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998Y1 -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 Google Patents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998Y1
KR200183998Y1 KR2019990029322U KR19990029322U KR200183998Y1 KR 200183998 Y1 KR200183998 Y1 KR 200183998Y1 KR 2019990029322 U KR2019990029322 U KR 2019990029322U KR 19990029322 U KR19990029322 U KR 19990029322U KR 200183998 Y1 KR200183998 Y1 KR 200183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memo paper
writing instrument
pap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만
Original Assignee
김홍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만 filed Critical 김홍만
Priority to KR201999002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morandum applianc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고안으로서, 필기구에 메모 지를 내장시켜 주변에 메모를 할 수단이 결여된 외부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메모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필기구 본체(1)의 저부에 함체(4)를 일체로 구성하여 두루마리식 메모지 (2)를 내장하고 이를 필기구를 쥔 상태에서 개구부(5)에 노출된 메모지(2)를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서 인출구(3)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메모지 (2)의 이면에는 엷은 접착제층(16)을 형성하여 인출된 메모지(2)가 바닥 면에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메모를 하기 위하여 통화중인 전화기를 내려놓고 두 손을 사용하여 메모지(2)를 인출하고 메모하여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여 거의 한 손만으로 메모지 (2)의 인출과 메모가 가능하도록 편리성을 높이고 있다.

Description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Writing Materials With Memo Paper}
본 고안은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지의 인출및 필기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필기구에 메모 지를 내장시켜 긴급한 경우에 사용하고자하는 발상은 종래부터 이미 존재하여 왔으며 선행고안으로도 상당수가 출원되어 있다.
일례로서 한국 실용신안 공개 제98-65846호, 일본 특허출원 1997-042789호 및 미국 PAT.NO.5158384 를 인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고안들은 메모 지를 필기구의 케이싱내에 삽입하는 방식에 있어 하나의 공통점을 갖고 있다.
첨부 도 1 은 종래의 선행고안들에 있어서 메모 지의 삽입방식및 인출방식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첨부도면과 같이 선행고안들은 메모 지를 주로 필기구의 케이싱과 필심사이의 공간에 필 심을 축방향으로하여 마치 롤 필름이나 두루마리의 형태로 둥글게 말아 넣는 방식을 사용하고 메모 지의 인출은 케이싱의 측면에 인출구를 형성하여 인출하는 방식을 주로 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필기구의 케이싱의 내면과 필심사이의 공간을 활용하므로 메모 지를 내장함으로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케이싱의 지름증가를 최소한으로 하는데는 유효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필기구에 내장된 메모 지를 인출하여 사용하여야하는 상황은 적어도 주변에 메모를 할 수단이 구비되어있는 사무실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사무실이 아닌 외부의 장소에서 긴급히 메모를 해야하는 상황은 주로 전화를 받을 때, 특히 최근에는 급격히 보급되는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때라고 할 수 있다. 지금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가 사무실이 아닌 환경에서 선행고안의 방식, 일례로 도 1 에 나타낸 필기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가정하여 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통화 상대자가 알려주는 정보를 필기구에 내장된 메모지로 메모를 하려고 하면 우선 통화중인 휴대용 전화기를 내려놓거나 아니면 어깨에 올려놓고 뺨으로 누른 상태에서 한 손으로 필기구를 잡고 다른 손으로 메모 지를 인출한 후 인출된 메모 지를 한 손으로 누르면서 다른 손으로 메모지위에 필기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모지를 필기구에서 인출하고 인출된 메모 지 위에 필기를 하는 과정에서 두 손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선 한 손으로는 필기구에 내장된 메모지를 인출할 수 없다는것과, 다음으로 메모 지를 사용하는 환경이 사무실이 아니므로 주변에 적절한 받침 판이 없어 대리석의 벽면이나 바닥, 식탁면, 유리면 등의 주변의 평탄한 대상물 (이하'받침면'으로 칭한다.)에 메모 지를 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받침 면은 너무 매끄럽고 단단한 재질인 경우가 많아 받침 면과 여기에 놓여지는 메모지간의 마찰력이 적어 메모지가 필기동작에따라 움직이게되는 경우로서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 지는 필기구의 케이싱내에 장기간 둥글게 감기어진 상태로 보존되었던 관계로 이 메모 지를 인출하여도 인출된 메모지가 둥글게 말려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안정된 필기를 위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휴대용 전화기로 계속 통화를 해야하는 사용자에게는 몹시 불편한 것이다. 메모에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전화기를 계속 어깨 위에 얹어놓고 통화를 하던가, 아니면 휴대폰을 든 손으로 메모 지를 눌렀다가 다시 귀에 밀착시키는 동작을 반복 하여야한다.
종래의 선행고안은 이러한 문제, 즉 사용자의 불편을 완전히 해소시키지 못하고있으며 그러한 문제가 메모 지를 내장한 필기구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이유중의 하나가 되었다고 본다.
본 고안은 상기에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단지 한 손으로 필기구를 주변의 받침 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서 메모 지를 인출하고, 인출된 메모 지는 인출과 동시에 바닥 면에 접착되도록 하여 메모지가 마찰력의 부족으로 필기 시에 움직이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사용자가 메모 지를 용이하게 인출하고 인출된 메모지위에 한 손만으로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실시예에 메모 지를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상태에서 메모 지를 인출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좌측면도.
도 7 은 도 5 의 A-A' 단면도.
도 8 은 도 7 에서 함체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9 는 도 8 의 상태에서 메모 지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0 은 도 8 의 구성에 압압 로울러를 부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1 은 도 8 의 구성에 삽입구를 부가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3 은 도 12 의 구성에 압압 로울러를 부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4 는 메모 지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는 도 13 의 메모 지의 B-B'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 본체 2 : 메모지 2a : 메모지-a
2b : 메모지-b 3 : 인출구 3a : 인출구-a
3b : 인출구-b 4 : 함 체 5 : 개구부
5a : 개구부-a 5b : 개구부-b 6 : 인출 로울러
7 : 메모지 삽입구 7a : 메모지 삽입구-a 7b : 메모지 삽입구-b
8 : 고정축-a 9 : 손 10 : 고정축-b
11 : 원통체 12 : 고정축-c 13 : 압압 로울러
13a : 압압 로울러-a 13b : 압압 로울러-b 14 : 인출구 바닥면
14a : 인출구 바닥면-a 14b : 인출구 바닥면-b 15 : 인출통로
15a : 인출통로-a 15b : 인출통로-b 16 : 접착제 층
17 : 필촉 18 : 전단부 19 : 삽입구
상기한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한다.
도 1 은 종래의 선행고안에서 메모지(2)를 내장하는 방향과 인출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방식에서는 메모지(2)를 주로 필기구 본체(1)의 측단에 형성된 인출구(3)를 통하여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에 지적한바와 같이 메모지(2)의 인출에 두 손을 사용해야 하고 메모지(2)에 접착성도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인출된 메모지(2)를 안정된 상태로사용하기도 어렵다.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필기구 본체(1)의 저부에 메모지 삽입구(7)와 개구부(5)를 형성한 함체(4)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 2 부터는 필기구 본체(1)를 필촉(17)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세워놓은 형태로 나타내고 있는데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함체(4)가 형성된 방향을 필기구 본체(1)의 저부로 본다. 도 2 의 상태는 메모지 삽입구(7)에 아직 메모지(2)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서 메모지 삽입구(7)의 내측 중심부에는 일 측이 함체(4)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 고정축-a(8)가 있다. 또한 함체(4)의 타측면에는 함체(4)의 일부를 개방시킨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 (5)에는 함체(4)에 내장된 메모지(2)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로울러(이하 '인출 로울러'(6)로 칭한다.)의 일부가 노출된다.
도 3 은 도 2 의 상태에서 메모지 삽입구(7)에 메모지(2)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메모지 삽입구(7)에 삽입되는 메모지(2)는 도 14 에 나타낸바와 같이 원통형의 속이 빈 중심체(이하'원통체'(11)라 칭한다.)를 중심축으로 하여 두루마리 형태로 둥글게 감아놓은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두루마리 형태의 메모지(2)를 메모지 삽입구(7)에 삽입할 때 원통체(11)의 속이 빈 공간에 메모지 삽입구(7)의 중심부에 형성되어있는 고정축-a(8)가 끼워짐으로서 두루마리 형태의 메모지(2)가 메모지 삽입구(7)에 삽입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메모지(2)의 특징은 메모지(2)의 일면이 접착성을 갖는 것이다.
도 15 는 도 14 의 B-B′단면도로서 메모지(2)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림과 같이 메모지(2)의 한쪽 면에는 엷은 접착제층(16)을 형성하여 메모지(2)가 접착력을 갖도록 한다. 이때 접착제 층(16)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적절한 접착강도의 제품을 선택하여 메모지(2)가 접착되는 대상물에서 쉽사리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메모지(2)에서 접착제층(16)이 형성된 면을 메모 지의 이면으로 보며 접착 면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 4 와 같이 메모지 삽입구(7)에 삽입된 두루마리 형태의 메모지(2)의 외측 끝단은 개구부(5)에서 인출 로울러(6)를 감싸는 형태로 접촉하며 함체(4)의 저부에 있는 인출구(3)를 경유하여 그림과 같이 바닥면에 인출된다. 메모지(2)가 메모지 삽입구 (7) 에서 인출구(3)까지 경유하는 과정은 도 8 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개구부(5)가 정면으로 나타나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개구부(5)가 형성된 면을 본 고안의 필기구 본체(1)의 정면으로 간주한다. 그림에는 개구부(5)를 통하여 함체(4)내측에 설치되어있는 인출 로울러(6)가 노출됨을 보여주고 있다.
개구부(5)는 함체(4)의 일방을 개방하여 구성된 것으로 내부의 인출 로울러(6)의 외측을 지나는 메모지(2)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6 은 좌측면도로서 메모지 삽입구(7)와 중심부의 고정축-a(8)가 나타나 있다.
도 7 은 도 5 의 A-A' 단면도로서 인출 로울러(6)와 인출구(3)가 나타나 있다.
도 8 은 도 7 의 단면도에서 함체(4)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구성도로서 메모지 삽입구(7)에 메모지(2)가 삽입된 도 3 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메모지(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4 와 같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둔 메모지(2)를 메모지 삽입구(7)에 삽입하여 내장시키고 삽입된 메모지(2)의 끝단을 당겨 우선 개구부(5)로 인출한 다음 인출 로울러(6)의 외측의 일면과 접촉시키면서 다시 함체(4)의 저부에 있는 인출구(3)로 향하도록 인출통로(15)에 삽입한다. 이렇게 메모지(2)의 끝단을 인출구(3)의 내측인 인출통로(15)에 도달시켜두면 메모지(2)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는 완료된 것이다. 메모지(2)의 끝단은 인출구(3)의 내측인 인출통로(15)의 내부에서 사용을 위하여 대기상태로 있게되며 인출구(3)의 외부로까지 인출하여 메모지(2)를 노출시키지는 않는다. 이 상태에서 개구부(5)에는 항시 메모지(2)가 노출되어있게 되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개구부(5)로 메모지 (2)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지 삽입구(7)에 내장된 메모지(2)가 지정된 경로를 통하여 인출통로(15)에 도달된 상태에서 메모지(2)는 인출 로울러(6)와 접촉을 유지하게 되는데 인출 로울러(6)와 접촉되는 면이 접착제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이 되도록 메모지(2)를 두루마리 형태로 형성할 때 부터 접착 면의 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있는 메모지(2)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과 같이 사용자는 필기구 본체(1)를 함체(4)의 인출구(3)가 아래로 향하도록 잡은 상태에서 손(9)으로 개구부(5)에 노출된 메모지(2)를 아래로 밀어낸다.
개구부(5)의 위치에서 메모지(2)의 이면 즉 접착면이 인출 로울러(6)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개구부(5)를 통하여 메모지(2)를 아래로 누르면 메모지(2)가 인출통로 (15)의 방향으로 밀려 내려가면서 메모지(2)와 접착된 인출 로울러(6)도 메모지(2)의 이동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 인출 로울러(6)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이 된다. 인출 로울러(6)는 함체(4)에 일측이 고정된 고정축-b(10)에 끼워져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인출 로울러(6)가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은 인출되는 메모지(2)와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인출 로울러(6)와 개구부(5)는 본 고안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본 고안에서 함체 (4)에 개구부(5)를 형성하여 메모지(2)를 상시 노출시켜두는 이유는 사용자가 필요시에 개구부(5)에 노출된 메모지(2)를 손으로 누름으로서 메모지(2)를 용이하게 인출구(3)로 인출시키려는 것인데 인출 로울러(6)는 개구부(5)에서 노출된 상태인 메모지(2)를 상시 받쳐줌으로서 개구부(5)에서 노출된 메모지(2)의 위치를 안정시켜주는데 목적이 있다. 그런데 메모지(2)를 받쳐주는 구성체가 로울러 형태가 아니고 고정된 형태라면 메모지(2)가 인출통로(15)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메모지(2)의 접착 면과 마찰저항을 발생하여 메모지(2)의 이동을 방해하게된다. 그러므로 개구부(5)에서 메모지(3)를 받쳐주는 구성체를 로울러형태로 구성하여 메모지(2)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메모지(2)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고 메모지(2)가 인출구(3)로 진행하면 메모지(2)의 진행방향으로 함께 회전케 함으로서 메모지(2)에 마찰저항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인출 로울러(6)와 접촉되는 메모지(2)의 이면이 접착제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이라고는 하나 실제 접착력은 강하지 못하므로 메모지(2)는 적절한 위치에서 인출 로울러(6)와 분리되어 인출구(3)로 향하게 된다. 여기에서 적절한 위치란 인출구(3)로 향하는 인출통로(15)의 입구를 의미한다. 실제 메모지(2)의 접착강도는 개구부 (5)를 통하여 누르는 손의 압력에 의해서 인출 로울러(6)와 접착력을 유지하는 정도로서 메모지(2)가 손의 압력을 받지 않는 위치로 밀려 내려온 상태에서는 메모지 (2)는 인출 로울러(6)와 더 이상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메모지 (2)가 인출구(3)로 인출되지 않고 인출 로울러(6)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손(9)으로 밀어낸 메모지(2)가 인출구(3)를 통하여 외부로 도 8 과 같이 약간 인출되면 인출된 메모지(2)를 주변의 식탁면, 유리창, 대리석판 등의 평탄한 대상물(이하 '바닥면'으로 칭한다.)에 메모지(2)의 접착제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이 바닥 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출구(3)주위의 평탄한 면(이하'인출구 바닥면' (14)으로 칭한다.)으로 눌러줌으로서 인출된 메모지(2)가 바닥 면에 접착되도록 한다.
도 9 는 인출구(3)에서 인출된 메모지(2)를 접착제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이 바닥 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출구(3)주위의 인출구 바닥면(14)으로 눌러줌으로서 인출된 메모지(2)가 바닥 면에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메모지(2)를 바닥 면에 눌러주는 부분은 그림에서와 같이 인출구(3)가 형성된 바닥 면의 오른쪽 인출구 바닥면(14)이다. 인출구(3)의 어느쪽 바닥 면이 인출된 메모지(2)를 눌러주게되는가는 메모지(2)의 접착 면이 어느 쪽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도 9 의 실시 예에서는 메모지(2)의 접착 면은 인출 로울러(6)와 접촉되는 면이므로 오른쪽 인출구 바닥면 (14)으로 메모지(2)를 눌러야 메모지(2)의 접착 면이 바닥 면에 접착된다. 인출된 메모지(2)를 인출구 바닥면(14)으로 누름으로서 메모지(2)의 끝단이 바닥 면에 접착되면 인출구 바닥면(14)으로 계속 인출된 메모지(2)를 눌러주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기구 본체(1)를 메모지 삽입구(7)에 내장된 메모지(2)가 풀려 나오는 방향, 즉 그림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미 인출된 메모지(2)는 바닥 면에 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필기구 본체(1)는 좌측으로 진행하므로 결국 메모지 삽입구(2)에 내장된 두루마리 형태의 메모지(2)가 풀려 나오며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인출구(3)로 인출되면서 동시에 인출구 바닥면(14)이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바닥 면에 접착되는 것이다. 이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 도 4 의 상태로서 필기구 본체(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림과 같이 메모지(2)가 인출되어 나오면서 바닥 면에 접착되는 것이다. 인출구(3)의 주변에 형성되는 인출구 바닥면(14)은 함체(4)의 저부에 인출구(3)를 형성하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메모지 삽입구(7)의 메모지(2)가 풀려 나오며 인출구(3)로 향하는 과정에서 메모지 (2)는 메모지(2)와 접촉되는 인출 로울러(6)를 계속 회전시키며 이동하는데 인출 로울러 (6)가 인출되는 메모지(2)와 함께 회전하므로 인출되는 메모지(2)와 접촉되어 있으면서도 마찰력이 적어 메모지(2)를 순조롭게 인출시킨다. 만일 메모지 삽입구(7)에 내장된 메모지(2)가 인출구(3)로 풀려 나오는 경로에서 메모지(2)와의 마찰력이 큰 부분이 있으면 메모지(2)가 인출구(3)로 순조롭게 인출되지를 못하여 사용자가 필기구 본체(1)를 메모지 삽입구(7)에 내장된 메모지(2)가 풀려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그만큼 힘을 더 가하게 되고 필기구 본체(1)에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면 바닥 면에 접착되었던 메모지(2)가 바닥 면에서 이탈되어 이동하는 필기구 본체(1)에 끌려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함체(4)내의 메모지(2)인출경로에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메모지(2)가 인출되었으면 이제 필기구 본체(1)의 이동을 멈추고, 개구부(5)를 지나는 메모지(2)를 손으로 눌러 메모지(2)가 더이상 인출구 (3)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고 도 4 와 같이 필기구 본체(1)를 화살표 B 나 C 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인출된 메모지(2)를 비틀어준다. 이때 이미 인출된 메모지(2)는 바닥 면에 접착되어 고정되어있고 함체(4)내의 메모지(2)는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도록 개구부(5)에서 손으로 눌려있는 상태이므로 필기구 본체(1)를 회전시켜 인출되던 메모지(2)를 비틀면 메모지(2)는 가장 취약한 부분에서 절단될 것인데 이 상태에서 메모지(2)의 가장 취약한 부분은 인출구(3)의 끝단으로 이 위치에서 메모지(2)는 절단된다.
메모지(2)가 인출구(3)의 끝단에서 절단되는 이유는 도 9 과 같이 함체(4)내의 메모지 삽입구(7)에서 인출구(3)로 거의 수직으로 내려오던 메모지(2)가 인출구(3)의 끝단에서 인출되면서 바닥 면의 방향으로 거의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게 되므로 도 4 와 같이 필기구 본체(1)를 회전시켜 인출되는 메모지(2)를 비틀 때 이 부분에서 메모지(2)가 가장 큰 힘을 받기 때문이다. 인출구(3)에서 절단된 메모지(2)의 끝단은 인출통로(15)의 내측에 위치하여 다음 사용을 기다리게 된다. 이제 사용자는 필기구 본체(1)를 필촉(17)이 아래로 향하도록 바로 세워 바닥 면에 접착된 메모지 (2)에 필요한 사항을 필기하면 되는 것이다.
이로서 본 고안의 메모지(2)가 내장된 필기구의 기본 구성과 사용법을 설명하였다.
간략히 정리하면 일면에 접착제 층(16)이 형성된 메모지(2)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메모지 삽입구(7)에 내장한 후 메모지(2)의 외측 끝단을 개구부(5)와 인출 로울러(6)를 경유하여 인출통로(15)의 내측에 삽입하여 두고, 사용 시에는 개구부(5)를 통하여 노출되어있는 메모지(2)를 손(9)으로 아래로 밀어 메모지(2)가 인출구(3)로 소량 인출되게 한 다음 인출된 메모지(2)를 접착제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을 바닥 면으로 향하게 하여 인출구 바닥면(14)으로 눌러주어 인출된 메모지(2)를 바닥 면에 접착시킨 후 인출구 바닥면(14)이 계속 메모지(2)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기구 본체(1)를 메모지(2)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메모지 삽입구(7)에 두루마리 형상으로 감기어져 내장된 메모지(2)가 풀려 나오면서 동시에 인출구 바닥면(14)의 압력으로 바닥 면에 연속적으로 접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메모지(2)가 인출되면 필기구 본체(1)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시켜 메모지(2)를 틀어줌으로서 메모지(2)가 가장 힘을 받게되는 인출구 (3)에서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0 은 상기에 설명한 도 8 의 구성에 압압 로울러(13)를 부가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8 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메모지(2)가 인출되면서 가장 큰 마찰저항을 받는 위치는 인출구(3)이다.이는 상기 설명한바와 같이 인출구 (3)의 위치에서 인출되는 메모지(2)의 방향이 급격히 변하는데 도 9 와 같이 인출되는 메모지(2)가 인출구 바닥면(14)을 형성하는 우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방향을 바꾸어 인출되므로 메모지(2)와 인출구(3)의 우측면사이에서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것이다. 만일 인출구(3)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이 크면 필기구 본체(1)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함체(4)내의 메모지(2)는 순조롭게 인출이 되지 않고 오히려 인출되어 바닥 면에 부착되던 메모지(2)가 이동하는 필기구 본체(1)의 힘을 받아 바닥 면에서 분리되어버릴 염려가 있다. 이러한 인출구 (3)에서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출구 바닥면(14)의 위치에 인출된 메모지(2)를 바닥 면에 눌러주는 로울러(이하 '압압 로울러'(13)로 칭한다.)를 설치하여 인출구 바닥면(14)의 용도를 대신하게 함으로서 인출되는 메모지(2)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주는 것이다. 압압 로울러(13)는 함체(4)에 일측이 고정된 고정축-c(12)에 끼워져 회전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압압 로울러(13)를 인출구 바닥면(14)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메모지(2)의 절단위치가 크게 변경되지는 않는다. 이는 메모지(2)가 인출되면서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가 여전히 인출구(3)이기 때문인데 정확히하면 인출구(3)의 끝단이되는 압압 로울러(13)와 메모지(2)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메모지(2)는 절단된다.
도 11 은 도 8 의 실시 예에 삽입구(19)를 부가하여 형성한 실시 예이다. 필기구 본체(1)의 일 측에 함체(4)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본 고안이 구성되는 것인바 도 7 의 단면도에는 함체(4)가 필기구 본체(1)와 연결되는 방식이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나있다. 이 그림에서는 함체(4)가 필기구 본체(1)와 연결되어야 할 부분을 필기구 본체(1)의 내측 지름보다 좁은 형태로 돌출시켜 형성하여 필기구 본체(1)의 내측에 끼워 넣음으로서 함체(4)와 필기구 본체(1)를 연결하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방식은 공지의 방식으로서 다만 하나의 사례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메모지(2)를 내장하는 함체(4)를 필기구 본체(1)에 부가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의 하나는 도 2 와 같이 함체(4)가 필기구의 저부에 형성됨으로서 필기구의 뚜껑을 끼워둘 위치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서 함체(4)를 필기구 본체(1)의 일측에 고정시키지 않고 함체(4)의 일측에 도 11 과 같이 삽입구(19)를 형성하여 이 삽입구(19)에 도 2 에서 나타낸 필촉(17)이 위치하는 필기구의 앞부분(이하 '전단부'(18)로 칭한다.)을 삽입하고 필기구를 사용 시에는 이를 분리하여 필기구의 후단 부를 삽입구(19)삽입함으로서 항시 필기구와 일체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함체(4)에 필기구 뚜껑의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필기구 본체 (1)의 일 측에 함체(4)가 형성됨으로서 필기구를 사용 시에 필기구 뚜껑을 끼워둘 위치가 없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2 는 도 8 에 나타낸 구성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8 의 실시 예에서 또 하나의 문제는 메모지(2)의 교체에 대한 문제이다.
도 8 에서 메모지 삽입구(7)에 삽입되는 두루마리 형태의 메모지(2)는 길이에 한계가 있다. 메모지(2)를 원통체(11)에 많이 감을수록 두루마리형태의 지름이 증가하므로 함체(4)의 크기에 부담을 주게된다. 그러므로 메모지(2)를 충분히 길게 감아서 사용하기는 어렵고 메모지 삽입구(7)에 내장된 메모지(2)를 모두 소모하게되면 즉시 준비된 다음 메모지(2)를 삽입시켜야한다. 물론 함체(4)내에 예비 메모지(2)를 내장하는 공간을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예비 메모지(2)를 내장한다고 하여 교체의 횟수까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메모지(2)를 빈번히 교체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일이므로 가급적 메모지(2)를 교체하는 기간을 연장시킬 수단이 요구된다. 도 12 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8 에 나타낸 방식에 비하여 메모지(2)의 교체기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이는 두루마리식 메모지(2)를 두개를 내장하여 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케 함으로서 가능한 것이다.
도 12 에서는 두개의 메모지 삽입구(7a),(7b)에 각기 1개의 두루마리 형태의 메모지(2a),(2b)가 내장된다. 인출 로울러(6)는 도 8 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하나만을 사용하나 인출 로울러(6)가 노출되는 개구부(5a),(5b)는 그림에서 인출 로울러(6)의 좌, 우측으로 2개가 형성되며 인출구(3a),(3b)도 2개가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메모지(2a),(2b)를 사용하려면 도 8 의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같이 우선 메모지 삽입구(7a),(7b)에 삽입된 메모지(2a),(2b)의 외측 끝단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인출구(3a),(3b)의 내측까지 삽입하여 놓아야한다. 우선 메모지-a(2a)의 끝단을 개구부-a(5a)로 인출한 다음 인출 로울러(6)와 접촉시키면서 인출통로-a (15a)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메모지-b(2b)는 개구부-b(5b)로 인출한 다음 인출 로울러(6)와 접촉시키면서 인출통로-b(15b)에 삽입함으로서 사용을 위한 준비는 완료된다. 이제 사용자가 메모지-a(2a)를 사용하려면 개구부-a(5-a)에서 노출된 메모지 -a(2a)를 아래로 누른다. 그러면 메모지-a(2a)는 인출구-a(3a)로 인출되면서 인출 로울러(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인출구-a(3a)로 인출된 메모지-a(2a)를 이미 설명한바와 같이 접착제 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이 바닥 면에 접착되도록 인출구 바닥면-a(14a)로 인출된 메모지-a(2a)를 누르며 필기구 본체(1)를 그림에서 좌측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메모지 삽입구-a(7a)에 내장된 메모지-a(2a)가 계속 풀려서 인출되어 나오면서 인출구 바닥면-a(14a)의 압력으로 바닥 면에 연속적으로 접착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메모지-b(2b)를 사용하고자 하면 개구부-b(5b)에 노출된 메모지-b(2b)를 아래로 누르면 메모지-b(2b)가 인출구-b(3b)로 인출되면서 인출 로울러 (6)를 시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인출구-b(3b)로 메모지-b(2b)가 인출되면 이를 메모지-b(2b)의 접착제 층(16)이 형성된 접착 면이 바닥 면에 접착되는 방향으로 인출구 바닥면-b(14b)로 눌러 메모지-b(2b)를 바닥 면에 접착시키며 필기구 본체(1)를 그림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메모지 삽입구-b(7b)에 내장된 메모지-b (2b)가 인출구-b(3b)로 풀려 나오며 인출구 바닥면-b(14b)의 압력으로 연속적으로 바닥 면에 접착된다.
메모지-a(2a)나 메모지-b(2b)가 충분히 인출된 경우에 이를 절단하는 방식은 도 8 의 실시 예에 나타내어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여 필기구 본체(1)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메모지(2a),(2b)는 가장 힘을 받게되는 인출구(3a),(3b)의 위치에서 절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실시 예에 비하여 더 많은 메모지(2a),(2b)를 사용토록 하여 메모 지의 교체시기를 연장하는 효과를 얻게된다. 이 방식은 더 많은 량의 메모 지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게 할 뿐아니라 메모지-a(2a)와 메모지-b(2b)의 색상을 다르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 의 구성에서 메모지-a(2a)를 사용하는 경우와 메모지-b(2b)를 인출하는 경우에 인출 로울러(6)의 회전방향은 반대가 된다. 따라서 메모지-a(2a)가 인출구-a (3a)로 인출되며 인출 로울러(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구부-b(5b)의 위치에서 인출 로울러(6)에 접착되어있던 메모지-b(2b)는 인출 로울러(6)의 회전을 따라 메모지 삽입구-b(7b)의 방향으로 역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인출 로울러(6)와 메모지-b(2b)의 접착력이 강하지 못하므로 메모지-b(2b)가 약간 역진을 하면 메모지-b(2b)와 인출로울러(6)의 접착상태가 분리되어 메모지-b(2b)는 인출통로-b (15b)의 내부에서 약간 역진한 상태에서 멈추어지고 인출 로울러(6)만이 회전하게된다. 마찬가지로 메모지-b(2b)가 인출되면서 인출 로울러(6)를 시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메모지-a(2a)는 인출통로-a(15a)내부에서 약간 역진된 상태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13 은 도 12 의 실시예의 구성에 압압 로울러(13a),(13b)를 부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의 실시예의 압압 로울러(13)의 설명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함체(4)에서 인출되는 메모지(2a),(2b)는 인출구(3a),(3b)의 위치에서 진행방향이 거의 직각으로 변경되므로 인출구 (3a),(3b)의 위치에서 가장 큰 마찰저항을 받게되는데 인출구(3a),(3b)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출구 바닥면(14a),(14b)의 위치에 인출되는 메모지(2)를 눌러주는 압압 로울러(13a), (13b)를 설치하여 인출되는 메모지(2a),(2b)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인출된 메모 지를 절단하는 방식은 도 12 의 설명과 동일하며 이 경우에도 함체 (4)내에서 인출되는 메모지(2a),(2b)는 압압 로울러(13a),(13b)의 위치에서 인출방향이 거의 직각으로 변경되므로 도 4 와 같이 필기구 본체(1)를 정지한 상태에서 B 방향 또는 C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메모지(2a),(2b)는 압압 로울러(13a),(13b)의 위치에서 가장 큰 힘을 받아 절단된다.
이로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마치기로 한다. 바닥 면에 접착된 메모지 (2)는 불필요해지면 떼어내는데 메모지(2)의 접착제층(16)의 접착제의 특성을 접착력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채택하는 이유의 하나는 메모지(2)를 다시 떼어내기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다만 메모 지의 접착력이 너무 약하면 필기구 본체(1)를 이동시키며 메모지(2)를 인출하여 바닥 면에 접착시킬 때 제대로 접착되지 않고 이동하는 필기구 본체(1)에 끌려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필기구는 상기한바와 같이 긴급한 메모 시에 극히 효과적인 메모 지의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사무실이 아닌 장소에서 정보를 메모하는데 유효하다. 즉 본 고안은 별도의 메모지 나 수첩이 필요하지 않고, 주변에 바닥 면만 있으면 즉시 메모 지를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으며, 사용자가 거의 한 손만으로 메모지를 인출하고 필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한 손으로 전화를 받아야하는 상황에서 편리한 고안이다.

Claims (8)

  1. 메모 지를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기구 본체(1)의 저부에는 일 측으로 인출구(3)가 형성되고 일방에는 개구부(5)와 메모지 삽입구(7)를 형성한 길이방향의 함체(4)를 일체로 구성하여, 두루마리식 메모지(2)를 내장하고 그 저부에는 인출 로울러(6)와 인출통로(15)를 순차적으로 구성하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지(2)의 이면에는 엷은 접착제층(16)을 형성하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출구(3)에는 압압 로울러(1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출구(3)를 2 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5. 제 1 항에서 개구부(5)를 2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6. 제 1 항에서 함체(4)는 필기구 본체(1)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삽입구(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7. 제 1 항에서 메모지 삽입구(7)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두루마리식 메모지(2)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8. 제 4 항에 있어서 2 개의 인출구(3a),(3b)에는 각기 1개의 압압 로울러(13a), (13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KR2019990029322U 1999-12-23 1999-12-23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KR200183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322U KR200183998Y1 (ko) 1999-12-23 1999-12-23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322U KR200183998Y1 (ko) 1999-12-23 1999-12-23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998Y1 true KR200183998Y1 (ko) 2000-06-01

Family

ID=1960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322U KR200183998Y1 (ko) 1999-12-23 1999-12-23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9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3215A1 (en) Telescopic toilet paper holder
EP2442211B2 (en)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having a deformable elastic fixing device
KR200183998Y1 (ko)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TW580460B (en) Mark transfer tool and mark transfer tape
US7497636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paper source dispensable under a source of power
US2004025137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aper from a paper roll
KR20150116704A (ko) 조립식 수납부를 구비한 탁상달력
US4396455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 adhesive tape to an article
JP6887553B1 (ja) ロール付箋紙ディスペンサー
KR200308090Y1 (ko) 메모지가 구비된 볼펜
WO2006028526A1 (en) Note pen
JP6812026B1 (ja) ロール紙ホルダ
CN214189116U (zh) 一种文具收纳盒
WO2007083317A1 (en) Organizer message board
CN211959234U (zh) 一种即时会议系统
CN212558599U (zh) 一种双面胶胶带卷筒
CN219822367U (zh) 便于收纳的贴纸带卷筒
CN214240096U (zh) 印字麦拉带
CN210854658U (zh) 一种医院专用日期标签
JP3496452B2 (ja) 製本装置
JPH0551852U (ja) 両面粘着テープホルダー
CN200960802Y (zh) 拉纸式门票广告笔
KR200201978Y1 (ko)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WO2002044294A3 (en) Anti-telescoping adhesive tape product
JPH1178365A (ja) ロール状メモ用紙付き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