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27Y1 -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27Y1
KR200181727Y1 KR2019970020395U KR19970020395U KR200181727Y1 KR 200181727 Y1 KR200181727 Y1 KR 200181727Y1 KR 2019970020395 U KR2019970020395 U KR 2019970020395U KR 19970020395 U KR19970020395 U KR 19970020395U KR 200181727 Y1 KR200181727 Y1 KR 200181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corder
locking
cover
housing cov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902U (ko
Inventor
박찬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0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2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개폐되는 하우징 커버를 갖는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을 복개하는 상부 덮개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상부 덮개를 캠코더의 케이스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부 덮개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걸이구와, 케이스부에 형성된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에 수납되어 상기 걸이구에 걸리며 상기 걸이구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록킹구와, 상기 록킹구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캠코더의 하우징 커버의 상면을 복개하는 별도의 상부 덮개를 구비하여 하우징 커버와 캠코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데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본 고안은 캠코더의 하우징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 커버의 상면을 복개하는 별도의 상부 덮개를 구비하여 하우징 커버와 캠코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데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코더 본체(1)의 전면에 렌즈부(2)가 결합되어 있고, 본체(1)의 일측에는 뷰파인더(3)가 조립되어 있으며, 타측면에는 데크메카니즘 조립체(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캠코더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T)를 데크메카니즘 조립체(4)에서 이젝트시키려면, 이젝트 레버(5)를 구동시켜 하우징 커버(6)를 캠코더의 측방향으로 개방시킴으로써 테이프(T)가 이젝트된다. 또한, 테이프가 인서트되는 동작도 캠코더 본체(1)의 측방향에서 테이프가 안착되어 하우징 커버(6)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캠코더의 이젝트 구조에서는 하우징 커버(6)가 개폐되는 방향이 캠코더 본체(1)의 측방향이기 때문에 하우징 커버(6)가 닫힌 상태에서도 하우징 커버(6)의 상단부와 캠코더 케이스 사이에 일정한 틈새(gap)가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데크의 내부로 침입하여 데크 메카니즘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 커버와 캠코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캠코더의 외관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캠코더의 데크 메카니즘 조립체의 하우징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코더 본체 6 ; 하우징 커버
10 ; 상부 덮개 11 ; 스프링
12 ; 걸이구 13 ; 록킹부
14 ; 스프링 15 ; 록킹구
16 ; 슬라이드 노브 17 ; 개방판
18 ; 판스프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는 측방향으로 개폐되는 하우징 커버를 갖는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을 복개하는 상부 덮개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상부 덮개를 캠코더의 케이스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부 덮개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걸이구와, 케이스부에 형성된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에 수납되어 상기 걸이구에 걸리며 상기 걸이구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록킹구와, 상기 록킹구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캠코더의 하우징 커버의 상면을 복개하는 별도의 상부 덮개를 구비하여 하우징 커버와 캠코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데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데크 메카니즘의 하우징 커버(6)의 상면을 복개하는 상부 덮개(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상부 덮개(10)는 케이스(1)측에 설치된 록킹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부 덮개(10)에 스프링(11)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걸이구(12)와, 케이스(1)부에 형성된 록킹부(13)와, 상기 록킹부(13)에 수납되어 상기 걸이구(12)에 걸리며 상기 걸이구(12)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14)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록킹구(15)와, 상기 록킹구(15)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노브(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12)와 록킹구(15)에는 각각 후크(12a)(15a)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노브(16)에는 상,하 후크(16a)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킹구(15)에는 이러한 상,하 후크(16a)가 고정되는 후크고정공(15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덮개(10)의 하단부에는 개방판(17)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개방판(17)과 대응되는 케이스(1)의 내측에는 록킹해제시 상부 덮개(1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판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덮개(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노브(16)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드 노브(16)가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록킹구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록킹구(15)와 맞물려 있던 상부 덮개(10)의 걸이구(12)가 자유상태가 됨으로써 판스프링(18)에 의해 상측으로 탄지되어 있던 상부 덮개(10)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 레버를 작동시키면, 하우징 커버(6)는 데크 메카니즘에 의해 캠코더 본체(1)의 측방향으로 동작되어 테이프를 이젝트 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테이프를 교환한 후에 다시 하우징 커버(6)가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상부 덮개(10)를 닫아주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상부 덮개(10)를 닫는 동작은 슬라이드 노브(16)를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부 덮개(10)를 닫아주어 걸이구(12)의 후크(12a)가 록킹구(15)의 후크(15a)에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위치된 후에 슬라이드 노브(16)를 놓아주게 되면, 스프링(14)에 의해 록킹구(15)는 걸이구(12)를 록킹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부 덮개(10)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케이스(1)의 판스프링(18)은 상부 덮개(10)의 개방판(17)을 상측으로 탄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 덮개의 길이를 하측으로 연장하여 하우징 커버와 일체로 형성한 상부 덮개(2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는 캠코더의 하우징 커버의 상면을 복개하는 별도의 상부 덮개를 구비하여 하우징 커버와 캠코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데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캠코더 본체의 상면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측방향으로 개폐되는 하우징 커버를 갖는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을 복개하는 상부 덮개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상부 덮개를 캠코더의 케이스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부 덮개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걸이구와, 케이스부에 형성된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에 수납되어 상기 걸이구에 걸리며 상기 걸이구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록킹구와, 상기 록킹구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KR2019970020395U 1997-07-30 1997-07-30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KR200181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95U KR200181727Y1 (ko) 1997-07-30 1997-07-30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95U KR200181727Y1 (ko) 1997-07-30 1997-07-30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02U KR19990006902U (ko) 1999-02-25
KR200181727Y1 true KR200181727Y1 (ko) 2000-05-15

Family

ID=1950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395U KR200181727Y1 (ko) 1997-07-30 1997-07-30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02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727Y1 (ko) 캠코더의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JP3814703B2 (ja) 開き障子の開き止め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0139218Y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100456872B1 (ko) 퓨얼필러도어의 결합구조
KR100528495B1 (ko) 셔터 록킹 장치
KR200187449Y1 (ko) 가구용 힌지 조립체
KR950006953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커버 스프링 이탈방지구조
KR920004981Y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 개폐장치
KR960006252Y1 (ko) 텔레비죤 셋트의 도어구조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930005279Y1 (ko) 전기ㆍ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부착 및 로크장치
KR930004049Y1 (ko) 다단레버 구동장치
KR940000684Y1 (ko) 도어클로우저
KR0128146Y1 (ko) 세탁기의 도어
KR200141286Y1 (ko) 도어 컨트롤 박스 결합장치
JP2003041835A (ja) ドアの煽り止め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940002122Y1 (ko) 캠코더의 테이프 안내장치
KR0117853Y1 (ko) 제품의 렌즈 덮개장치
KR920006100Y1 (ko) Vtr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2250Y1 (ko) Vtr의 전면도어 개폐장치
KR0137368Y1 (ko) 전자제품의 도어
KR200257916Y1 (ko) 콤팩트디스크체인저의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