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034Y1 - 자전거의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034Y1
KR200181034Y1 KR2019980006961U KR19980006961U KR200181034Y1 KR 200181034 Y1 KR200181034 Y1 KR 200181034Y1 KR 2019980006961 U KR2019980006961 U KR 2019980006961U KR 19980006961 U KR19980006961 U KR 19980006961U KR 200181034 Y1 KR200181034 Y1 KR 200181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pedal
folding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054U (ko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2019980006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0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3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 foldable crank 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6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축과 헤드튜브, 수평 프레임, 안장받침, 안장튜브, 스탠드, 페달등의 구조를 개량하여 자전거의 거의 전부품에 걸쳐 절첩이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자전거의 대폭적인 체적축소가 가능토록 하여 휴대 및 보관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헤드튜브와 안장튜브, 수직 프레임에 끼워진 핸들축, 안장받침, 안장튜브가 슬라이딩상태로 승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로킹구조와; 헤드튜브를 횡 프레임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직각이상 선택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체결구조; 및 횡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되어 분리 결합된 양측 횡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일직선상으로 결속시키거나 힌지를 중심으로 180도이상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절첩구조 및 프레임의 절첩여부를 제어하는 로킹구조; 그리고 크랭크에서 좌,우측페달이 절첩 또는 회동될 수 있도록 페달절첩구조; 및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스탠드구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절첩장치
본 고안은 자전거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축과 헤드튜브, 수평 프레임, 안장받침, 안장튜브, 스탠드, 페달등의 구조를 개량하여 자전거의 거의 전부품에 걸쳐 절첩이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자전거의 대폭적인 체적축소가 가능토록 하여 휴대 및 보관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통상적인 구조의 자전거는 핸들축과 안장받침이 사용자의 신체적조건에 맞도록 헤드튜브와 안장튜브내에 끼워져 소폭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는 있으나 이는 체적의 축소가 목적이 아니고 단지 신체적용의 목적이므로 체적축소의 기능이 거의 없는 것이며,
핸들축과 헤드튜브, 횡 프레임, 안장받침, 안장튜브, 스탠드, 페달등의 구조가 절첩이 불가능한 고정구조의 것이 대부분이어서 필요에 따른 체적의 축소가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자전거의 장거리 이동시에는 차량의 천장에 싣거나 트렁크를 열어 놓은 상태로 수납하게 되는 것으로 휴대나 보관에 애로점이 많아 취급에 불편함을 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절첩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전거의 거의 전부품에 걸쳐 절첩이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자전거의 대폭적인 체적축소가 가능토록 하여 휴대 및 보관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헤드튜브와 안장튜브, 종 프레임에 끼워진 핸들축, 안장받침, 안장튜브가 슬라이딩상태로 승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로킹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헤드튜브를 횡 프레임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직각이상 선택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헤드튜브체결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횡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되어 분리 결합된 양측 횡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일직선상으로 결속시키거나 힌지를 중심으로 180도이상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절첩구조 및 프레임의 절첩여부를 제어하는 로킹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크랭크에서 좌,우측페달이 절첩 또는 회동될 수 있도록 페달절첩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출몰 절첩되는 스탠드 구조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공지의 자전거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핸들축의 높낮이 조절겸용 절첩구조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a)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헤드튜브의 절첩구조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횡 프레임의 절첩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평면 예시도.
도 (4c)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4d)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4e)는 도 (4b)의 C-C선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좌측 페달의 절첩구조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 예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우측 페달의 절첩구조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스탠드의 구조를 보이는 종단면 예시도.
도 (7b)는 도 (7a)의 측면 예시도.
도 (7c)는 스탠드를 절첩하는 상태를 보이는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전거를 완전히 절첩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핸들축 2:헤드튜브 3:안장받침
4:안장튜브 10a,10b,10c:로킹구조 11:볼 안착홈
12:위치세팅용 볼 13:판 스프링 14:로킹캠체결홈
15:브라켓 16:고정핀 17:레버
18:로킹캠 20:헤드튜브절첩구조 21,21':브라켓
22:포크 22':지지관 23:고정핀
24:반원형의 안내공 25:로킹캠 25':레버
26:슬라이더 26':걸림홈 26":손잡이
27:안내장공 30:프레임절첩구조 31,31':지지편
32:지지구 32':절첩제한턱 33:고정핀
34:안내공 35:로킹캠 35':레버
36:브라켓 37:슬라이더 37':걸림홈
37":손잡이 40:페달절첩구조 41:요홈
42:페달브라켓 42':곡면부 42":평면부
43:고정핀 44:절첩제어구 44':손잡이
45:탄발 스프링 46:안내장공 47:끼움홈
50:페달회동구조 51:고정회동제한턱 52:단관부
53:가동회동제한턱 54:페달지지축 55:볼
56,56':안착홈 57:판 스프링 60:스탠드 구조
61:스탠드지지구 61':유통공 61":회동 억제홈
62:스탠드브라켓 62':작동로드 63:너트
64:탄발 스프링 65:단관핀 66,66':받침각
67,67':스프링걸림돌기 68:토션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헤드튜브(2)와 안장튜브(4)내에서 핸들축(1)과 안장받침(3)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지구조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1)과 안장받침(3) 및 안장튜브(4)의 승강을 임의의 위치에서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핸들축(1)과 안장받침(3) 및 안장튜브(4)의 외주면에 요설되는 하나 이상의 볼 안착홈(11) 및 이에 끼워져 판스프링(13)을 이용하여 일방향의 탄성 가압력이 부여되는 위치세팅용 볼(12) 및 볼 안착홈(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요입형성되는 로킹캠체결홈(14)과, 상기 헤드튜브(2)와 안장튜브(4) 및 종 프레임(f1)의 상단에 브라켓(15)과 고정핀(16)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며 레버(17)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킹캠체결홈(14)에서 삽,탈되는 로킹캠(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킹구조(10a)(10b)(10c)와;
자전거의 포크(22)의 지지관(22')상에서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헤드튜브(2)를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시키기 위하여 자전거의 포크(22)의 지지관(22')의 상단일측과 상기 지지관(22')과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헤드튜브(2)의 하단일측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고정핀(23)으로 상호 결합되는 브라켓(21)(21')과, 상기 헤드튜브(2)와 지지관(22')의 접면부위를 공유하는 상태로 천공 형성되는 반원형의 안내공(24)과, 상기 브라켓(21)(21')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레버(25')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내공(24)에서 삽,탈되는 로킹캠(25)과, 상기 헤드튜브(2)에 천공되는 안내장공(2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26")와 상기 로킹캠(2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홈(26')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장공(27)의 범위내에서 이동하면서 헤드튜브(2)의 회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더(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튜브절첩구조(20)와;
개별적으로 양분된 자전거의 횡 프레임(f2)(f3)의 일측면을 각각 감싸주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지지편(31)(31')과, 상기 횡 프레임(f2)(f3)의 접면부를 중심으로 균등한 길이로 횡 프레임(f2)(f3)의 타측면을 감싸주는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핀(33)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편(31)(31')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부에 횡 프레임(f2)(f3)의 절첩시 절첩각을 제한하는 절첩제한턱(32')을 구비하는 반원형의 지지구(32)와, 상기 지지구(32)와 각 횡 프레임(f2)(f3)의 접면부를 공유하는 상태로 천공 형성되는 반원형의 안내공(34)과,
상기 지지구(32)상에 고정된 브라켓(36)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레버(35')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내공(34)에서 삽,탈되는 로킹캠(35)과, 일측의 횡 프레임(f2)에 천공되는 안내장공(3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7")와 상기 로킹캠(3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홈(37')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안내장공(38)의 범위내에서 이동하면서 횡 프레임(f2)(f3)의 회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더(37)로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절첩구조(30)와;
수직선상의 내면을 갖도록 자전거의 크랭크(c)하단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요홈(41)과, 상기 크랭크(c)와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페달(p)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핀(43)으로 상기 요홈(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직각이내의 회동범위를 갖도록 곡면부(42')와 평면부(42")를 구비하는 페달브라켓(42)과, 크랭크(c)에 천공되는 안내장공(4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44')를 구비하고 탄발 스프링(45)에 의해 일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상기 크랭크(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가 페달브라켓(42)의 끼움홈(47)과의 결합 선택에 따라 페달(p)의 절첩여부를 제어하는 절첩제어구(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달절첩구조(40)와;
자전거의 크랭크(c) 하단에 형성되는 원형의 단관부(52)내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단관부내면 원주면 길이의 4/1로 구성되는 고정회동제한턱(51)과, 상기 단관부(52)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고정회동제한턱(51)과 대응하도록 고정회동제한턱(51)과 동일 길이로 구성되는 가동회동제한턱(53)이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페달지지축(54)과, 상기 페달지지축(54)에 대향되게 요입형성되는 볼(55)의 안착홈(56)(56')과, 상기 볼(55)에 일방향의 탄성 가압력을 부여하여 페달(p')의 위치가 무단으로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판 스프링(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달회동구조(50)와;
상기 안장튜브(4)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며 중앙에 천공되는 유통공(61')과 이 유통공(61')과 연결되는 상태로 저면에 장방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회동 억제홈(61")을 구비하는 스탠드지지구(61)와, 상기 유통공(6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작동로드(62')와 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회동 억제홈(6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삽지부(62")를 구비하는 판상의 스탠드브라켓(62)과, 상기 작동로드(62')의 상단에 체결된 너트(63)와 스탠드지지구(61)사이에 탄설되며 스탠드브라켓(62)에 상시 상승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64)과, 중공형의 단관핀(65)을 이용하여 스탠드브라켓(62)의 양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한 쌍의 받침각(66)(66')과, 상기 단관핀(65)의 내부에 위치되어 양단이 받침각(66)(66') 각각 스프링걸림돌기(67)(67')에 걸려지며 받침각(66)(66')에 각각 외향으로의 벌림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탠드 구조(60)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중 미설명 부호 ※
(70)는 핸들이고, (71)는 안장을 보인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1은 비절첩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로킹구조(10a)(10b)(10c) 및 헤드튜브절첩구조(20), 프레임절첩구조(30)의 로킹캠(18),(25),(35)을 조작하는 레버(17),(25'),(35')는 도 2(a),도 3(a),도 4(e)에서와 같이 위로 세워져 로킹캠(17)은 로킹캠체결홈(14)에 끼워져 핸들축(1)을 구속하며,
로킹캠(25)은 안내공(24)과 걸림홈(26')에 끼워져 헤드튜브(2), 포크(22)의 지지관(22'), 슬라이더(26)를 구속하며,
로킹캠(35)은 안내공(34)과 걸림홈(37')에 끼워져 지지구(32)와, 횡 프레임(f2)(f3), 슬라이더(37)를 각각 구속하게 되는 것이며,
받침각(66)(66')은 안장튜브(4)가 상승되어 있는 관계로 종 프레임(f1)내에서 강제적으로 접힌채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평상의 비절첩 상태에서 자전거를 이동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절첩하여 자전거의 부피를 축소하게 되는 것으로 절첩과정을 부분별로 나누어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으면 특정하는 절첩순서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핸들축(1)을 몰입시키기 위해서는 로킹구조(10a)의 레버(17)를 밑으로 내려 로킹캠(18)이 로킹캠체결홈(14)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핸들축(1)의 구속을 해제시킨 다음 핸들축(1)을 밑으로 내려 헤드튜브(2)안으로 몰입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핸들축(1)을 몰입시킨 상태에서 핸들축(1)을 돌려 핸들(70)이 종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한편 핸들축(1)의 하강시 위치세팅용 볼(12)은 볼 안착홈(11)에서 밀려나 빠져나와 있다가 차기의 볼 안착홈(11)에 다시 끼워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으로 위치세팅용 볼(12)이 볼 안착홈(11)에 끼워진 상태는 핸들축(1)의 로킹캠체결홈(14)이 로킹캠(18)의 위치에 정확히 일치하는 위치이므로 핸들축(1)을 완전 몰입시키지 않고 단순히 높낮이만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위치세팅용 볼(12)이 볼 안착홈(11)에 끼워지는 감각이나 소리는 핸들축(1)의 로킹캠체결홈(14)이 로킹캠(18)의 위치에 정확히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되었음을 알려주게 되는 일종의 위치감지용 센서의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나머지 로킹구조(10b)(10c)의 구조도 상기의 로킹구조(10a)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안장받침(3)과 안장튜브(4)의 길이 축소과정도 핸들축(1)의 길이 축소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더 이상의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태에서 횡 프레임(f2)(f3)을 절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b) 및 도 4(e)에서와 같이 레버(35')를 세워 로킹캠(35)을 돌려 주므로써 로킹캠(35)이 안내공(34)과 슬라이더(37)의 걸림홈(37')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지지구(32)에서 횡 프레임(f2)(f3)과 슬라이더(37)의 구속을 해제시킨 다음 슬라이더(37)의 손잡이(37")를 안내장공(38)의 외측단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더(37)의 단부가 횡 프레임(f2)의 안으로 완전히 몰입되게 이동시켜 횡 프레임(f2)(f3)의 상호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뒤 양 횡 프레임(f2)(f3)을 안으로 접어 주면 고정핀(3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 8에서와 같이 평행한 상태로 절첩되는 것이다.
한편 이 상태에서 헤드튜브(2)를 절첩하기 위해서는 도 3(a)에서와 같이 레버(25')를 밑으로 내려 로킹캠(25)을 돌려 주므로써 로킹캠(25)이 안내공(24)과 슬라이더(26)의 걸림홈(26')에서 벗어나도록 한 다음 슬라이더(26)의 손잡이(26")를 안내장공(27)의 상측단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더(26)의 하단부가 헤드튜브(2)안으로 완전히 몰입되게 이동시켜 헤드튜브(2)와 포크(22)의 지지관(22')과의 상호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뒤 헤드튜브(2)를 젖혀주면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 8과 같이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효과적인 부피의 축소를 위하여 두 개의 페달(p)(p')을 각각 절첩과 회동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바 먼저 페달을 절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절첩제어구(44)의 손잡이(44')를 뒤로 당겨 절첩제어구(44)가 페달브라켓(42)의 끼움홈(47)에서 빠지도록 하여 구속을 해제토록 한 다음 페달(p)을 크랭크(c)쪽으로 회동시켜주면 요홈(41)과 접면된 평면부(42")가 이탈됨과 동시에 곡면부(42')가 회동되면서 페달(p)이 크랭크(c)와 평행되게 접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페달(p')의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6(a)(b)에서와 같이 간단하게 페달(p')을 잡고 자전거의 페달지지축(54)을 돌려주면 이에 일체로 구성된 가동회동제한턱(53)이 회동되면서 180도 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회동제한턱(51)에 맞닿으면서 회전이 정지되는 것으로 크랭크(c)의 외향으로 설치된 페달(p')의 위치를 내향으로 변환시켜 주게되어 자전거의 절첩시 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자전거를 입설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를 절첩하는 과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안장튜브(4)가 종 프레임(f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스탠드의 받침각(66)(66')이 강제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종 프레임(f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자전거를 세워 지지하기 위해 상기한 안장튜브(4)를 하강, 몰입시키면 이의 하단부에 고정된 스탠드 구조(60)가 종 프레임(f1)의 하단으로 밀려 이동되고 안장튜브(4)를 완전히 몰입시키면 토션 스프링(68)에 의해 도 7(a)(b)에서와 같이 받침각(66)(66')이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자전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자전거의 절첩을 위해 안장(71)이 안장튜브(4)의 상단에 접하도록 안장받침(3)을 완전히 몰입시키면 안장받침(3)의 하단이 도 7(c)에서와 같이 너트(63)를 눌러 스탠드브라켓(62)을 하강시켜 삽지부(62")가 스탠드지지구(61)의 회동 억제홈(61")에서 이탈되도록 한 뒤 벌려진 받침각(66)(66')을 강제로 평행되게 접어 횡방향으로 올려준 다음 별도의 걸고리나 끈등의 받침각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종 프레임(f1) 또는 횡프레임(f2)(f3)에서 묶어 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각 부분을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절첩시키면 도 8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체적의 축소가 가능하게 되어 이동이나 보관이 간편하게 되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핸들축과 헤드튜브, 종,횡 프레임, 안장받침, 안장튜브, 스탠드, 페달등의 구조를 개량하여 자전거의 거의 전부품에 걸쳐 절첩이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자전거의 대폭적인 체적축소가 가능토록 하여 휴대 및 보관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으며 스탠드가 평상시에 종 프레임의 내부로 몰입되어 은폐된 상태이므로 외관의 심플함을 기할 수 있는 것으로 자전거의 사용효과의 증대로 인한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헤드튜브(2)와 안장튜브(4)내에서 핸들축(1)과 안장받침(3)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지구조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1)과 안장받침(3) 및 안장튜브(4)의 승강을 임의의 위치에서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핸들축(1)과 안장받침(3) 및 안장튜브(4)의 외주면에 요설되는 하나 이상의 볼 안착홈(11) 및 이에 끼워져 판스프링(13)을 이용하여 일방향의 탄성 가압력이 부여되는 위치세팅용 볼(12) 및 볼 안착홈(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요입형성되는 로킹캠체결홈(14)과, 상기 헤드튜브(2)와 안장튜브(4) 및 종 프레임(f1)의 상단에 브라켓(15)과 고정핀(16)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며 레버(17)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킹캠체결홈(14)에서 삽,탈되는 로킹캠(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킹구조(10a)(10b)(10c)와;
    자전거의 포크(22)의 지지관(22')상에서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헤드튜브(2)를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시키기 위하여 자전거의 포크(22)의 지지관(22')의 상단일측과 상기 지지관(22')과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헤드튜브(2)의 하단일측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고정핀(23)으로 상호 결합되는 브라켓(21)(21')과, 상기 헤드튜브(2)와 지지관(22')의 접면부위를 공유하는 상태로 천공 형성되는 반원형의 안내공(24)과, 상기 브라켓(21)(21')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레버(25')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내공(24)에서 삽,탈되는 로킹캠(25)과, 상기 헤드튜브(2)에 천공되는 안내장공(2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26")와 상기 로킹캠(2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홈(26')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장공(27)의 범위내에서 이동하면서 헤드튜브(2)의 회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더(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튜브절첩구조(20)와;
    개별적으로 양분된 자전거의 횡 프레임(f2)(f3)의 일측면을 각각 감싸주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지지편(31)(31')과, 상기 횡 프레임(f2)(f3)의 접면부를 중심으로 균등한 길이로 횡 프레임(f2)(f3)의 타측면을 감싸주는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핀(33)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편(31)(31')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부에 횡 프레임(f2)(f3)의 절첩시 절첩각을 제한하는 절첩제한턱(32')을 구비하는 반원형의 지지구(32)와, 상기 지지구(32)와 각 횡 프레임(f2)(f3)의 접면부를 공유하는 상태로 천공 형성되는 반원형의 안내공(34)과,
    상기 지지구(32)상에 고정된 브라켓(36)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레버(35')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내공(34)에서 삽,탈되는 로킹캠(35)과, 일측의 횡 프레임(f2)에 천공되는 안내장공(3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7")와 상기 로킹캠(3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홈(37')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안내장공(38)의 범위내에서 이동하면서 횡 프레임(f2)(f3)의 회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더(37)로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절첩구조(30)와;
    수직선상의 내면을 갖도록 자전거의 크랭크(c)하단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요홈(41)과, 상기 크랭크(c)와 별도로 분리 구성되는 페달(p)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핀(43)으로 상기 요홈(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직각이내의 회동범위를 갖도록 곡면부(42')와 평면부(42")를 구비하는 페달브라켓(42)과, 크랭크(c)에 천공되는 안내장공(4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44')를 구비하고 탄발 스프링(45)에 의해 일방향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상기 크랭크(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가 페달브라켓(42)의 끼움홈(47)과의 결합 선택에 따라 페달(p)의 절첩여부를 제어하는 절첩제어구(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달절첩구조(40)와;
    자전거의 크랭크(c) 하단에 형성되는 원형의 단관부(52)내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단관부내면 원주면 길이의 4/1로 구성되는 고정회동제한턱(51)과, 상기 단관부(52)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고정회동제한턱(51)과 대응하도록 고정회동제한턱(51)과 동일 길이로 구성되는 가동회동제한턱(53)이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페달지지축(54)과, 상기 페달지지축(54)에 대향되게 요입형성되는 볼(55)의 안착홈(56)(56')과, 상기 볼(55)에 일방향의 탄성 가압력을 부여하여 페달(p')의 위치가 무단으로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판 스프링(5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달회동구조(50)와;
    상기 안장튜브(4)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며 중앙에 천공되는 유통공(61')과 이 유통공(61')과 연결되는 상태로 저면에 장방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회동 억제홈(61")을 구비하는 스탠드지지구(61)와, 상기 유통공(6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작동로드(62')와 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회동 억제홈(6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삽지부(62")를 구비하는 판상의 스탠드브라켓(62)과, 상기 작동로드(62')의 상단에 체결된 너트(63)와 스탠드지지구(61)사이에 탄설되며 스탠드브라켓(62)에 상시 상승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64)과, 중공형의 단관핀(65)을 이용하여 스탠드브라켓(62)의 양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한 쌍의 받침각(66)(66')과, 상기 단관핀(65)의 내부에 위치되어 양단이 받침각(66)(66') 각각 스프링걸림돌기(67)(67')에 걸려지며 받침각(66)(66')에 각각 외향으로의 벌림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탠드 구조(60)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절첩장치.
KR2019980006961U 1998-04-30 1998-04-30 자전거의 절첩장치 KR200181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61U KR200181034Y1 (ko) 1998-04-30 1998-04-30 자전거의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61U KR200181034Y1 (ko) 1998-04-30 1998-04-30 자전거의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54U KR19980025054U (ko) 1998-07-25
KR200181034Y1 true KR200181034Y1 (ko) 2000-05-15

Family

ID=1953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961U KR200181034Y1 (ko) 1998-04-30 1998-04-30 자전거의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896Y1 (ko) * 2013-08-01 2015-11-27 최석영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234A (zh) * 2019-06-18 2019-08-23 常州洪记两轮智能交通工具有限公司 一种自行车折叠机构
CN111319707A (zh) * 2020-03-31 2020-06-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机构及折叠滑板车
KR102512213B1 (ko) * 2021-09-06 2023-03-22 이덕신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896Y1 (ko) * 2013-08-01 2015-11-27 최석영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54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8532B2 (ja) 移動可能な器具
US7401717B2 (en) Automatic lifting mechanism for motorcycle saddle
WO2017016381A1 (zh) 手拉式折叠滑板车
FR2876780A1 (fr) Structure de couplage
KR102003386B1 (ko) 접이식 전동퀵보드
KR100853023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0181034Y1 (ko) 자전거의 절첩장치
KR20070121932A (ko) 절첩식 자전거
KR10094230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JP2004521702A (ja) 高さ調節自在のアイロン掛け台
CN108556978A (zh) 一种可翻转避污的分体式车座
JP4059769B2 (ja) リンク機構
CN1956821B (zh) 夹固设备
KR200164478Y1 (ko) 접철식 자전거
KR200175245Y1 (ko) 맨홀뚜껑 개폐기구
KR20100077550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CN208598668U (zh) 一种底盘分腿装置以及具有其的移位车
KR910000487Y1 (ko)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JPS6020800Y2 (ja) 脚立
KR100522110B1 (ko) 절첩식 자전거
KR200199492Y1 (ko) 이륜승용완구
KR200219898Y1 (ko) 절첩식 자전거
JP3108410U (ja) 回転式足踏み機
KR200418695Y1 (ko) 오토바이 안장용 자동 리프팅 장치
JP3082752U (ja) 折り畳み自転車用縦管折り畳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