시킨 후 이를 클램프(14)로 지지물(10)에 고정시켜 매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은 합성수지로 내부가 중공인 통형상의 지지물 케이스(21)를 성형하고, 그 상부에 매설관 지지홈(22)과 충진물(29)을 유입시키는 개구부(26) 및 개폐 캡(28)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중량의 충진물(29)을 충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10)(20)의 양측 전후부에 상하로 고정구멍(32)을 형성하여 지지물 설치시 고정구멍(32)을 통해 지면에 말뚝(33)을 박아 지지물(10)(2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 지지장치.
KR2019990029651U 1999-12-24 1999-12-24 매설관 지지장치 KR200184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51U KR200184230Y1 (ko) 1999-12-24 1999-12-24 매설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51U KR200184230Y1 (ko) 1999-12-24 1999-12-24 매설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30Y1 true KR200184230Y1 (ko) 2000-06-01

Family

ID=1960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51U KR200184230Y1 (ko) 1999-12-24 1999-12-24 매설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2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0107B2 (en) 2007-02-13 2010-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10131078A1 (en) * 2019-05-22 2021-05-06 Matthew F. Russell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0107B2 (en) 2007-02-13 2010-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10131078A1 (en) * 2019-05-22 2021-05-06 Matthew F. Russell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200184230Y1 (ko) 매설관 지지장치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1485041B1 (ko)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KR101682541B1 (ko) 암거 횡단 관로 매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KR100876150B1 (ko)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JP5314252B2 (ja) 管路の構造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KR20080002652U (ko) 강관주기초대
KR200414315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이음 구조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20080018569A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200325135Y1 (ko) 맨홀
KR200270061Y1 (ko) 매설관 지지구
KR100521009B1 (ko) 연약지반 하수관 침하 방지용 기초 저판 설치구조
KR200462219Y1 (ko) 유속 변환구조를 갖는 매립용 흄관의 시공 구조물
KR100639253B1 (ko) 하수도 침하방지 구조물
KR200212416Y1 (ko) 기성맨홀
KR100546240B1 (ko) 하수관거 침하방지구조
KR100657179B1 (ko) 저수심 상수도관 이음부 고정장치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