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864Y1 -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864Y1
KR200207864Y1 KR2020000020368U KR20000020368U KR200207864Y1 KR 200207864 Y1 KR200207864 Y1 KR 200207864Y1 KR 2020000020368 U KR2020000020368 U KR 2020000020368U KR 20000020368 U KR20000020368 U KR 20000020368U KR 200207864 Y1 KR200207864 Y1 KR 200207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tractor
trailer
hinge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운
안흥수
안기수
안동수
Original Assignee
안종운
안흥수
안기수
안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525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20129B1/ko
Application filed by 안종운, 안흥수, 안기수, 안동수 filed Critical 안종운
Priority to KR202000002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에 따르면, 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적재함의 덤핑 작업을 사람의 힘을 이용하지 않고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실시함과 동시에 콤바인등 중량이 무거운 기계의 탑재에 사용되는 보조 도구인 사다리를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을때에는 트레일러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노약자나 부녀자들도 충분히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TRAILER HAVING ALADDER IN A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적재함의 덤핑 작업을 사람의 힘을 이용하지 않고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실시함과 동시에 콤바인등 중량이 무거운 기계의 탑재에 사용되는 보조 도구인 사다리를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을때에는 트레일러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노약자나 부녀자들도 충분히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트랙터는 화물 운반, 경작등 농사일에 아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트랙터에 쟁기, 로터리, 트레일러 등 보조기계를 연결 설치하여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한다.
전술한 보조기계중에서 트레일러는 각종 화물, 예를들어 퇴비, 콤바인 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트랙터의 후측에 연결 설치되어, 트랙터의 견인력으로 인해 이동되게 구성되어 있는 바, 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 의한 트레일러는 트랙터의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하체방틀과, 하체방틀의 하부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륜과, 하체방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적재함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적재함이 하체방틀의 상부 후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내부에 수용된 화물을 덤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랙 기술에 의한 트레일러에 따르면, 적재함 내부에 수용된 화물을 하역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여러명의 사람의 힘으로 적재함의 선단을 상방으로 밀어 적재함이 덤핑되도록 하거나, 여러명의 사람의 힘으로 되지 않을때 적재함의 내부에 수용된 화물의 중량을 줄인 다음 전기와 같은 작업을 다시 수행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트레일러는 화물 운반 기능 이외에 콤바인등의 중량이 무거운 기계를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바, 이때, 적재함이 지면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철재 재질의 사다리를 두개 구입하여 사다리의 일단은 트레일러의 리어 도어측에 해당되는 바닥면에 지지하고, 타단은 지면에 지지한 후에, 콤바인의 차륜이 두개의 사다리위로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의 내부에 콤바인을 탑재하였다.
한편, 트레일러를 콤바인 탑재용으로 이용하지 않을때에는 별도로 구입한 사다리를 농가의 소정의 장소에 보관하거나 트레일러의 적재함에 보관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일러에 따르면, 사다리를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았다.
즉, 사다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노약자나 부녀자들이 다루기에 역부족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적재함의 덤핑 작업을 사람의 힘을 이용하지 않고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실시함과 동시에 콤바인등 중량이 무거운 기계의 탑재에 사용되는 보조 도구인 사다리를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을때에는 트레일러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노약자나 부녀자들도 충분히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의 요부 사시도로서,
사다리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의 요부 사시도로서,
사다리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일러에서 사다리가 인출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사다리가 인출 완료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일러가 덤핑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체방틀 2 : 차륜
3 : 중간방틀 4 : 적재함
6 : 구속/해제 수단 7 : 덤핑수단
31 : 사다리 수납홈부 62 : 레버
63 : 인장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하체방틀과; 하체방틀의 하부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륜과; 하체방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방틀과; 중간방틀의 상부 후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리어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함;으로 구성된 트랙터 장착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중간방틀의 내부에는 후단부측으로 개구된 한쌍의 사다리 수납홈부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사다리 수납홈부의 개구부측에는 사다리가 수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함과 동시에 수납홈부에서 사다리가 인출되도록 사다리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 수단이 구비되며, 적재함과 중간방틀 사이에는 적재함을 덤핑하는 덤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트랙터(미도시)의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하체방틀(1)과,이 하체방틀(1)의 하부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륜(2)과, 하체방틀(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방틀(3)과, 이 중간방틀(3)의 상부 후측에 힌지(2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리어 도어(4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함(4)으로 구성된 트랙터 장착용 트레일러에 적용된다.
상기 적재함(4)은 중간방틀(3)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된 판상의 바닥판(43)과, 이 바닥판(43)의 양장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사이드 도어(42)와, 이 사이드 도어(42)의 후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어 도어(4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이드 도어(42)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면, 중간방틀(3)의 양장변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힌지공(미도시)이 구비된 힌지부(424)를 다수개 고정 부착하고,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리부(423)의 일단을 이 힌지부(424)의 힌지공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며, 고리부(423)의 타단부를 사이드 도어(42)의 외측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이드 도어(42)는 중간방틀(3)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이드 도어(42)가 중간방틀(3)에 연결 설치된 구조에서는 사이드 도어(42)를 중간방틀(3)에 록킹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필요한 바, 이 록킹장치의 구조는 중간방틀(3)의 후측면의 양측 소정 위치에 힌지공(미도시)을 갖는 힌지부를 고정 설치하고, 이 힌지부의 힌지공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사이드 도어(42)의 후측면에 걸쳐지게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425)를 설치하며, 일단은 지지 플레이트(425)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425a)를 통과하여 사이드 도어(42)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425)에 고정되는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리부(426)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리어 도어(41)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면, 중간방틀(3)의 후측면에 힌지공을 갖는 힌지부(412)를 설치하고, 이 힌지부(4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가 리어 도어(41)의 후측면에 고정되는 회동바(411)로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조에 따르면, 리어 도어(41)는 회동바(411)가 힌지부(4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결국에는 리어 도어(41)개 개폐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리어 도어(41)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이드 도어(42)의 후측 상면에는 사이드 도어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쌍의 걸림부(42)를 형성하고, 이 걸림부(421)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부(421a)를 형성하며, 일단은 걸림부(421)의 삽입홈부(421a)에 삽입되며 타단은 리어 도어(4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413)를 구비하며, 지지부(413)의 일단이 걸림부(421)의 삽입홈부(4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421)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이탈 방지편(42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중간방틀(3)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측으로 개구된 한쌍의 사다리 수납홈부(31)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 사다리 수납홈부(31)의 개구부측에는 사다리(5)가 수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함과 동시에 수납홈부에서 사다리(5)가 인출되도록 사다리(5)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 수단(6)이 구비되며, 적재함(4)과 중간방틀(3) 사이에는 적재함(4)을 덤핑하는 덤핑수단(7)이 구비된다.
상기 구속/해제 수단(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수납홈부(31)의 개구부측에 해당되는 중간방틀(3)에 힌지(61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61)과, 이 걸림편(61)의 힌지(61a)에 고정 설치되어 걸림편(61)을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62)와, 인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편(61)에 의해 사다리(5)가 걸리도록 하며, 걸림편(61)이 회동되어 인장된 경우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사다리(5)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인장스프링(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덤핑수단(7)은, 실린더(71)의 일단단부가 중간방틀(3)의 중간 부분에 힌지(71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72)의 단부가 적재함(4)의 앞쪽 하면에 힌지(72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은 스탠드이고, 11a는 스탠드 핸들이며, 부호 12는 차륜(2)에 제동을 가하는 사이드 브레이크이고, 부호 13은 덤핑수단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는 파이프이며, 부호 14는 트랙터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이다.
전술한 차륜(2)은 하체방틀(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 하체방틀(1)의 양측에 각각 소정 길이의 지지체(21)를 고정 설치하고, 이 지지체(21)에 각각 힌지(21a)를 매개로 하체방틀(1)과 평행한 롤링 플레이트(22)를 고정 설치하며, 이 롤링 플레이트(22)를 가로질러 직교되게 두개의 차륜축(23)을 설치하며, 이 차륜축(23)의 양단에 허브(미도시)를 고정 설치하며, 이 허브에 차륜(2)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차륜(2)을 설치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2)이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고, 콤바인 운반시 충격이 감소되고, 적재함이 뒹굴 염려가 없게 되며, 타이어의 펑크가 날 확률을 줄일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적재함(4)의 내부에 소정의 화물, 예를들어 콤바인을 탑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도어(41)를 개방한다.
여기서, 리어 도어(41)를 개방하는 과정은 생략한다.
이후, 사다리의 인출 과정을 실시하게 되는 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힌지(61a)를 매개로 하여 걸림편(61)이 사다리(5)의 연결간(51)을 차단하고 있다가 연결간(51)과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때, 인장 스프링(63)은 소정 길이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후, 작업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다리(5)를 사다리 수납홈부(31)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사다리(5)의 인출 작업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5)의 끝단부가 사다리 수납홈부(31)의 개구부측에 걸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다리(5)의 타측은 지면에 지지되어, 결국에는 사다리(5)는 경사진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됨에 따라, 콤바인의 탑재가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4)의 내부에 수용된 화물을 하역하고자 할때에는 파이프(13)를 통해 유압이 작동하도록 하면, 실린더(71)로부터 로드(72)가 인출되어 적재함(4)을 덤핑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사다리(5)의 끝부분이 사다리 수납홈부(31)의 개부측에 걸쳐지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다리(5)가 빠질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다리(5)의 양측에 돌기부(52)를 형성하여 이 돌기부(52)가 사다리 수납홈부(31)에 내벽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적재함의 덤핑 작업을 사람의 힘을 이용하지 않고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실시함과 동시에 콤바인등 중량이 무거운 기계의 탑재에 사용되는 보조 도구인 사다리를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을때에는 트레일러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노약자나 부녀자들도 충분히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트랙터의 후측에 연결 설치되는 하체방틀과; 상기 하체방틀의 하부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륜과; 상기 하체방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방틀과; 상기 중간방틀의 상부 후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리어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함;으로 구성된 트랙터 장착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중간방틀의 내부에는 후단부측으로 개구된 한쌍의 사다리 수납홈부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 수납홈부의 개구부측에는 사다리가 수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홈부에서 상기 사다리가 인출되도록 상기 사다리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적재함과 상기 중간방틀 사이에는 상기 적재함을 덤핑하는 덤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제 수단은, 상기 사다리 수납홈부의 개구부측에 해당되는 중간방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힌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을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인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에 의해 상기 사다리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걸림편이 회동되어 인장된 경우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사다리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수단은, 실린더의 일단단부가 중간방틀에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의 단부가 적재함의 앞쪽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방틀의 양측에 각각 소정 길이의 지지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각각 힌지를 매개로 상기 하체방틀과 평행한 롤링 플레이트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롤링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직교되게 두개의 차륜축을 설치하며, 상기 차륜축의 양단에 허브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허브에 상기 차륜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KR2020000020368U 1999-08-24 2000-07-15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KR200207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68U KR200207864Y1 (ko) 1999-08-24 2000-07-15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251A KR100320129B1 (ko) 1999-08-24 1999-08-24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KR2020000020368U KR200207864Y1 (ko) 1999-08-24 2000-07-15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251A Division KR100320129B1 (ko) 1999-08-24 1999-08-24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864Y1 true KR200207864Y1 (ko) 2000-12-15

Family

ID=2663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368U KR200207864Y1 (ko) 1999-08-24 2000-07-15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8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897B1 (ko) 2007-02-13 2008-06-20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897B1 (ko) 2007-02-13 2008-06-20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5471A (en) Trailer/container unit
US6203086B1 (en) Tool box and top cover for truck box
US8944516B2 (en) Cargo hauling system
US6149219A (en) Dropgate cargo support system
US2867339A (en) Load carrying vehicles and bodies therefor
US20020051703A1 (en) Motorcyc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US7063494B2 (en) Truck bed design for automotive and equipment delivery
US4249682A (en) Spare wheel protecting system
US7651147B2 (en) Cargo hauling system
US7726930B2 (en) Adjustable height jib for a hook-lift hoist
US20060091171A1 (en) Tailgate tire carrier
US5054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open truck beds
US20080279664A1 (en) Cargo hauling system
EP1707505A1 (en) Container
US8651795B2 (en) System for load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CA2516106C (en) Flip door for liftgate when used with pivotable doors of trailers
KR200207864Y1 (ko)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US5316191A (en) Tire chain hanger support assembly
KR100320129B1 (ko)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KR200207908Y1 (ko) 트랙터 사다리 장착용 트레일러
US6698996B2 (en) Truck bed design for automotive and equipment delivery
US4996855A (en) Lock mechanism
KR20200020059A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20050127699A1 (en) Wheeled Cargo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