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386Y1 -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386Y1
KR200181386Y1 KR2019960041632U KR19960041632U KR200181386Y1 KR 200181386 Y1 KR200181386 Y1 KR 200181386Y1 KR 2019960041632 U KR2019960041632 U KR 2019960041632U KR 19960041632 U KR19960041632 U KR 19960041632U KR 200181386 Y1 KR200181386 Y1 KR 200181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wire mesh
connecting plate
bol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611U (ko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김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춘 filed Critical 김영춘
Priority to KR201996004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3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철망이 부착되는 앵글을 칼럼에 고정시에 매우 간편한 수단에 의해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칼럼에 부착되어지는 연결판의 위치선정을 자유롭게 할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칼럼의 높이에 연결판을 견고하게 고정시킬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지면에 박혀서 지지역할을 하게되는 칼럼(10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 하기 위한 보강대(109)와, 상기 보강대(109)를 형성하고 있는 칼럼(10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울트(105)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른 위치선정이 가능토록 설치된 가이드홈(102)과, 상기 가이드홈(102)으로 결합되는 보울트(105)에 제결공(104)을 결합시켜서 와셔(106)와 너트(107)에 의해 고정 되어지고 양측에는 철망을 연결하고 있는 앵글(108)들을 부착시킬 수 있는 연결판(10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본 고안은 담장을 칠 때 사용되는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망이 부착되는 앵글을 컬럼에 고정시에 매우 간단한 수단에 의해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칼럼에 부착되어지는 연결판의 위치선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컬럼의 높이에 연결판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 타구역을 구분하기 위해서나 접근금지 구역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철망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
상기의 철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 개의 지주 형식의 컬럼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박아서 철망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컬럼에 철망을 부착하고 있는 앵글들을 고정하여 철망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컬럼에 철조망을 부착하고 있는 앵글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보울트들이 필요하게 되고 보울트가 끼워질 삽입공도 그만큼 많이 천공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제작과 조립등이 번거롭고 잔손질이 많이 가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칼럼의 체결공이 천공된 부위에만 보울트가 결합되어 앵글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앵글의 높이변경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보완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담장으로 사용되는 철망을 컬럼에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능률적인 작업성을 얻을 수 있고 견고한 체결구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칼럼 102 : 가이드홈
103 : 연결판 104 : 체결공
105 : 보울트 106 : 와셔
107 : 너트 108 : 앵글
109 : 보강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담장용 철망의 체결 구조는, 지면에 박혀서 지지역할을 하게되는 칼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를 형성하고 있는 칼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울트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른 위치선정이 가능토록 설치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으로 결합되는 보울트에 체결공을 결합시켜서 와셔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양측에 철망을 연결하고 있는 앵글들을 부착시킬 수 있는 연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 1과 도 2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박혀서 지지역할을 하게되는 칼럼(10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기위한 보강대(109)와, 상기 보강대(109)를 형성하고 있는 칼럼(10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울트(105)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른 위치선정이 가능토록 설치된 가이드홈(102)과, 상기 가이드홈(102)으로 결합되는 보울트(105)에 체결공(104)을 결합시켜서 와셔(106)와 너트(107)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양측에는 철망을 연결하고 있는 앵글(108)들을 부착시킬 수 있는 연결판(103)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칼럼(101)은 일측에 상기 연결판(103)을 부착할 수 있도록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면을 기준으로 대략 둥글게 라운딩 된 내부가 빈 지주 형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강대(109)는 내부가 빈 칼럼(101)에 작용하는 외압으로부터 칼럼(101)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칼럼(101)내부 중앙부위에서 상기 가이드홈(102)에 일체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02)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울트(105)의 머리 부분이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칼럼(101)의 평면상에 내측으로 대략 요홈형식으로 칼럼(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02)에 보울트(105)의 머리 부분을 끼웠을 때 머리부분이 빠지지 않도록 컬럼(101)의 평면이 약간씩 연장되어 요홈 형식의 가이드홈(102)의 입구 쪽을 막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칼럼(10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면에 박아서 설치를 한다.
상기 칼럼(101)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망을 설치하고 있는 앵글(108)을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판(103)을 체결고정 시켜야 한다.
즉, 상기 칼럼(101)에 형성된 가이드홈(102)으로 보울트(105)의 머리부를 삽입시키고 나사부는 가이드홈(10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보울트(105)는 가이드홈(102)내에서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위치선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의 노출된 보울트(105)의 나사부에는 연결판(103)의 체결공(104)을 삽입한 뒤 와셔(106)와 너트(107)를 체결시키면 연결판(103)의 고정작업이 완료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판(103) 양측에는 철망을 설치하고 있는 앵글(108)을 도2와 같이 보울트와 너트로 체결고정 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칼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으로 보울트의 머리부를 삽입한 구조이므로 가이드홈 내에서 상, 하 이동이 용이하여 연결판의 고정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의 고정을 1개의 보울트와 너트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작업능률의 향상과 간편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지면에 박혀서 지지역할을 하게되는 칼럼(10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 하기 위한 보강대(109)와, 상기 보강대(109)를 형성하고 있는 칼럼(10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울트(105)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른 위치선정이 가능토록 설치된 가이드홈(102)과, 상기 가이드홈(102)으로 결합되는 보울트(105)에 체결공(104)을 결합시켜서 와셔(106)와 너트(107)에 의해 고정 되어지고 양측에는 철망을 연결하고 있는 앵글(108)들을 부착시킬 수 있는 연결판(10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KR2019960041632U 1996-11-23 1996-11-23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KR200181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632U KR200181386Y1 (ko) 1996-11-23 1996-11-23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632U KR200181386Y1 (ko) 1996-11-23 1996-11-23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11U KR19980028611U (ko) 1998-08-05
KR200181386Y1 true KR200181386Y1 (ko) 2000-05-15

Family

ID=1947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632U KR200181386Y1 (ko) 1996-11-23 1996-11-23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682B1 (ko) * 2008-06-03 2010-11-16 남중환 휀스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40Y1 (ko) * 2009-04-09 2011-05-11 남중환 지주에 보호커버 및 반사판이 설치된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682B1 (ko) * 2008-06-03 2010-11-16 남중환 휀스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11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65756Y (zh) 单侧墙体模板装置
KR200181386Y1 (ko) 담장용 철망의 체결구조
KR102605421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체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385723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100650510B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100216125B1 (ko) 지중앵커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CN217233046U (zh) 一种建筑工程城建施工管理用可降尘的围挡
KR930001194Y1 (ko) 건축물의 수직대리석 지지구 고정관
KR100534213B1 (ko) 도로 시설물용 기초앵커
KR20020062410A (ko) 낙석차단용 휀스
JP2950419B1 (ja) 螺旋階段
KR100492687B1 (ko) 펜스
KR100431835B1 (ko) 이형봉강을 이용한 강재교각용 앵커
JP2555216Y2 (ja) 防護柵付き擁壁
KR100680322B1 (ko) 공동구 내 전선 케이블 지지 조립체.
KR200143185Y1 (ko)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0234905Y1 (ko) 낙석차단용 휀스
KR200329537Y1 (ko) 엘형육각앙카볼트를 이용한 조립 장치
KR200281478Y1 (ko) 펜스
KR200357299Y1 (ko) 가구의 서랍식 케이지의 레일 취부구조
KR200301023Y1 (ko) 배수관용 볼트너트
KR20050046031A (ko) 강관말뚝 보강장치의 강관과 철근 결합구조
JPS61376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1127

Effective date: 200411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