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110Y1 -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 Google Patents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110Y1
KR200183110Y1 KR2019990025625U KR19990025625U KR200183110Y1 KR 200183110 Y1 KR200183110 Y1 KR 200183110Y1 KR 2019990025625 U KR2019990025625 U KR 2019990025625U KR 19990025625 U KR19990025625 U KR 19990025625U KR 200183110 Y1 KR200183110 Y1 KR 200183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trunk line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거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성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5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8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tubular configuration, e.g. slotted tube-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의 길이방향 전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11a), 요홈부에 마련된 핀 지지부(11b)를 통해 배면으로부터 접속홈(31)이 구비된 접속단자(30) 및 고정홈(41)이 구비된 고정단자(40)가 안내 설치되어 국선측 케이블과 그 타측에 내선측 케이블(C)이 각각 접속 설치되도록 한 단자판(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전면 길이방향 중앙에 소정 폭을 갖고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12)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12) 전면에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부(12a)와, 상기 요홈부(12a)에 본체(11)의 배면측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의 일단을 배면측으로부터 안내 고정시키기 위한 핀 지지부(12b)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국선측 접속단자(30)와 내선측 접속단자(30)를 접속 및 단락시키는 접속부재(50)와, 상기 결합부(12)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접속부재(50)의 양측을 지지하는 안내턱부(13)로 구성된 것인 바, 단자판으로부터 국선측과 내선측의 전화 케이블을 상호 접속시켜 줌에 있어,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를 용이하게 접속/단락시켜줄 수 있는 접속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접속된 케이블의 이탈없이 단락상태의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를 통해 용이하게 케이블 단락을 검사하여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A Cable Terminal Strip for Communication}
본 고안은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신주 또는 건물의 외부에 마련되는 단자함 내에 설치되어 국선과 내선의 전화 케이블을 상호 접속시켜 주는 단자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국선 또는 내선으로부터의 고장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케이블용 단자함 내에 설치되는 단자판은 외부로부터 건물, 즉 일반가정이나 사무실등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통신용 케이블을 입력단에 각각 연결시키고, 출력단에는 해당하는 통신기기(전화기, 팩스..)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자판은 수 내지 수백 가닥이상의 통신용 케이블을 건물내로 분기시키기 위하여 단자함 내에 장착되어 건물내의 통신기기와의 교신을 위한 중간매개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의 수에 따라 연결단자의 수도 많아지고, 이에 따라 단자판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종래의 단자판(1)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갖는 본체(1-1)의 길이방향 전면 양측에 측면을 포함하는 전면에는 소정간격의 요홈부(1a)가 형성되고, 각 요홈부의 내벽에는 배면측과 연통되는 세장(細長)형의 핀 지지부(1b)가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단자판(1)의 측면 즉, 요홈부(1a)로 이격되는 소정위치에는 케이블(C)의 유동을 최종적으로 지지시켜 주는 홀더(2)가 각각 부착 설치된다.
상기 요홈부(1a)는 국선측과 내선측 케이블(C)을 연결 접속시키기 위해 양측에 접속홈(3a)이 구비된 접속단자(3)가 배면으로부터 상기 핀 지지부(1b)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그 일측에 형성된 핀 지지부(1b)에는 일측에 케이블(C)을 안내시켜 가압된 채로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홈(4a)이 형성된 고정단자(4)가 각각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3)의 접속홈(3a) 부분은 일측으로부터 그 중앙이 점진적으로 그 간격을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자(4)의 고정홈(4a) 부분은 케이블(C)을 강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3) 및 고정단자(4)의 두께는 0.5mm내지 0.8mm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단자판(1)의 배면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접속단자(3), 고정단자(4)부위에는 에폭시수지 등의 절연물(S)로 충진되어 일정시간 후 경화되면 외부로터 각 단자(3)(4)를 보호하면서 각각 단자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자판(1)은 상기 접속단자(3)의 양측에 마련되는 접속홈(3a)에 케이블(C)은 안내시킴에 있어, 케이블(C)의 피복부위는 상기 접속홈(3a)에 의해 찢겨져 내측의 심선이 접속되는 형태이고, 상기 고정단자(4)의 고정홈(4a)측으로는 케이블(C)의 외경이 강압적으로 안내되어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되고, 이차적으로 본체(1-1) 측면에 부착 설치된 홀더에 의해 케이블(C)을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단자판(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는 국선 케이블이, 그 타측으로는 내선 케이블이 접속되어 교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요홈부(1a)에는 겔(GEL)상태의 점도성을 갖는 절연물질을 소정량 도포시켜 케이블(C)의 접속을 완료한 다음 커버(도면에서 생략함)를 닫아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단자판에 접속되는 다수의 케이블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통신기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고장신고에 따라 수리업자 또는 각 해당하는 전화국내에의 작업자가 현장으로 출장하여 수리를 하게 되는데, 상기 단자판의 검사는 통상적으로 전류의 흐름 및 신호음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단자판(1)의 점검은 단자판으로부터 국선 또는 내선을 선택하여 단자판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해당하는 접속단자(3)에 검사장비를 접속시켜 신호음을 확인하여 가면서 고장발생이 국선인지 또는 내선인지를 파악을 한 후에 해당하는 케이블 수리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자판은 케이블을 단자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에 있어, 단자판의 전면부에 습기나 우수를 차단하고, 케이블의 접속단자의 산화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된 겔 상태의 절연물이 제거되어 수리작업 후 겔을 다시 도포하여야 하며, 검사를 위한 케이블의 잦은 이탈은 케이블을 접속한 위치에 자주 접속시킴에 있어 그 접속부위가 단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국선측과 내선측의 전화 케이블을 상호 접속시켜 주는 단자판 구조를 개선하여 케이블 설치에 있어 습기 및 우수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겔 상태의 절연물을 제거하지 않음과 동시에, 단자판으로부터 케이블을 이탈시키지 않는 범위에서도 국선 또는 내선으로부터의 케이블 고장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길이방향 전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 요홈부에 마련된 핀 지지부를 통해 배면으로부터 접속홈이 구비된 접속단자 및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단자가 안내 설치되어 국선측 케이블과 그 타측에 내선측 케이블이 각각 접속 설치되도록 한 단자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길이방향 중앙에 소정 폭을 갖고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 전면에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본체의 배면측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의 일단을 배면측으로부터 안내 고정시키기 위한 핀 지지부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국선측 접속단자와 내선측 접속단자를 접속 및 단락시키는 접속부재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접속부재의 양측을 지지하는 안내턱부로 구성된 통신 케이블 단자판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단자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단자판에 케이블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단자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판에 케이블 및 접속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자판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자판 11: 본체
12: 결합부 13: 안내턱부
30: 접속단자 40: 고정단자
50: 접속부재 C: 케이블
S: 절연물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인 단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판에 케이블 및 접속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자판의 정면도이다.
단자판(10)의 본체(11) 길이방향 전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11a), 요홈부에 마련된 핀 지지부(11b)를 통해 배면으로부터 접속홈(31)이 구비된 접속단자(30) 및 고정홈(41)이 구비된 고정단자(40)가 안내 설치되어 국선측 케이블과 그 타측에 내선측 케이블(C)이 각각 접속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전면 길이방향 중앙에 소정 폭을 갖고 일정간격으로 결합부(12)가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결합부(12) 전면에는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부(12a)가 형성되며, 요홈부에는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의 일단을 배면측으로부터 안내 고정시키기 위한 핀 지지부(12b)가 본체(11)의 배면측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의 핀 지지부(12b)에 안내 설치되는 국선측 접속단자(30) 및 내선측 접속단자(30)의 일측은 상기 접속홈(31)에 대하여 대향되게 절곡 형성되며, 그 일단은 소정깊이 절개된 접속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2)의 전면 중앙에는 배면측과 관통되는 소정 직경의 고정공(12c)이 형성되어 체결나사(도면에서 생략함)를 통해 단자함내의 소정위치에 단자판(10)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판(10)의 본체(11)는 개별적으로 양측에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 결합부(12), 홀더가 마련된 독립적인 형태로 형성시켜 단자판 본체(11)의 상,하측에 추가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배면으로는 종래의 단자판과 같이, 각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와 고정단자(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방수성을 갖는 절연물(S)이 소정량 충진되어 상기 각 단자를 고정하고, 외부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결합부(12)에는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를 접속/단락시키는 접속부재(5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접속부재(50)는 핀 지지홈에 안내고정 설치되는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에 연결 접속될 수 있도록 내측에 한 쌍의 연결단자(51)가 소정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그 내부에 겔 상태의 절연물(S)이 소정량 충진되며, 외부에는 탈착 손잡이(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51)는 양측이 절곡 형성된 형태로 일단이 절개된 각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에 대해 십자형태로 접속되도록 부착 설치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2)의 양측에는 안내턱부(13)가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재(50)의 결합시 양측을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신주 또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단자함(도면에서 생략함)내에 단자판(10)의 결합부(12) 중심에 형성된 고정공(12c)을 통해 단자판 본체(11)를 부착 설치하고, 설치된 단자판(10)의 양측, 즉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에 케이블(C)을 연결시켜 준다.
케이블(C)의 접속은 별도의 가압공구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단자판(10)의 양측에 마련된 요홈부(12a)에 안내시켜 주면, 종래와 같이 케이블(C) 피복부위는 찢기면서 내측 심선이 상기 국선측 또는 내선측 접속단자(30)의 접속홈(31)에 접속되고, 그 일측에 설치된 고정단자(40)측으로 케이블(C)이 강압적으로 안내되어 케이블을 지지시켜 주며, 단자판(10)의 양측에 마련된 홀더(20)에 의해 이차적으로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1) 중앙에 위치된 결합부(12)에는 접속부재(50)를 장착시켜 주면, 상기 결합부(12)의 요홈부(12a)측 핀지지부(12b)에 안내되어 설치된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는 상기 접속부재(50)의 내측에 부착 설치된 연결단자(51)의 접속에 따라 교신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접속부재(50)를 결합부(12)에 끼워 고정함에 있어, 결합부(12)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턱부(13)는 접속부재(50)의 양측을 좀더 지지시켜 결합력을 보완해 주고, 접속부재(50)의 내측에 연결단자(51)의 소정부분을 함침하고 있는 절열물은 상기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의 결합시 그 접속되는 부위를 외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습기 등을 차단하여 단자부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단자판(10) 및 케이블(C)의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화의 교신 고장신고가 있으면, 통신회사측 수리자는 건물의 외부 또는 전신주에 설치된 단자함을 개방시켜 단자판(10)에 연결 설치된 케이블(C)의 접속부위로부터 이상이 있는 케이블(C)을 찾아내어야 하는데, 단자판(10)의 해당하는 국선측 또는 내선측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단자판(10) 중앙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접속부재(50)의 손잡이(52)를 외측으로 잡아 당겨 접속부재(50)를 상기 결합부(12)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국선측 및 내선측 접속단자(30)의 접속홈(31)으로부터 상기 접속부재(50)에 설치된 연결단자(51)가 이격되며, 이때 수리를 맡은 담당자는 국선측 접속단자(30)에 검사장비를 접속시켜 신호음으로서 교신상태를 확인하여 국선측인지 내선측의 이상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이의 경우는 국선측 접속단자(30)에 검사장비의 접속 후 신호음의 유무에 따라 국선측과 내선측 케이블(C)중 이상이 있는 측을 발견한 뒤, 해당하는 케이블의 이상이 있는 부위을 찾아 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단자판(10)은 접속부재(50)의 분리에 따른 케이블(C)의 이상을 쉽게 검사할 수 있어 기존 단자판과 같이 케이블을 단자판으로부터 이격시켜 검사하는 방법에 비하여 검사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단자판(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단자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된 겔 상태의 절연물(S)을 재 도포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케이블(C)은 항상 해당하는 접속단자(30)에 접속된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져 케이블의 접속은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판으로부터 국선측과 내선측의 전화 케이블을 상호 접속시켜 줌에 있어,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를 용이하게 접속/단락시켜줄 수 있는 접속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접속된 케이블의 이탈없이 단락상태의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를 통해 용이하게 케이블 단락을 검사하여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11)의 길이방향 전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11a), 요홈부에 마련된 핀 지지부(11b)를 통해 배면으로부터 접속홈(31)이 구비된 접속단자(30) 및 고정홈(41)이 구비된 고정단자(40)가 안내 설치되어 국선측 케이블과 그 타측에 내선측 케이블(C)이 각각 접속 설치되도록 한 단자판(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전면 길이방향 중앙에 소정 폭을 갖고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12)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12) 전면에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부(12a)와,
    상기 요홈부(12a)에 본체(11)의 배면측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의 일단을 배면측으로부터 안내 고정시키기 위한 핀 지지부(12b)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국선측 접속단자(30)와 내선측 접속단자(30)를 접속 및 단락시키는 접속부재(50)와,
    상기 결합부(12)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접속부재(50)의 양측을 지지하는 안내턱부(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50)는 상기 핀 지지부(12b)에 안내고정 설치되는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에 연결 접속될 수 있도록 내측에 한 쌍의 연결단자(51)가 소정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그 내부에 겔 상태의 절연물(S)이 소정량 충진되며, 외부에는 탈착용 손잡이(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10)은 개별적으로 양측에 국선측과 내선측 접속단자(30), 결합부(12), 접속부재(50)가 마련된 독립적인 형태로 형성시켜 본체(11)의 상,하측에 추가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KR2019990025625U 1999-11-20 1999-11-20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KR200183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625U KR200183110Y1 (ko) 1999-11-20 1999-11-20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625U KR200183110Y1 (ko) 1999-11-20 1999-11-20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110Y1 true KR200183110Y1 (ko) 2000-05-15

Family

ID=1959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625U KR200183110Y1 (ko) 1999-11-20 1999-11-20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1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300A (ko) * 2000-02-21 2000-06-05 이은신 접속단자 및 그 장착구조
KR100385503B1 (ko) * 2000-01-31 2003-05-27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통신용 국선/사선단자블록의 방수구조
KR100901119B1 (ko) * 2009-01-07 2009-06-08 (주)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연결 박스의 전선단말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03B1 (ko) * 2000-01-31 2003-05-27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통신용 국선/사선단자블록의 방수구조
KR20000030300A (ko) * 2000-02-21 2000-06-05 이은신 접속단자 및 그 장착구조
KR100901119B1 (ko) * 2009-01-07 2009-06-08 (주)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연결 박스의 전선단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1633A (en) Wiring module for telephone jack
KR200183110Y1 (ko)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ES2151446A1 (es) Maquina para el mecanizado de cables especiales para automoviles.
FI68484C (fi) Anordning vid eldosa
KR200189125Y1 (ko) 통신용 케이블 단자판
KR101882390B1 (ko) 방수용 전선 커넥팅 장치
CN210183469U (zh) 一种通道配线架环路器
KR100889833B1 (ko) 전선 커플링장치
EP1094569A1 (en)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including said terminal.
CN1080003C (zh) 模块电信接线盒
CN220628243U (zh) 线束连接头
CN209843982U (zh) 一种智能分线连接器
CN219436239U (zh) 一种汽车连接器防水装置
CN220456762U (zh) 一种带有导向结构的接线端子
CN218633303U (zh) 一种线缆维修线端临时连接装置
KR200261867Y1 (ko) 엠디에프단자회선연결장치
KR102563998B1 (ko) 지중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 대한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이의 설치 및 철거 방법
KR100498161B1 (ko) 다목적 idc 형 커넥팅 블록
CN215818625U (zh) 耳机端子检测机构
CN218997305U (zh) 一种车用线束快换转接线
CN116960701B (zh) 一种高速线缆组件及其使用方法
CN113612187B (zh) 一种变电继电保护线路连接接头保护装置
US38786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olderless splicing of multi-lead cables
KR870002474Y1 (ko) 전기통신용 단자판
KR100733073B1 (ko) 전선 접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