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62Y1 -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662Y1
KR200183662Y1 KR2019990026082U KR19990026082U KR200183662Y1 KR 200183662 Y1 KR200183662 Y1 KR 200183662Y1 KR 2019990026082 U KR2019990026082 U KR 2019990026082U KR 19990026082 U KR19990026082 U KR 19990026082U KR 200183662 Y1 KR200183662 Y1 KR 200183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transport
trailer
transpor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철
Original Assignee
서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철 filed Critical 서정철
Priority to KR201999002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이나 퇴비 또는 필요에 따라서 콤바인과 같은 농기계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탱크가 설치된 트레일러에서 특히 농기계등을 운반시에 개방되어 지는 도어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시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구성을 후방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운반탱크를 구비한 통상의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지는 운반탱크의 일측면 밑면에 외측면으로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결합되는 고정관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 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삽입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부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의 밑단이 끼워지도록 양측으로 격판이 형성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the door of trailer}
본 고안은 곡물이나 퇴비 또는 필요에 따라서 콤바인과 같은 농기계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탱크가 설치된 트레일러에서 특히 농기계등을 운반시에 개방되어 지는 도어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시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트랙터는 농경지등의 개간에 따른 필요한 여러 형태의 작업기를 설치하여 사용함은 물론 그 후미에 상기 농경지등에서 수확되는 곡물등을 운반하거나 퇴비 및 농기계등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고자 트레일러등을 연결하여 사용하였고, 이러한 트레일러에 있어서도 보다 많은 곡물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탱크등을 일반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운반탱크가 설치된 트레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운반탱크가 설치된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로, 전방으로 트랙터와 연결되는 견인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바퀴가 설치되는 트레일러(50)의 본체프레임(55) 상부로 일정폭과 높이를 갖는 전면판넬과 측면판넬이 일체로 결합되고, 그 후방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62)가 설치된 운반탱크(60)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트레일러(50)에 설치된 운반탱크(60)는 곡물등이나 퇴비등을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 도어(62)를 개방하여 일정량을 적재한 후, 다시 도어(62)를 폐쇄시켜 보다 많은 량을 적재시킨 다음 운반하였다.
그리고, 콤바인등과 같은 농기계등을 운반하고자 실을 경우에는 그 대부분의 농기계가 상기 트레일러(50)의 운반탱크(60)의 길이보다 길어 도어(6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도어(62)를 와이어등으로 측면판넬에 고정시키고, 농기계 또한 고정시킨 후 운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운반탱크(60)에 농기계등을 실고 도어(6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운반이 요구되는 상황은 비교적 표면이 균일한 아스팔트나 시멘트 도로를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논이나 밭과 같이 표면이 불규칙적인 지면을 통하여 운반되는 관계로, 그 유동이 상당히 심하여 측면판넬에 와이어등으로 결속되어 고정된 도어(62)가 결속되어 있는 와이어의 폭만큼 유동되면서 측면판넬과 부딪쳐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도어(62)의 사용기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가 풀려져 도어(62)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반탱크(60)에 실려 있는 농기계와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농기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곡물이나 필요에 따라서 콤바인과 같은 농기계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탱크가 설치된 트레일러에서 특히 농기계등을 운반시에 개방되어 지는 도어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시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운반탱크를 구비한 통상의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지는 운반탱크의 일측면 밑면에 외측면으로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결합되는 고정관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 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삽입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부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의 밑단이 끼워지도록 양측으로 격판이 형성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 도어의 밑단이 맞닿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운반용 트레일러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a, 3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로,
도 3a는 인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인출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종래 운반탱크가 설치된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관부재 12 : 고정공
20 : 고정부재 22 : 고정홈
24 : 삽입봉부 26 : 격판
28 : 삽입부 50 : 트레일러
60 : 운반탱크 62 : 도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운반용 트레일러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 후방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62)가 설치되는 운반탱크(60)를 구비한 통상의 운반용 트레일러(50)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도어(62)가 개방되어 지는 운반탱크(60)의 일측면 밑면에 고정관부재(10)와 이 고정관부재(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62)의 하단에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 164909호 '트레일러용 곡물운반탱크'에 기재되어 있는 배출부재(500)를 설치하게 되면 곡물 또는 퇴비등을 적재하여 운반한 후 배출시에 포대나 수용용기 이외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더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로, 상기한 고정관부재(10)는 외측면으로 다수의 고정공(12)이 형성되어 운반탱크(60)의 밑면으로 일반적인 고정방법인 용접하거나 고정스크류 등으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고정관부재(10) 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공(12)과 고정스크류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홈(22)이 형성되는 삽입봉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부(24)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62)의 밑단이 끼워지도록 양측으로 격판(26)이 형성되어 삽입부(28)가 형성되어 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삽입부(28) 도어(62)의 밑단이 맞닿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시켜 도어(62)가 삽입된 후 고정부재(2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어(62)가 원활하게 삽입됨은 물론 밑단이 맞닿아 지면서 보다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3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는 인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기한 운반탱크(60)의 도어을 열지 않고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관부재(10)의 내부로 고정부재(20)의 삽입봉부(24)를 밀어 넣은 후 고정스크류 등으로 고정관부재(10)의 고정공(12)과 삽입봉부(24)의 고정홈(22)을 고정시켜 고정부재(20)의 삽입부(28)가 운반탱크(60)의 측면으로 밀착되어 지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인출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기한 도 3a의 상태에서 운반탱크(60)의 도어(62)를 열어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관부재(10)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부재(20)를 인출하여 즉, 고정스크류를 풀고 고정부재(20)의 삽입봉부(24)을 당겨서 인출하고, 다시말해서 고정부재(20)을 인출시에 삽입부(28)의 격판(26)이 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인출하면서 도어(62)의 밑단으로 삽입부(28)가 위치하면 고정부재(20)를 회전시켜 격판(26) 사이의 삽입부(28)가 도어(62)의 밑단으로 삽입되어 위치된 후 고정관부재(10)의 고정공(12)과 삽입봉부(24)의 고정홈(22)을 고정스크류로 고정시켜 운반탱크(60)의 도어(62)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부(28) 도어(62)의 밑단이 맞닿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삽입부(28)로 도어(62)가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곡면부분의 상사점이 도어(62)의 밑단과 맞닿아 지면서 더욱 큰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곡물이나 퇴비등을 운반하고자 운반탱크(60)의 도어(62)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62)가 열려지는 운반탱크(60) 측면 하단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관부재(10) 내로 고정부재(20)의 삽입봉부(24)를 삽입시켜 삽입부(28)가 운반탱크(60)의 측면으로 밀착되어 위치되도록 한 후 고정스크류로 고정관부재(10)의 고정공(12)과 삽입봉부(24)의 고정홈(22)으로 고정시켜 놓는다.
그리고, 운반탱크(60)를 이용하여 콤바인과 같은 농기계를 실은 후 도어(62)을 닫지 못하고 열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관부재(10) 내로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재(20)를 인출하고, 이때 고정부재(20)의 삽입부(28) 양측으로 형성된 격판(26)은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출하면서 도어(62)의 밑단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위치한 격판(26)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어(62)의 밑단이 격판(26) 사이의 삽입부(28)로 삽입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부(28) 도어(62)의 밑단이 맞닿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도어(62)의 밑단이 삽압될 때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삽입되어 짐은 물론 그 곡면의 상사점이 도어(62)의 밑단을 지지하여 도어(62)의 상,하 유동폭을 최소화하므로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고정스크류로 고정관부재(10)의 고정공(12)과 삽입봉부(24)의 고정홈(22)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도어(62)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운반탱크(60)의 도어(62)가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트랙터에 의해 트레일러(50)가 논이나 밭과 같이 지면이 고르지 않은 곳을 운행시 상,하,좌,우의 유동폭이 크더라도 도어(62)가 유동되지 않음은 물론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반용 트레일러에 설치된 운반탱크에 농기계등을 실으므로써 열려진 도어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논이나 밭과 같이 지면이 불균일한 곳으로 이동시에도 도어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와 운반탱크 간에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가 이탈되어 실려진 농기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후방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운반탱크를 구비한 통상의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도어(62)가 개방되어 지는 운반탱크(60)의 일측면 밑면에 외측면으로 다수의 고정공(12)이 형성되어 고정결합되는 고정관부재(10)와; 상기 고정관부재(10) 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정홈(22)이 형성된 삽입봉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부(24)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62)의 밑단이 끼워지도록 양측으로 격판(26)이 형성되어 삽입부(28)가 형성된 고정부재(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8) 도어(62)의 밑단이 맞닿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KR2019990026082U 1999-11-25 1999-11-25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KR200183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082U KR200183662Y1 (ko) 1999-11-25 1999-11-25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082U KR200183662Y1 (ko) 1999-11-25 1999-11-25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662Y1 true KR200183662Y1 (ko) 2000-06-01

Family

ID=1959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082U KR200183662Y1 (ko) 1999-11-25 1999-11-25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6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384B2 (en) Flow facilitator for a spreader assembly
RU2578474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продукта в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US20030026680A1 (en) Combination dump and spreader apparatus
US10704207B2 (en) Truck-mounted material spreader
US5839772A (en) Carrying bin wall extender
RU2578483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продукта в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KR200183662Y1 (ko) 운반용 트레일러의 도어 고정장치
CA2242473A1 (en) Hanger bearing
US20150275465A1 (en) Hose Caddy for Powered Implements Mounted on Loaders
US4312621A (en) Auger for filling seeder on tool bar carrier
US8303236B2 (en) Bulk seed handling and dispensing system
US11135959B2 (en) Dump trailer
US9927048B2 (en) Hose caddy for powered implements mounted on loaders
CA2557632C (en) Forward discharge blower unit
US4439087A (en) Stock rack and loading chute for trucks
KR102638407B1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
KR100320129B1 (ko)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KR200207864Y1 (ko)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KR102296718B1 (ko) 뒷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유압 덤프 트레일러
KR200217825Y1 (ko) 조립 분리가 가능한 테일 게이트를 갖는 적재함
CN217957774U (zh) 一种用于土下施肥系统的过滤装置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KR101029709B1 (ko) 트레일러형 다목적 곡물적재함
KR19980055847U (ko) 곡물 운반용기
KR100303692B1 (ko) 스프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