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357Y1 - 타이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357Y1
KR200182357Y1 KR2019990028366U KR19990028366U KR200182357Y1 KR 200182357 Y1 KR200182357 Y1 KR 200182357Y1 KR 2019990028366 U KR2019990028366 U KR 2019990028366U KR 19990028366 U KR19990028366 U KR 19990028366U KR 200182357 Y1 KR200182357 Y1 KR 200182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tact piece
close contact
support member
ru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모
Original Assignee
남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모 filed Critical 남영모
Priority to KR2019990028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밀착편과, 상기 내측 밀착편과 연결편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타이어의 파열시 차량을 지지하는 외측 밀착편으로 이루어진 최소 3개 이상의 분할 지지부재로 구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분할 지지부재의 일측 측벽면에 조립핀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다른 분할 지지부재의 측벽면에 핀공을구비하여 상호 끼워맞춤되게 하며, 각각의 분할 지지부재의 측벽면을 관통하는 보울트 삽입공을 형성하여 보울트가 체결되도록 하는 조립수단과, 상기 내측 밀착편에 접착되어 동작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내측 탄성부재와, 외측 밀착편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타이어의 파열시 노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외측 탄성부재로 구성된 탄성부재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타이어의 파열시 휠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파열되지 않은 다른 타이어와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타이어와 휠에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안전장치{TIRE SAFETY APPARATUS}
본 고안은 타이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 외경에 지지부재를 밀착 고정하여 타이어의 파열시 휠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차량이 주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에 따른 편리함과 제작성이 우수한 타이어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 그에 따르는 각종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는 차량에는 직,간접적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가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차량의 모든 위험요소를 해소할 수 없으며, 고속 주행시 타이어를 파열 때문에 일어나는 돌발 사고에 대한 안전장치는 개발된 바 없다.
이를 테면 자동차의 구동 및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휠(wheel)은 타이어를 지지하는 림과 휠허브에 설치하는 디스크로 이루어지고, 휠의 림 외경에는 타이어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휠은 타이어와 함께 차량의 전체 중량을 분담하여 지지하게 되고, 구동 및 제동시의 토크, 노면으로 부터의 충격력, 선회시의 원심력과 구심력 그리고 차량이 기울어졌을때의 하중 등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용이한 조립 및 분해를 위해 자체 중량이 가벼워야 한다.
도 1 은 이러한 종래의 휠에 타이어가 장착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과 같이 휠(100) 외경에 타이어(200)가 끼워져 조립된 구조이다.
상기 휠(100)은 타이어(200)가 끼워져 장착되는 림(110)과, 림(11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차량의 허브(미도시)에 장착되는 디스크(1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림(110)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타이어(200)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되는 밸브(130)가 구비된다.
상기 타이어(200)는 휠(100)의 림(110) 외경에 삽입 장착되어 차량의 구동 및 제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종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에서와 같이 휠(100)의 림(110) 외경에 타이어(200)를 억지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휠(100)의 림(110) 외경에 타이어(200)가 억지로 삽입 장착되어 차량의 구동 및 제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힐(100)의 림(110)에 구비된 공기 밸브(130)를 통하여 타이어(200) 내부의 공기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타이어는 타이어 자체가 오래되어 낡았거나 기타 외부요인에 의하여 완전히 파열되었을 때 차량이 파열된 타이어 측으로 급격하게 쏠리게되며, 특히 고속도로 등에서 고속 주행시에는 인명이 살상되는 등 대형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이어의 내측에 안전수단을 구비하여 타이어의 파열시 휠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파열되지 않은 다른 타이어와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이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타이어와 휠에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이어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파열시에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타어어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연으로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과, 상기 림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크로 이루어진 휠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밀착편과, 상기 내측 밀착편과 연결편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타이어의 파열시 차량을 지지하는 외측 밀착편으로 이루어진 최소 3개 이상의 분할 지지부재로 구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분할 지지부재의 일측 측벽면에 조립핀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다른 분할 지지부재의 측벽면에 핀공을 구비하여 상호 끼워맞춤되게 하며, 각각의 분할 지지부재의 측벽면을 관통하는 보울트 삽입공을 형성하여 보울트가 체결되도록 하는 조립수단과, 상기 내측 밀착편에 접착되어 동작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내측 탄성부재와, 외측 밀착편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타이어의 파열시 노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외측 탄성부재로 구성된 탄성부재가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내측 밀착편과, 외측 밀착편 사이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수단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외측 밀착편이 내측밀착편 보다 크게 구성되도록 측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구성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 은 종래 차량의 휠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은 본 고안이 적용된 타이어 안전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 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휠 11 : 림
20 : 타이어 30 : 지지부재
31a-31d : 분할 지지부재 32 : 내측 밀착편
33 : 외측 밀착편 34 : 연결편
35 : 관통부 36 : 측벽면
37 : 보울트 삽입공 38 : 핀공
41 : 내측 탄성부재 42 : 외측 탄성부재
50 : 조립수단 51 : 핀
52 : 보울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최소 3 등분 이상,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지지부재(3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수개의 분할 지지부재(31a-d)가 링형상으로 휠(10)의 외주면에 조립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30)는 최소 3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 등분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으로도 등분이 가능하나, 여기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로 등분되어 조립되는 분할 지지부재(31a-d)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휠(10)은 타이어(20)가 끼워져 장착되는 림(11)과, 림(11)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차량의 허브(미도시)에 장착되는 디스크(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타이어(20)는 휠(10)의 림(11) 외경에 삽입 장착되어 차량의 구동 및 제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조의 휠(10) 즉 림(11) 외주면에 고정되어 타이어(2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각각의 분할 지지부재(31a-d)는 내측 및 외측 각각에 갖추어진 밀착편(32)(33)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편(34) 그리고, 양측벽면(36)에 갖추어져 상호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수단(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분할 지지부재(31)는 측단면이 도 3 과 같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 밀착편(33)이 내측 밀착편(32) 보다 크게 구성되어 타이어(20)의 파열시 노면과 맞닿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안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측 밀착편(32)과, 외측 밀착편(33) 사이에는 다수개의 관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측 밀착편(32)과 외측 밀착편(33)은 양측벽면(36)과, 중앙의 연결편(3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편(34)의 양측과 측벽면(36) 사이는 관통된 상태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조립작업이 편리하도록 하고, 지지부재(30)의 제작시 원자재 절감과 같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밀착편(32)과, 외측 밀착편(33)의 각각의 표면에는 고무를 주재로 하는 탄성부재(41)(42)가 접착되어 있는데, 먼저 내측 밀착편(32)에 갖추어진 탄성부재(41)는 림(11)과 지지부재(31) 사이에 탄발력을 부여하여 이들을 밀착시켜 동작시 지지부재(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외측 밀착편(33)에 접착된 탄성부재(42)는 타이어(20)의 파열시 노면으로 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수단(50)은 도 5 및 도 6 과 같이 조립핀(51)과 보울트(52)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조립핀(51)은 지지부재(30)의 측벽면(36)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대향측 지지부재(30)의 측벽면에 연결된 핀공(38)에 끼워맞춤되는 구성으로, 이 조립핀(51)은 도면과 4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울트(52)는 조립핀(31)의 안쪽으로 갖추어진 보울트 삽입공(37)에 끼워져 인접하는 지지부재를 연결 조립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타이어(20)의 파열시 차량의 균형을 유지시켜 고속 주행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먼저 제1 분할지지부재(31a)를 림(11)의 외주연에 맞대고, 제2분할 지지부재(31b)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분할 지지부재(31a.b)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핀(51)이 갖추어져 있고, 그 대향측에는 핀공(38)이 형성되어 이들을 끼워 조립한다.
역시 제3 및 제4 분할 지지부재(31c)(31d)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핀(51)과 핀공(38)을 맞추어 먼저 조립한 다음 보울트 삽입공(37)에 보울트(52)를 끼워 너트(53)와 체결한다.
이때 상기 보울트(52)는 처음부터 완전히 조이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먼저 헐겁게 조인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완전히 조여 지지부재(3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어느 한편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이러한 조립 방법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다.
즉 상기 너트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재의 일측벽에 절삭 가공하여 보울트를 체결하는 방법도 있으며, 보울트가 아닌 다른 체결수단 예를 들면 클램프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등간격으로 등분된 최소 3개 이상의 분할 지지부재가 림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조립되어 타이어의 파열시 외측 밀착편이 휠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균형이 유지되고 그에 따라 고속 주행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동일한 규격의 분할 지지부재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제작성이 우수하고,내측 밀착편과 외측 밀착편 사이에 관통부가 갖추어져 이를 통해 보울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측벽면에 조립핀이 구비되어 보울트 체결 이전에 각 지지부재의 균형을 유지시키고, 보울트 조임시 각 지지부재가 틀어지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 밀착편과 외측 밀착편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르는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하여 운전자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줄 수 있는 고안인것이다.

Claims (3)

  1. 외주연으로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과, 상기 림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크로 이루어진 휠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밀착편과,상기 내측 밀착편과 연결편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타이어의 파열시 차량을 지지하는 외측 밀착편으로 이루어진 최소3개 이상의 분할 지지부재로 구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분할 지지부재의 일측 측벽면에 조립핀을 구비하고,인접하는 다른 분할 지지부재의 측벽면에 핀공을 구비하여 상호 끼워맞춤되며,각각의 분할 지지부재의 측벽면을 관통하는 보울트 삽입공을 형성하여 보울트가 체결되도록 하는 조립수단과,
    상기 내측 밀착편에 접착되어 동작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내측 탄성부재와, 외측 밀착편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타이어의 파열시 노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외측 탄성부재로 구성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밀착편과, 외측 밀착편 사이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수단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외측 밀착편이 내측 밀착편 보다 크게 구성되도록 측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안전장치.
KR2019990028366U 1999-12-15 1999-12-15 타이어 안전장치 KR200182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366U KR200182357Y1 (ko) 1999-12-15 1999-12-15 타이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366U KR200182357Y1 (ko) 1999-12-15 1999-12-15 타이어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238A Division KR100325891B1 (ko) 2000-03-22 2000-03-22 타이어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357Y1 true KR200182357Y1 (ko) 2000-05-15

Family

ID=1960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366U KR200182357Y1 (ko) 1999-12-15 1999-12-15 타이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2823A (zh) * 2023-01-09 2023-04-18 江苏托普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行驶过程中轮胎防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2823A (zh) * 2023-01-09 2023-04-18 江苏托普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行驶过程中轮胎防爆装置
CN115972823B (zh) * 2023-01-09 2023-09-12 江苏托普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行驶过程中轮胎防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563A (en) Wheel assembly including a solid tire
JP3429766B2 (ja) 車輪用非常走行リング
EP1539508B1 (en) Run-flat device
US4424842A (en) Vehicle wheel having safety tread
KR20100101740A (ko) 비공기식 자동차용 타이어
KR200182357Y1 (ko) 타이어 안전장치
KR100325891B1 (ko) 타이어 안전장치
EP1222078B1 (en) Tire with knurls in bead surface
JPH02246811A (ja) 空気入りタイヤ用中子組立体
KR100399170B1 (ko) 타이어파열 지지장치
US4252377A (en) Blowout protector
JPH03231007A (ja) 安全タイヤ車輪
KR200184527Y1 (ko) 타이어 안전장치
KR200404019Y1 (ko) 타이어 보호를 위한 보조 디스크 구조
EP0147495B1 (en) Vehicle wheel having safety tread
WO2008104730A1 (en) Improved run-flat device
JPS6133304A (ja) タイヤをホイ−ルリムに取り付けるための多機能固定装置
US2520560A (en) Vehicle wheel
KR200184528Y1 (ko) 타이어 안전장치
GB2283710A (en) Solid tyre and split wheel rim assembly
CN219467469U (zh) 一种抗疲劳的驱动桥桥壳结构
KR200202900Y1 (ko) 타이어파열 지지장치
CN217259414U (zh) 一体式免充气轮胎
KR200341534Y1 (ko) 슬리피지 방지를 위한 타이어와 림의 비드 시트부의접촉부 구조
KR940005348Y1 (ko) 자전거 바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