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002Y1 -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002Y1
KR200181002Y1 KR2019990026739U KR19990026739U KR200181002Y1 KR 200181002 Y1 KR200181002 Y1 KR 200181002Y1 KR 2019990026739 U KR2019990026739 U KR 2019990026739U KR 19990026739 U KR19990026739 U KR 19990026739U KR 200181002 Y1 KR200181002 Y1 KR 200181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mixing
water
in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석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6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33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cutting
    • B65B69/0041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cutting by pun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5Mixing in metallurgical processes of ferrous or non-fer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정형의 내화재에 물을 삽입하여 정형화 시키는 내화물 혼합장치에 있어서, 내화재포의 개방및 물의 혼합을 자동화에 의해 수행하는 용광로의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투입구에 내화재포 개방용 칼날을 설치하여 내화물의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 지고, 혼합조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여 내화물의 혼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APPARATUS FOR MIXING REFRACTORY FOR BLAST FURNACE}
본 고안은 부정형의 내화재를 물을 삽입하여 정형화 시키는 내화물 혼합장치에 있어서, 내화재포의 개방및 물의 혼합을 자동화에 의해 수행하는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게 투입구에 내화재포 개방용 칼날을 설치하여 내화물의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 지고, 혼합조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여 내화물의 혼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용광로의 용선 및 슬래그는 출선구를 통하여 용광로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이때 배출된 일반적인 용융물중 용선은 대탕도, 지탕도, 경주통등을 경유하여 용선용기(LADLE)로 향하고, 슬래그는 탕도를 통하여 수재 또는 괴재처리된다.
상기한 과정중 용선및 슬래그가 각탕도를 거쳐 흘러가는 과정에서 내화물의 침식, 마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이때 마모된 내화물의 원형 복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재시공을 요하게 되며, 재시공시 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과다 및 소음과 부정형 내화물의 미세가루가 다량으로 발생되어 외부로 유출되거나 비산되고, 이러한 분진은 집진기에서 완전 포집이 어려워 부정형 내화물의 미세한 분말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힘들게 되었다.
이와같은 부정형 내화물을 정형화 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내화물 혼함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화재포(P)에 저장되는 내화재가 투입토록 상측에 투입구(10)가 설치되어 그 상측 개방부에 위치토록 수조(13)에 연결되는 물공급관(15)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10)의 하측에 모터(17)에 연결되는 교반기(미도시)와 실린더(19)에 연결되는 개방도어(미도시)가 일체로 설치되는 혼합조(21)가 설치되며, 상기 혼합조(21)의 하측에 내화물을 호퍼 카(미도시)등에 투입토록 하는 슈트(23)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내화물 혼합장치는, 내화재포(P)를 작업자가 풀어 그 내측에 저장되는 내화재를 투입구(10)를 통하여 혼합조(21)에 낙하시키고, 이어서 물공급관(15)의 밸브를 개방하여 혼합조(21)의 내측에 설치되는 교반기(미도시)에 의해 내화재와 물을 혼합하고, 상기 혼함조(21)에서 정형화되는 내화물을 혼합조(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린더(19)로서 개방되어 개방도어에 의해 슈트(23)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화물 혼합장치는, 내화물을 혼합장치의 상측에서 수공에 의해 분리하여야 함으로써 완전한 배출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잔존하며, 내화물의 유입정도에 따라 작업자가 물을 분사하여야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수분의 과다 및 과소로 내화물의 이송 및 내화물이 장착되는 각 탕도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화물을 혼합장치의 상측에서 내화물이 적재되는 포장박스를 자동화에 의해 분리하여 완전한 배출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며, 내화물의 유입정도에 따라 물이 자동적으로 분사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항상 적정량만큼 물이 공급되어 내화물에 수분과다 및 과소로 내화물의 이송불량 및 내화물이 장착되는 각 탕도의 수명저하를 방지하며, 내화물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토록 하는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용광로용 내화물 혼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1...수조 81...혼합조
83...슈트 100...내화물 투입부
103...투입구 107...칼날
109...리미트 스위치 200...내화물 혼합부
210...노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내화물이 포장되는 내화재포가 투입될때 개방토록 삼각형상의 칼날이 저부에 연결되는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칼날에 근접토록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는 내화물 투입부와,
상기 슈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내화재가 투입되며, 내측에 수조와 연결되는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고, 내측에 교반기가 설치되어 모터와 연결되고, 저면에 실린더로서 동작되는 개방장치가 설치되는 내화물 혼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고안은, 내화물 투입부(100)와 내화물 혼합부(200)로서 이루어 진다.
내화재포(P)에 저장되는 내화재가 투입토록 상측에 투입구(103)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103)의 일측에 수조(71)가 설치되어 이에 물공급관(73)이 연결되며, 상기 투입구(103)의 하측에 모터(75)에 연결되는 교반기(미도시)와 실린더(77)에 연결되는 개방도어(미도시)가 일체로 설치되는 혼합조(81)가 설치되고, 상기 혼합조(81)의 하측에 내화물을 호퍼카(미도시)등에 투입토록 하는 슈트(83)가 설치된다.
내화물이 포장되는 내화재포(p)가 투입토록 되는 내화물 투입부(100)는, 투입구(103)의 저부에 지지대(105)가 연결되어 그 중앙부 상측에 삼각형상의 칼날(107)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칼날(107)의 측면에 근접토록 고정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109)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103)의 저면에 설치되어 내화물이 혼합되는 내화물 혼합부(200)는, 투입구(103)의 하부에 위치하는 혼합조(81)의 내측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210)이 수조(71)에 연결되는 물공급관(7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조(71)는, 그 내측에 플로트 밸브(213)가 설치되어 물을 항상 일정량 충진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수조(71)는 리미트 스위치(109)의 신호에 의한 제어기(215)의 동작에 의한 개방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및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정크레인(미도시)에 의해 부정형의 내화물이 내측에 포장되는 내화재포(P)가 혼합기의 투입구(103) 상측에 도달하면 천정크레인을 하강시켜 내화재포(P)가 투입구(103)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삼각뿔 형상의 칼날(107)에 접촉토록 한다.
이때, 상기 칼날(107)에 의해 내화재포(P)의 저면이 절개되면서 그 내측의 내화물이 완전 방출토록 되어 혼합조(81)의 내측으로 투입되고, 상기 내화물이 투입될때 상기 내화물이 칼날(107)의 일측에 위치토록 고정플레이트(111)에 지지되는 리미트스위치(109)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09)가 동작하면 리미트스위치(109)에 연결되는 제어기(215)가 동작하여 이에 연결되는 수조(71)의 물공급관(73)이 개방되어 혼합조(81)에 투입되는 내화물의 상측에 물공급관(73)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다수의 노즐(210)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와동시에 모터(75)와 연결되는 교반기(미도시)가 동작하여 내화물과 물을 교반토록 한다.
상기 제어기(215)에 의해 동작하는 수조(71)는, 내측에 플로트 밸브(215)가 설치되어 항상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토록 되어 물공급관(73)의 개방시 혼합조(73)에 투입되는 내화물(일반적으로 1TON)의 량과 일치토록 항상 일정량이 공급토록 된다.
상기 혼합조(81)의 내측에 공급되는 부정형의 내화물이 다수의 노즐(210)에 의한 물의 공급에 의해 신속하게 혼합되어 정형화 되면 실린더(77)와 연결되는 배출도어를 개방하여 정형화 되는 내화물을 호퍼카(미도시)등에 투입토록 슈트(83)를 통하여 낙하 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에 의하면, 내화물을 혼합장치의 상측에서 내화물이 적재되는 포장박스를 자동화에 의해 분리하여 완전한 배출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며, 내화물의 유입정도에 따라 물이 자동적으로 분사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항상 적정량만큼 물이 공급되어 내화물에 수분과다 및 과소로 내화물의 이송불량 및 내화물이 장착되는 각 탕도의 수명저하를 방지하며, 내화물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토록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화재가 투입토록 상측에 투입구(103)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103)의 일측에 수조(71)가 설치되어 이에 물공급관(73)이 연결되며, 상기 투입구(103)의 하측에 모터(75)에 연결되는 교반기(미도시)와 실린더(77)에 연결되는 개방도어(미도시)가 일체로 설치되는 혼합조(81)가 설치되고, 상기 혼합조(81)의 하측에 슈트(83)가 설치되는 내화물 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03)의 저부에 지지대(105)가 연결되어 그 중앙부 상측에 칼날(107)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칼날(107)의 측면에 근접토록 고정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109)가 설치되는 내화물 투입부(100)와,
    상기 투입구(103)의 하부에 위치하는 혼합조(81)의 내측에 위치토록 되며, 리미트 스위치(109)의 동작에 의해 분출되는 다수의 노즐(210)이 물공급관(73)에 연결되는 내화물 혼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0)에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71)는, 플로트 밸브(2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KR2019990026739U 1999-12-01 1999-12-01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KR200181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39U KR200181002Y1 (ko) 1999-12-01 1999-12-01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39U KR200181002Y1 (ko) 1999-12-01 1999-12-01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002Y1 true KR200181002Y1 (ko) 2000-05-15

Family

ID=1959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39U KR200181002Y1 (ko) 1999-12-01 1999-12-01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0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279B1 (ko) 2014-10-17 2016-04-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정련공정의 탈크액 자동투입장치
CN111056177A (zh) * 2019-12-31 2020-04-24 佛山市集知汇科技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分离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279B1 (ko) 2014-10-17 2016-04-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정련공정의 탈크액 자동투입장치
CN111056177A (zh) * 2019-12-31 2020-04-24 佛山市集知汇科技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分离设备
CN111056177B (zh) * 2019-12-31 2022-09-06 滨州梧桐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分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68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дувания
KR200181002Y1 (ko) 용광로용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CA1047725A (en) Silo having air agitating loosening devices
JPH0661503B2 (ja) ペースト状の組成物を間欠的にスプレイ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668066B1 (ko) 사이로장치 및 그 작동방법
EP137288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undry sand
US2718389A (en) Skimmer for holding slag back during pouring metal
SU148958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расплава в установку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локон
JP2834669B2 (ja) 粉粒体混練装置
KR20110108992A (ko) 용선의 슬래그 응집제 살포장치
CN215540691U (zh) 一种具有加热调温功能的干投机
JPS62501337A (ja) 冶金溶解物
JP3773313B2 (ja) 坩堝炉型アルミニウム溶解装置
CN218545258U (zh) 一种防蓬料回转窑配料仓装置
JPH0857600A (ja) 連続鋳造の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開孔方法,連続鋳造方法および浮子式スラグストッパー装置
KR920004088Y1 (ko) 용융슬래그의 배출장치
US4149581A (en) Fine particle recycling method and apparatus
CN215241797U (zh) 一种具有搅拌防粘壁功能的建筑水泥砂浆混合设备
CN1084900A (zh) 用于生产球墨或致密石墨铸铁的方法和设备
SU11945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азки изложниц
JPH0499212A (ja) 溶銑の脱硫装置
KR100862034B1 (ko) 대탕도의 보수장치
RU2101125C1 (ru) Сталевыпускной желоб для смешивания стали с рафинировочным шлаком
KR200415209Y1 (ko)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SU1072881A1 (ru) Реактивна меша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