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94Y1 -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 Google Patents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894Y1
KR200183894Y1 KR2019980001879U KR19980001879U KR200183894Y1 KR 200183894 Y1 KR200183894 Y1 KR 200183894Y1 KR 2019980001879 U KR2019980001879 U KR 2019980001879U KR 19980001879 U KR19980001879 U KR 19980001879U KR 200183894 Y1 KR200183894 Y1 KR 200183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horizontal frame
vertical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125U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19980001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8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무연고(無緣故) 납골함을 안치하는 안치단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간편한 작업성과 외관미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본 고안은, 수직골조(2,2')와 수평골조(7)를 격자(格子)상으로 연결하고 다층으로 안치판(15)을 결합하는 통상의 납골함 안치단의 구성에 있어서,
접합부(3)가 서로 연접되어 하나로 결합되며 일측 개구(4)에는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장식부재(6)가 결합되는 수직골조(2,2')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골조(2,2')의 접합부(3)측에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며 양측면에 측면부재(9,9')가 착탈결합되는 수평골조(7)와, 끼움홈(12)이 상호 내향으로 대응 위치되게 전후의 수직골조(2,2')상에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는 연결골조(11)와, 상기 연결골조(11)의 끼움홈(12)에 부합되는 끼움홈(14,14')이 길이방향 양측으로 형성되어 수평골조(7)의 측면부재(9,9')에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는 지지골조(13)와, 상기 연결골조(11)와 수평골조(7)의 각 끼움홈(12,14,14')에 끼움결합되는 안치판(15)과, 상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몰드(18)와 천장몰드(19)로 구성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본 고안은 납골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로 무연고(無緣故) 납골함을 안치하는 안치단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간편한 작업성과 외관미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당 등에 배치되는 납골함 안치단은 통상의 사물함과 같이 수납함을 격자(格子)상으로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 납골함이나 납골단지 등을 안치하는 선반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납골 안치단은 연고자가 있는 경우의 납골함과 무연고 납골함을 안치, 보관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바, 본 고안은 전술한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과 주로 관련되는 것이다.
종래 납골함 안치단의 경우는 안치단을 구성하는 각 골조간의 결합관계가 상당히 복잡하여 이의 조립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조립볼트 등의 조립수단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그 외관미가 불량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간이한 조립구조로서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도모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치단의 조립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볼트의 등의 조립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이의 노출로 외관미가 손상되는 단점을 해소하여 우수한 고품위의 외관미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납골함 안치단으로서 미려한 외관미와 조립작업의 간편성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4, 5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안치단 2,2';수직골조
3;접합부 4;개구
5;걸림턱 6;장식부재
7;수평골조 8;걸림홈
9,9';측면부재 10;걸림편
11;연결골조 12;끼움홈
13;지지골조 14,14';끼움홈
15;안치판 16;조립볼트
17;나사조립공 18;받침몰드
19;천정몰드 20;납골함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수직골조2,2'와 수평골조7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수직골조2,2' 및 수평골조7에는 연결골조11와 지지골조13를 결합하여 상기 각 연결골조11와 지지골조13간에 안치판15을 결합함으로서 다층의 안치단1을 제작토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골조2,2'는 좌우로 대칭 분할되는 2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일측 개구4측에는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장식부재6가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골조2,2'는 전후 및 좌우로 배치되어 이들 전후 수직골조2,2'간에 수평골조7를 연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수평골조7는 수직골조2,2'의 접합부3측으로 조립볼트16가 나사조립되어 상기 수평골조7에 의해 수직골조2,2'가 하나로 합쳐져서 조립되는 것이다.
또, 상기 수직골조2,2,' 양측으로는 연결골조11가 역시 수직골조2,2'의 내측으로부터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골조11는 상부의 끼움홈12이 상호 내측으로 대응되게 하여 전후측 수직골조2,2'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양측으로도 역시 수직골조2,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의 양 연결골조11에는 양측으로 상기 양 연결골조11의 끼움홈12에 부합되는 끼움홈14,14'을 가진 지지골조13가 수평골조7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측 연결골조11와 중앙 지지골조13의 각 끼움홈12, 14,14'측에 안치판15이 끼움결합된다.
상기 지지골조13가 결합되는 수평골조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골조2,2'와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는 것이나,
상기 지지골조13는 수평골조7 양측에 착탈결합되는 측면부재9,9'에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고, 상기 지지골조13가 결합된 측면부재9,9'가 다시 수평골조7 양측으로 결합되어 이들간의 조립수단인 조립볼트1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골조13에는 걸림홈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골조13에는 걸림편10이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골조7와 연결골조11 및 지지골조13에는 조립볼트16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조립공17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조립볼트16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조립공17의 구성 등은 일반적인 것이며, 상기 조립볼트16는 등가의 여러 조립수단으로 대신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고안의 조립과정과 방법 등을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4와 같이 전후의 수직골조2,2' 접합부3측으로 수평골조7를 조립볼트16로서 결합하고, 수직골조2,2' 양측에는 연결골조11를 역시 조립볼트16로서 결합한 다음 상기 수직골조2,2'의 개구4측에 장식부재6를 끼움하여 수직골조2,2'의 걸림턱5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후 수직골조2,2'를 수평골조7측에 조립볼트16로서 연결하면, 상기 수직골조2,2'는 접합부3가 연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각 수평골조7와 연결골조11가 결합된 수직골조2,2'의 전면 개구4측에는 장식부재6가 결합됨으로서 상기 장식부재6에 의해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조립볼트16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미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의 수직골조2,2'에 수평골조7를 상하 일정 간격의 다단으로 결합하여 안치단1을 다층으로 구성하게 되며, 상기 수직골조2,2'에 연결된 길이방향 양측 연결골조11의 타단에도 역시 수직골조2,2'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안치단1이 조립되어 안치단1의 규격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측 수직골조2,2'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골조11는 당연히 상부 끼움홈12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평골조7의 대략 중앙에는 지지골조13가 결합되는 바, 상기 지지골조13는 도 5와 같이 수평골조7의 걸림홈8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편10이 형성된 양측 측면부재9,9'에 조립볼트16로서 결합한 다음, 상기 지지골조13가 결합된 측면부재9,9'를 수평골조7 양측으로 결합시키게 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조립수단인 조립볼트16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골조2,2'에 연결골조11를 결합하고, 수평골조7 중앙에 지지골조13를 결합한 다음에는 이들 연결골조7의 끼움홈12과 지지골조13의 양측 끼움홈14,14'측에 안치판15을 끼움결합하는 된다.
물론, 상기 안치판15을 끼움결합한 다음에는 외측으로 다시 수평골조7를 결합하고 상기 수평골조7는 전후의 수직골조2,2'와 결합함으로서 안치단1을 다층으로 구성하게 되고, 상기의 안치단1 하단에는 받침몰드18를 결합하고, 상단에는 천정몰드19를 결합하여 안치단1을 완성하여 상기 다층으로 결합된 안치판15상에 납골함20을 각각 안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로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1 등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의 조립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이의 제작을 위한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각 구성부재간의 연결부와 이들을 조립하는 조립볼트16 등의 조립수단과 조립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하고 우수한 외관미를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언급한 바 외에도 무연고 납골함 등과 같은 각종의 납골함 안치단1은 물론 이와 유사한 용도와 목적을 가지는 구성물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작상의 여러 잇점과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직골조2,2'와 수평골조7를 격자(格子)상으로 연결하여 다층으로 안치판15을 설치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구성에 있어서,
    접합부3가 서로 연접하여 하나로 결합되며 일측 개구4에는 장식부재6가 결합되는 수직골조2,2'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골조2,2'의 접합부3에 조립볼트16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측면부재9,9'가 착탈결합되는 수평골조7와,
    끼움홈12이 상호 내향으로 대응 위치되게 전후의 수직골조2,2'상에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는 연결골조11와,
    상기 연결골조11의 끼움홈12에 부합되는 끼움홈14,14'이 형성되어 수평골조7의 측면부재9,9'와 조립볼트16로서 결합되는 지지골조13와,
    상기 연결골조11와 수평골조7의 각 끼움홈12, 14,14'에 끼움결합되는 안치판15과,
    상, 하단의 천장몰드19와 받침몰드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KR2019980001879U 1998-02-10 1998-02-10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KR200183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79U KR200183894Y1 (ko) 1998-02-10 1998-02-10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79U KR200183894Y1 (ko) 1998-02-10 1998-02-10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125U KR19990036125U (ko) 1999-09-15
KR200183894Y1 true KR200183894Y1 (ko) 2000-06-01

Family

ID=195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879U KR200183894Y1 (ko) 1998-02-10 1998-02-10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8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125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851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JPH07177939A (ja) キャビネット用角継手およびこの角継手を含む電気キャビネット
CN103671444A (zh) 将附件固定在车辆车身上的固定部件和相应的固定结构
US5127341A (en) Assemblable carcase
KR200183894Y1 (ko) 무연고 납골함 안치단
JP4478608B2 (ja) テーブル類における天板と脚部の連結構造
JP4051653B2 (ja) 部材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並びに傘立て
DE8906283U1 (ko)
US8961058B2 (en) Corner coupling
KR20050032555A (ko) 납골함 안치단
JP7285083B2 (ja) 天板付什器
JP2005185600A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100712362B1 (ko) 납골함안치단
JPH052107Y2 (ko)
KR20230144711A (ko) 조립식 가구
KR910000063Y1 (ko) 가구류에 있어서의 다리와 횡막대와의 결합구조
JPH0810102Y2 (ja) 間仕切用パネル
KR960001263Y1 (ko) 유리판 받침턱이 형성된 조립식 진열장의 파이프연결구
JPH0348343Y2 (ko)
KR100309216B1 (ko) 씽크대 상판
KR940001997Y1 (ko) 가구용 연결구
KR200184709Y1 (ko) 쇼케이스용 도어의 결합구조
JPS5810478Y2 (ja) 載置架台
JP2003213817A (ja) 設備ユニットの壁パネル連結構造
KR200390662Y1 (ko) 납골함안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