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15Y1 -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15Y1
KR200182915Y1 KR2019990023253U KR19990023253U KR200182915Y1 KR 200182915 Y1 KR200182915 Y1 KR 200182915Y1 KR 2019990023253 U KR2019990023253 U KR 2019990023253U KR 19990023253 U KR19990023253 U KR 19990023253U KR 200182915 Y1 KR200182915 Y1 KR 200182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opper
rotary shaft
scraper
sepa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백
김영운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기물 폐수의 슬러지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가압부상 분리조(10)의 중앙부분에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로서 회전 작동하는 구동축(22) 양측으로 수평 결합된 회전샤프트(20)의 하측으로 부유된 슬러지(s)를 모으는 스크레퍼(3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리조(10)내에는 대략 90도 간격으로 내부에 슬러지 인입로(42)가 형성토록 절곡되고 상부 일측으로 가이드 테이블(44)이 설치된 슬러지 호퍼(40)가 수직하게 마련되며, 상기 호퍼(40)의 가이드테이블(44)은 상기 호퍼 (40)의 상부 일측으로 힌지 고정되어 상기 스크레퍼(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와 분리조(10)에는 서로 감지하는 송,수신 센서(50a)(50b)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in waste water}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기물폐수 처리시 가압 부상 분리조의 상부에 부상된 부유상태의 슬러지(SLUDGE)를 효율적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후공정으로 이월되지 않도록 한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회전 작동하는 스크레퍼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호퍼 테이블을 설치하여 스크레퍼에 의한 슬러지 제거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산업 현장에서 유기물 폐수는 필연적으로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오일(OIL)성 폐수는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폐수 처리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즉, 유기물 수집조에서 이송된 오일 함유 폐수에 황산을 투입하여 유상액을 파괴 분리시킨 다음, 응집제를 첨가하여 고입자 슬러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가압 탱크에 가압 이송하면, 가압 부상 분리조에서 부유 슬러지가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유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도 1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인입 및 배출관(110a)(110b)이 설치된 가압 부상분리조(100)의 중앙부분에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로서 회전작동하는 중앙 회전샤프트(120)의 양측으로 부유된 슬러지를 모으는 스크레퍼(13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분리조(100)내에는 대략 90도 간격으로 내부에 슬러지 인입로(142)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으로 가이드 테이블(144)이 일체로 형성되는 슬러지 호퍼(1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는, 구동모터로서 일체로 회전사프트(120)가 구동되면, 상기 샤프트(120)의 양측으로 설치된 스크레퍼 (130)가 회전하면서 분리조(110)상에 부유된 슬러지(s)를 모으면서 일정각도마다 설치된 호퍼(140)의 인입로(142)내에 테이블(144)로서 안내되는 슬러지(s)를 배출시키고, 상기 호퍼(140)를 통하여 슬러지(s)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스크레퍼(130)에 의하여 모아지는 슬러지(s)의 상당량이 스크레퍼(130)의 후단부로 모아지면서 이탈하여 실제 호퍼(140)내로 유입되는 슬러지(s)의 양은 5 - 10 %에 불과하고, 특히 슬러지 제거용 호퍼(140) 인입로(142)에 투입된 슬러지(s)도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손쉽게 호퍼 인입로(142)를 따라 분리조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지 않으며, 결국 누적된 슬러지(s)에 의하여 호퍼(140)가 막히는 현상이 손쉽게 발생되고, 이는 완전하게 슬러지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공정인 폭기조로 이송되게 되어 유기물 폐수처리의 작업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고, 결국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막혀있는 호퍼(140) 인입로 (142)에 쌓인 슬러지(s)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압 분리조상에 부유된 슬러지를 모아서 호퍼내에 투입하는 스크레퍼의 슬러지 제거작동시 상기 슬러지의 호퍼 투입위치에 맞추어 상,하 작동하는 가이드 테이블로 인하여, 슬러지의 제거작업이 보다 완벽하게 수행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압 분리조의 술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 인하여, 전체 유기물 폐수 처리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결국 폐수처리불량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시키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폐수의 슬러지 제거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센서 작동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슬러지 제거장치 10.... 분리조
20.... 회전샤프트 30.... 스크레퍼
32.... 연결판 40.... 슬러지 호퍼
44.... 가이드 테이블 46.... 실린더
50....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가압부상 분리조의 중앙부분에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로서 회전 작동하는 구동축에 연설된 회전샤프트의 양측으로 부유된 슬러지(s)를 모으는 스크레퍼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조내에는 대략 90도 간격으로 내부에 슬러지 인입로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으로 가이드테이블이 설치된 슬러지 호퍼가 위치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블록의 외주면 양측에 수평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스크레퍼는 회전샤프트의 하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가이드테이블은 상기 호퍼의 상부 일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 고정되어 상기 스크레퍼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분리조에는 서로 감지되는 송,수신 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센서 작동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다.
본 고안인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1)는, 가압부상 분리조(10)의 중앙부분에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로서 회전작동하는 중앙 회전샤프트(20)의 양측으로 부유된 슬러지(s)를 모으는 스크레퍼(30)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조(10)내에는 대략 90도 간격으로 내부에 슬러지 인입로(42)가 형성토록 절곡되고 상부 일측으로 가이드 테이블(44)이 설치된 슬러지 호퍼(40)가 수직하게 착설되며, 상기 인입로(42)의 일측에는 상기 인입로(42) 내의 슬러지를 고압수로서 제거토록 하는 살수노즐(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20)는 상기 구동축(22)상에 결합된 고정블록(24)의 외주면 양측으로 수평하게 일체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스크레퍼(30)는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하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퍼(40)의 가이드테이블 (44)은 상기 호퍼(40)의 상부 일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 고정되어 상기 스크레퍼(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와 분리조(10)에는 서로 감지되는 송,수신 센서(50a)(50b)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퍼 가이드테이블(44)은, 상기 분리조(10)의 호퍼(40)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46)의 로드가 연설되어 상기 실린더(46)의 작동시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6)는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속도와 그 상승속도가 일치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스크레퍼(30)는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양측에 결합된 고정블록 (32)으로서 연결된 플렉시블란 연결판(34)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유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철강산업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유기물 폐수는 유기물 수집조에서 투입된 황산으로서 오일과 물로 분리된 다음, 응집제를 첨가하여 고입자 슬러지를 발생시키므로, 이와 같은 슬러지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수 있도록 한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상 분리조(10)의 중앙부분에 구동모터(미도시)로서 회전 작동토록 수직 설치된 구동축(22)에는 고정블록(24)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블록(24)의 주면 양측에는 180도 간격으로 회전샤프트(20)가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좌우 양측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블록(32)의 하부에는 플렉시블한 연결판(34)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판(34)의 하측에는 스크레퍼(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분리조(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2)이 연설된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축(22)과 그 주연 양측으로 수평 설치된 회전샤프트(20)가 일체로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결국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하측으로 연결블록(32)과 연결판(34)으로서 고정된 스크레퍼(30)가 가압분리조(10) 내에 표면에 부유된 상태의 슬러지를 모으게 되며, 이때 상기 스크레퍼(30)는 플렉시블한 연결판(34)에 의하여 보다 부드럽게 슬러지를 모을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분리조(10)의 내측으로 대략 90도 간격으로 슬러지 집진용 호퍼(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호퍼(40)는 내부 중앙이 오목하도록 절곡되고 경사진 인입로(42)가 마련되며, 동시에 상기 호퍼(40)의 상부 일측에는 상,하 이동가능토록 힌지 고정되는 가이드 테이블(44)이 설치된다.
즉, 상술한 호퍼(40)는 가압 분리조(10)내에 일정간격으로 4지점에 설치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스크레퍼(30)의 회전작동시 부유상태의 슬러지가 모이면서 상기 호퍼(40)내에 배출 제거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가이, 상기 호퍼(40)의 가이드 테이블(44)의 양측에는 상기 가압분리조(10)의 내벽측에 설치된 실린더(46)의 로드가 연설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선단부 및, 상기 호퍼(40)가 위치하는 가압 분리조(10)의 내벽에는 송,수신 포토센서(50a)(50b)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 가이드테이블(44)은 호퍼(40)의 상부에 일측으로 힌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46)의 상승 및 하강시 일체로 승,하강 작동되며,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속도는 상기 실린더(46)의 상승속도와 일치되도록 하면, 상기 회전샤프트(20)가 호퍼(40) 위치에 도달할때 까지 가이드 테이블(44)은 최상승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송수신 포토센서(50a)(50b)의 작동시 실린더(46)의 작동은 중지된다.
결국, 가압분리조(10)를 4등분하면, 각부분의 호퍼(40)에서 가장 먼부분에서 부터 스크레퍼(30)로서 슬러지가 모이면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테이블(44)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모이게 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가이드하면서 호퍼(40)의 인입로(42) 위치에 도달하면 가이드테이블(44)이 최정점에 위치되어 보다 많은 슬러지(S)가 호퍼(40)내로 투입되는 것이다.
게속해서,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40)의 인입로(42) 일측에는 살수노즐(60)이 설치됨으로써, 호퍼(40)내에 슬러지가 모이어 낙하되면, 상기 살수노즐(60)이 분사작동하여 상기 슬러지를 호퍼 인입로(42)를 통하여 가압 분리조(10) 외부로 배출시키며, 이와 같은 살부노즐(60)은 종래 많은 수분을 갖고 있는 슬러지가 호퍼(40) 인입로(4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은 현상을 해결토록 한다.
한편, 상기 스크레퍼(30)가 회전샤프트(20)상에 플레시블한 연결판(34)을 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상시 스크레퍼(30)는 보다 확실하게 가이드 테이블(44)과 연동하면서 가압분리조(10)내의 슬러지(S)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센서(50a)(50b)와 실린더(46) 및 분리조 하측의 구동모터(미도시)는 조작판넬에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샤프트(20)와 실린더(46)의 작동속도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가압분리조(10)의 슬러지가 보다 확실하고 깨끗하게 제거됨으로 인하여, 후공정은 기폭조 처리고정이 운활하게 수행되며, 결국 전체 유기물 폐수처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유기물 폐수처리용 슬러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가압 분리조내에 부유된 슬러지를 모아서 호퍼내에 투입하는 스크레퍼의 슬러지 제거작동시, 상기 슬러지의 호퍼 투입위치에 맞추어 상,하 작동하는 호퍼 가이드 테이블로 인하여, 슬러지의 제거작업이 보다 완벽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더하여, 가압 분리조의 술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 인하여, 전체 유기물 폐수공정의 정밀성이 향상되고, 결국 폐수처리 불량작업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가압부상 분리조(10)의 중앙부분에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로서 회전작동하는 구동축(22)에 연설된 회전샤프트(20)의 양측으로 부유된 슬러지(s)를 모으는 스크레퍼(30)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조(10)내에는 대략 90도 간격으로 내부에 슬러지 인입로(42)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으로 가이드테이블(44)이 설치된 슬러지 호퍼(40)가 설치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20)는 구동축(22)에 고정된 고정블록(24)의 외주면 양측에 수평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스크레퍼(30)는 회전샤프트(20)의 하측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40)의 가이드테이블(44)은 상기 호퍼(40)의 상부 일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 고정되어 상기 스크레퍼(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20)와 분리조(10)에는 서로 감지되는 송,수신 센서(50a)(50b)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가이드테이블(44)은, 상기 분리조(10)의 호퍼 (40)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46)의 로드가 연설되어 상기 실린더(46)의 작동시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6)는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속도와 그 상승속도가 일치토록 조정 설치되며, 상기 호퍼(40)의 인입로(42) 일측에는 살수노블(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30)는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양측에 결합된 고정블록(32)으로서 연결된 플렉시블한 연결판(34)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유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19990023253U 1999-10-27 1999-10-27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0182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253U KR200182915Y1 (ko) 1999-10-27 1999-10-27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253U KR200182915Y1 (ko) 1999-10-27 1999-10-27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15Y1 true KR200182915Y1 (ko) 2000-05-15

Family

ID=1959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253U KR200182915Y1 (ko) 1999-10-27 1999-10-27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16B1 (ko) * 2001-09-27 2007-07-09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 가압부상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N110424686A (zh) * 2019-08-29 2019-11-08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二次结构混凝土料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16B1 (ko) * 2001-09-27 2007-07-09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 가압부상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N110424686A (zh) * 2019-08-29 2019-11-08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二次结构混凝土料斗
CN110424686B (zh) * 2019-08-29 2024-04-26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二次结构混凝土料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2915Y1 (ko)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CN207811314U (zh) 一种油水分离设备
CN210237323U (zh) 河水污水污泥处理装置
CN114671480B (zh) 一种市政污水处理设备及其方法
CN215592767U (zh) 一种三相旋流萃取装置
CN216092638U (zh) 一种节能型高含尘废水澄清器
CN212772760U (zh) 旋流沉沙机
CN211303222U (zh) 一种餐厨垃圾处理设备
CN210711192U (zh) 塑料清洗用水的循环处理装置
CN202924816U (zh) 一种滗水除渣一体化装置
CN108118668A (zh) 生化池漂浮物收集器
CN112279477A (zh) 防堵塞的固废污泥输送管道
CN103394483B (zh) 活性碳自动洗涤除尘装置
KR20050033406A (ko)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침사 제거 및 종합 전처리 장치
CN212894211U (zh) 用于海洋表面渗漏油污清理的油水分离设备
KR200368817Y1 (ko) 가동형 스컴 저지판을 가진 원형 침전지의 스컴 제거장치
CN220110585U (zh) 带有防止堵塞结构的废液处理装置
CN214060292U (zh) 防堵塞的固废污泥输送管道
CN220047391U (zh) 一种二沉池出水堰除藻装置
CN215137192U (zh) 一种污水处理厂污泥再利用的清洁装置
CN210915559U (zh) 一种油水分离器温度监控装置
CN219384870U (zh) 一种龙门镀铜生产线用除油废水回收装置
KR200368818Y1 (ko) 고정형 공기 분사관을 가진 원형 침전지의 스컴 제거장치
KR200368801Y1 (ko) 원형 침전지의 스컴 제거 장치
CN220703492U (zh) 纸张生产污泥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