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431Y1 -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431Y1
KR200181431Y1 KR2019990025536U KR19990025536U KR200181431Y1 KR 200181431 Y1 KR200181431 Y1 KR 200181431Y1 KR 2019990025536 U KR2019990025536 U KR 2019990025536U KR 19990025536 U KR19990025536 U KR 19990025536U KR 200181431 Y1 KR200181431 Y1 KR 200181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t
roll
rolling mill
moving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정일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5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워크롤 교체시 스핀들 스팟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교정함으로서 작업을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조질압연기 롤 교체장치의 롤 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교체용 워크롤이 적치되는 교환대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양 측면에 구동롤러가 설치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 이동부재, 레일부재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워크롤의 스팟을 걸어 회전시키기 위한 포크부재로 이루어진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roll in roll replace equipment of skin-pass rolling mill}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강 생산을 위한 압연라인에서 표면 형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조절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질압연기에 장착되는 워크롤 교체작업시 워크롤을 스핀들 홈에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은 냉간 가공에 의해 인성이 감소하고 강도가 증대되는 성질이 있어, 사용에 적합하도록 재질을 조정하여 인성을 늘릴 필요가 있는 데, 이를 위해 강판을 어닐링(annealing)해서 내부 응력을 제거한 후 결정립자를 세밀하게 하기 위한 조질압연을 실시하게 된다.
조질압연기는 2단 또는 4단식으로 되어 있는 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식은 압연기 본체(100) 내부에 스트립과 직접 접하는 상,하워킹롤(110,112)과, 워킹롤(110,112)에 각각 밀착되어 워킹롤(110,112)의 완곡, 절손을 방지하기 위한 상,하백업롤(114,116) 및, 워킹롤(110,112)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1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워킹롤(110,112)의 축 선단에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스팟(120)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모터(118)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핀들(122)의 스팟홈(124)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워킹롤(110,112)은 조질압연기의 측방향으로 놓여있는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교환대차(150)에 실려 압연기로 이동되어 장착 또는 교체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워킹롤을 압연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워킹롤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팟을 스핀들에 형성된 스팟홈에 정확히 일치시켜 끼워 넣어야 자동 시퀀스에 의한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데, 종래에는 상기 스팟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치구를 사용하여 스팟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작업자가 스팟에 끼워지고 양 쪽에 바가 돌출된 별도의 치구를 인출측의 워크롤 스팟에 끼운 후 상,하 바를 두들겨 스팟을 스핀들 스팟홈과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수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워크롤 교체시 스핀들 스팟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교정함으로서 작업을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조질압연기 롤 교체장치의 롤 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질압연기와 이 압연기에 롤을 교체시키기 위한 교체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 위치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위치 조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일부재 12 : 구동롤러
14 : 이동부재 16 : 구동실린더
18 : 구동모터 20 : 포크부재
30,36 : 감지센서 32,34 : 감지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체용 롤이 운반되는 대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롤의 스팟을 회전시켜 정확한 위치에 스팟이 다다르게 되면 구동모터의 작동을 멈춰 스팟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조질압연기와 이 압연기에 롤을 교체시키기 위한 교체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 위치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교체용 워크롤(110,112)이 적치되는 교환대차(15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재(10)와, 양 측면에 구동롤러(12)가 설치되어 레일부재(10)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 이동부재(14)와 레일부재(10)에 설치되어 이동부재(14)를 밀고 당겨 레일부재(10)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16) 및, 이동부재(14)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8)와, 구동모터(1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워크롤의 스팟(120)을 걸어 회전시키기 위한 포크부재(20)로 이루어진다.
포크부재(20)는 양 선단이 스팟(120)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스팟(1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된 부재로, 내측 폭이 스팟(120)의 폭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대차(150)에는 상부워크롤(110)과 하부워크롤(112)이 놓여지게 되므로, 각각의 스팟(120)을 개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구동모터(18)와 포크부재(20)를 구비한다.
즉, 상부워크롤(110)의 스팟(12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8)는 이동부재(14) 상부에 고정설치하여 회전축에 연결된 포크부재(20)의 중심과 스팟(12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한다.
다른 구동모터(18)는 이동부재(14) 하부에 설치브라켓(22)을 매개로 장착하여 구동모터(18)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포크부재(20)의 중심이 하부워크롤(112)의 스팟(120) 중심과 일치하도록 한다.
포크부재(20)와 구동모터(18)의 회전축 사이에는 감속기(24)를 설치하여 모터(18)의 회전속도를 충분히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팟(120)이 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18)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스팟(120) 일측편에 감지편(30)을 설치하고, 대차에는 상기 감지편(30)을 센싱하기 위한 감지센서(32)를 설치하여 회동되는 스팟(120)이 스핀들(122)의 스팟홈(124)에 체결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팟(120)의 감지편(30)이 감지센서(32)에 감지되어 구동모터(18)를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스팟(120)은 세워진 상태가 되어야 워크롤 구동모터(118)의 스핀들(122)에 형성된 스팟홈(124)에 끼워질 수 있게 되고 스팟(120)의 측면은 포크부재(20)에 끼워지므로, 스팟(120)의 상단과 하단에 감지편(30)을 설치한다.
그리고 감지센서(32)는 스팟(120)과 스팟(120) 사이에 놓여지도록 하여 교환대차(150) 또는 레일부재(10)에 브라켓(38)으로 고정설치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34)와 (36)는 구동실린더(1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레일부재(10)와 이동부재(14)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편과 감지센서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워크롤 교환대차(150)에 교환용 상,하부 워크롤(110,112)을 적치한 후 작업자는 컨트롤패널(도시되지 않음) 등의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워크롤의 스팟(120)을 회동시켜 워크롤 구동모터(118)의 스핀들(122)과 체결가능한 위치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치 조작에 따라 구동실린더(16)가 신장작동되어 실린더(16)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재(14)를 밀게 되고, 이동부재(14)는 측면의 구동롤러(12)가 레일부재(10)을 따라 구르면서 워크롤(110,112)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재(14)에 설치된 구동모터(18)와 구동모터(18)의 회전축에 설치된 포크부재(20)가 전진하면서 상,하부 워크롤(110,112)의 각 스팟(120)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부재(14)가 포크부재(20) 선단이 스팟(120)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게 되면 레일부재(10)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편(34)이 이동부재(14)에 설치된 감지센서(32)에 감지되게 되고, 이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16)의 작동이 멈춰 이동부재(14)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하부 포크부재(20)는 스팟(120)과의 접촉부위를 둥글게 형성하여 스팟(120)과 접촉시 충격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이동부재(14)에 설치된 각 구동모터(18)가 작동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포크부재(20)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실린더(16)가 재작동하여 이동부재(14)를 스팟(120)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120)에 접촉된 포크부재(20)가 구동모터(18)에 의해 회전하면서 포크부재(20) 선단이 스팟(120)의 측면까지 회동하게 되면 즉, 스팟(120)과 포크부재(20)가 직교한 상태가 되면, 포크부재(20)는 구동실린더(16)의 작동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스팟(120)에 포크부재(20)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스팟(120)이 포크부재(20)에 끼워짐에 따라 포크부재(20)가 회동하면서 스팟(120)을 천천히 회전시키게 되는 데, 포크부재(20)는 스팟(120)이 스핀들(122)과 체결위치에 다다를 때가지 스팟(1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스팟(120)이 회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스팟(120)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편(30)이 감지센서(32)에 감지되게 되고,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8)는 작동을 멈춰 현재 위치에 스팟(120)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워크롤 구동모터(118)의 스핀들(122)에 형성된 스팟홈(124)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워크롤(110,112) 검사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작동과정이 동일하며, 단지 스팟(120)의 감지편(30)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의 작동을 배제하여 스팟(120)이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워크롤(110,112) 표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스팟(120)의 위치 교정이 이루어 진 후에는 작업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실린더(16)를 수축작동시킴으로서 이동부재(14)를 최초위치로 후진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에 의하면, 교체용 워크롤의 스팟을 기계적으로 회동시켜 줌에 따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교체용 워크롤이 적치되는 교환대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양 측면에 구동롤러가 설치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 이동부재, 레일부재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워크롤의 스팟을 걸어 회전시키기 위한 포크부재로 이루어진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 일측편에 감지편을 설치하고, 대차에는 상기 감지편을 센싱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회동되는 스팟이 스핀들의 스팟홈에 체결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팟의 감지편이 감지센서에 감지되어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KR2019990025536U 1999-11-19 1999-11-19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KR200181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536U KR200181431Y1 (ko) 1999-11-19 1999-11-19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536U KR200181431Y1 (ko) 1999-11-19 1999-11-19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431Y1 true KR200181431Y1 (ko) 2000-05-15

Family

ID=1959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536U KR200181431Y1 (ko) 1999-11-19 1999-11-19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4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89B1 (ko) * 2001-09-12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KR101325294B1 (ko) 2012-03-06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롤갭조절 장치
KR101511957B1 (ko) 2014-04-14 2015-04-14 태창기계공업(주) 클러스터형 다단 압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89B1 (ko) * 2001-09-12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KR101325294B1 (ko) 2012-03-06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롤갭조절 장치
KR101511957B1 (ko) 2014-04-14 2015-04-14 태창기계공업(주) 클러스터형 다단 압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431Y1 (ko) 조질압연기 롤 교체설비의 롤 위치 조정장치
KR101435071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KR100423872B1 (ko) 코일 내경 그립부 교정장치
KR200181433Y1 (ko) 수평식 가열로 롤 교환 장치
KR100990720B1 (ko) 냉연 루퍼의 스트립 사행 감지/교정장치
KR20040087753A (ko) 루퍼카의 스트립 센터링 유도장치
CN112041135B (zh) 旋转切割设备和运行旋转切割设备的方法
KR100408694B1 (ko)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JPH0716708B2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KR20000006780U (ko) 코일밴드의 절단위치 조정장치
KR200175353Y1 (ko) 밀에지재의 에지 돌출부 제거장치
JP3326101B2 (ja) 圧延ロールチョック着脱装置
KR200185484Y1 (ko)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KR100478724B1 (ko) 수직 루퍼의 판쏠림 교정장치
KR20130046576A (ko) 소재 상향 제어 장치
KR100742889B1 (ko)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KR200254427Y1 (ko) 변형 핫 코일의 교정장치
KR200178766Y1 (ko) 스트립 자동 벤딩 장치
KR100798070B1 (ko) 냉연강판의 스크랩볼 권취장치
KR20040045224A (ko) 코일 컨베이어의 코일위치 자동보정장치
KR100805548B1 (ko) 롤의 표면 이물질제거 및 정렬장치
KR100761740B1 (ko) 스트립 센터링장치
KR100779624B1 (ko) 백업롤 센터 자동맞춤 장치
KR101377819B1 (ko) 엣지결함개선기능이 구비된 슬라브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