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209Y1 -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209Y1
KR200415209Y1 KR2020060004106U KR20060004106U KR200415209Y1 KR 200415209 Y1 KR200415209 Y1 KR 200415209Y1 KR 2020060004106 U KR2020060004106 U KR 2020060004106U KR 20060004106 U KR20060004106 U KR 20060004106U KR 200415209 Y1 KR200415209 Y1 KR 200415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lowable
supply
supply pip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직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4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2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량공급에 의해 공급되는 유동성 고체가 세로공급관을 통해 고체용해탱크로 공급되면 세로공급관의 말단 바로 뒷에 용매가 공급되는 고압분사구노즐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고압 용매에 의해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호퍼형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가로방향의 분체공급관을 기준으로 우측단에 설치된 세로공급관의 말단에 설치된 제습용전자밸브에 의해 세로공급관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로공급관에서 분체가 굳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1차고액분리기(100)와, 응집교반장치(200) 및, 2차고액분리기(300)로 구성되되, 상기 응집교반장치(200)는 교반부(210)와 유동성고체 용해장치(220) 및 유동성고체 정량공급장치(230)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성고체 용해장치는 고체용해탱크(221)와, 이 고체용해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판(221a)의 윗면에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관(223)과, 또한 상판(221a)의 윗면에는 교반모터(224a)와 축(224b) 및 교반날개(224c)로 이루어진 교반수단(224)과, 상기 유입관(223)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전자밸브(225)가 구비된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221a)의 소정위치에서 고체용해탱크(221)로 삽입되어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의 하부에 유동성고체(232)를 고체용해탱크(221)로 배출하는 세로공급관(234)의 옆으로 배치되어 분체의 용해를 위해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성 고체 덩어리를 깨뜨리고 유동성 고체와 용매의 접촉면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용매고압분사노즐관(2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액분리기, 유동성고체, 용해장치, 고압분사구노즐, 제습용전자밸브

Description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SOLID FLOWABLE DISSOLIVING APPARATUS OF SOLID - LIQUID SEPARAT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고액분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연결되는 호퍼형 저장용기와 연결된 세로공급관에 제습용전자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1차고액분리기 200 응집교반장치
210 교반부 220 유동성고체 용해장치
226 용매고압분사노즐관 226a 노즐
230 유동성고체 정량공급장치 235 제습용전자밸브
300 2차고액분리기
본 고안은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공급에 의해 공급되는 유동성 고체가 세로공급관을 통해 고체용해탱크로 공급되면 고압분사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용매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고압 용매에 의해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호퍼형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제습용전자밸브에 의해 세로공급관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로공급관에서 분체가 굳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액분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1차고액분리기(100)와, 응집교반장치(200) 및, 2차고액분리기(3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집교반장치(200)는 교반부(210)와 유동성고체 용해장치(220) 및 유동성고체 정량공급장치(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고액분리기(100)와 2차고액분리기(300)는 동일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구조를 갖을 수 있고 그 구조는 벨트프레스 또는 벨트스크린 및 원심탈수기등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210)는 상기 교반부(210)를 구성하는 응집교반탱크(211)의 바닥에 배출부(211a)가 설치됨은 물론 응집교반탱크의 상판(211b) 중앙부에는 교반모터(211c)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교반모터의 회전축(211d)은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끝부분은 응집교반탱크의 바닥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교반모터의 회전축 상하2개소에는 교반날개(211e)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1차 고액분리기(100)로 부터 응집교반탱크(211)에 폐수 또는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송액관(211f)의 끝은 상판(211b)의 모서리 부근에서 상판을 관통하여 응집교반탱크의 바닥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와 상기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를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는 외형이 거의 육면체 모양의 고체용해탱크(221)를 포함하고, 이 고체용해탱크의 하부 오른쪽 모서리에는 배출부(2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체용해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판(221a)의 윗면에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관(223)과, 또한 상판(221a)의 윗면에는 교반모터(224a)와 축(224b) 및 교반날개(224c)로 이루어진 교반수단(224)과, 상기 유입관(223)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전자밸브(2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는 호퍼형 저장용기(231)에 적정량의 유동성 고체(232)를 저장하게 되고 그 무게에 의해서 유동성 고체 공급관(233)을 통해 유동성 고체 공급관(233)의 우측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세로공급관(234)을 통해서 유동성 고체를 상기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의 고체용해탱크(221)의 내부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고액분리시스템에 의한 폐수처리를 하는 경우에 폐수원액을 1차 고액분리기(100)로 보내어 고액 분리하고, 1차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여액을 응집교반장치(200)의 교반부(210)로 보내면 상기 교반부(210)내의 여액에 유동성 고체 정량 공급장치(230)에 의해 응집제인 유동성 고체(231)를 직접, 또는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로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간접적으로 소요량을 공급한다.
상기 응집제가 혼합된 교반부(210) 내의 여액을 교반하여 슬러지를 응집시킨후 응집슬러지를 2차 고액분리기(300)로 보내어 고액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은 하천에 방류하거나 폐수처리 등으로 처리하며, 고형분은 산업폐기물 처리, 퇴비화처리, 소각처리 등에 의해 처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는 정량공급에 의해 공급되는 유동성 고체가 세로공급관(234)을 통해 고체용해탱크(211)로 공급되면 바로 하부로 떨어져서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고, 또 상기 유동성고체 정량공급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호퍼형 저장용기(231)의 하부에 설치된 세로공급관(234)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여 세로공급관에서 고체가 굳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량공급에 의해 공급되는 유동성 고체가 세로공급관을 통해 고체용해탱크로 공급되면 고압분사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용매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고압 용매에 의해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호퍼형 저장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제습용전자밸브에 의해 세로공급관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로공급관에서 분체가 굳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1차고액분리기와, 응집교반장치 및, 2차고액분리기로 구성되되, 상기 응집교반장치는 교반부와 유동성고체 용해장치 및 유동성고체 정량공급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성고체 용해장치는 고체용해탱크와, 이 고체용해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판의 윗면에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관과, 또한 상판의 윗면에는 교반모터와 축 및 교반날개로 이루어진 교반수단과, 상기 유입관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전자밸브가 구비된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소정위치에서 고체용해탱크로 삽입되어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의 하부에 유동성고체를 고체용해탱크로 배출하는 세로공급관의 옆으로 배치되어 분체의 용해를 위해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성 고체 덩어리를 깨뜨리고 유동성 고체와 용매의 접촉면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용매고압분사노즐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용매고압분사노즐관에는 용매를 부채꼴 모양으로 고압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부채꼴 형태의 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는 호퍼형 저장용기와, 이 호퍼형 저장용기에 적정량이 저장된 유동성 고체와, 상기 호퍼형 저장용기의 하부 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유동성 고체의 무게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도록 된 유동성 고체 공급관과, 이 유동성 고체 공급관의 좌측단은 제1에어공급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되고 우측단에는 수직으로 세워짐과 더불어 일단으로 제2에어공급부에서 에어가 유입되면서 유동성 고체를 상기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의 고체용해탱크의 내부로 공급도록 고체용해탱크의 내부에 타단이 수용되도록 설치된 세로공급관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공급관의 소정위치에는 전원이 오프되면 닫히고 전원이 온되면 열리도록 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이 오프되므로 닫히게 되어 수분에 의해 세로공급관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여 세로공급관에서 고체가 굳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습용전자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에 연결되는 호퍼형 저장용기와 연결된 세로공급관에 제습용전자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형이 거의 육면체 모양의 고체용해탱크(221)를 포함하고, 이 고체용해탱크의 하부 오른쪽 모서리에는 배출부(2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체용해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판(221a)의 윗면에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관(223)과, 또한 상판(221a)의 윗면에는 교반모터(224a)와 축(224b) 및 교반날개(224c)로 이루어진 교반수단(224)과, 상기 유입관(223)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전자밸브(225)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상판(221a)의 소정위치에서 고체용해탱크(221)로 삽입되어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의 하부에 유동성고체(232)를 고체용해탱크(221)로 배출하는 세로공급관(234)의 옆으로 배치되어 분체의 용해를 위해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성 고체 덩어리를 깨뜨리고 유동성 고체와 용매의 접촉면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용매고압분사노즐관(226)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용매고압분사노즐관(226)에는 용매를 부채꼴 모양으로 고압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부채꼴 형태의 노즐(226a)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27은 각각의 장치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유동성 고체"라는 용어의 의미는 분체나 분체보다 입경이 큰 입자 혹은 입경이 더 큰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작동 유체로서 사용하는 공기는 유동성 고체가 굳기 어렵도록 하기 위해서는 습도가 매우 작거나 건조한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한은 없고, 또 본 고안에서 말하는 "정량"이라는 용어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정량" 이외에, 본질적으로 정량이라면 약간의 증감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정량"의 유동성 고체를 공급하여 사용했을 때에 그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라면 무관하다.
또한 상기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는 호퍼형 저장용기(231)와, 이 호퍼형 저장용기(231)에 적정량이 저장된 유동성 고체(232)와, 상기 호퍼형 저장용기 (231)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유동성 고체의 무게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도록 된 유동성 고체 공급관(233)과, 이 유동성 고체 공급관(233)의 좌측단은 제1에어공급부(233a)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되고 우측단에는 수직으로 세워짐과 더불어 일단으로 제2에어공급부(233b)에서 에어가 유입되면서 유동성 고체를 상기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의 고체용해탱크(221)의 내부로 공급도록 고체용해탱크(221)의 내부에 타단이 수용되도록 설치된 세로공급관(234)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세로공급관(234)의 소정위치에는 전원이 오프(off)되면 닫히고 전원이 온(on)되면 열리도록 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이 오프되므로 닫히게 되어 수분에 의해 세로공급관(234)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여 세로공급관에서 고체가 굳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습용전자밸브(23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량공급에 의해 공급되는 유동성 고체가 세로공급관(234)을 통해 고체용해탱크(221)로 공급되면 고압분사구노즐(226)에 의해 분사되는 용매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고압 용매에 의해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형 저장용기(231)의 하부에 설치된 제습용전자밸브(235)에 의해 세로공급관(234)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로공급관(234)에서 분체가 굳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분체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용해부에서 공급관을 통해 공급장치 내부로 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공급관 출구에서 용해탱크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비상시 전원공급이 중단될 경우 공급관 말단의 제습용전자밸브가 닫히도록 구성되어, 유동성 고체를 용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 내벽 등에 습기를 띤 유동성 고체가 굳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일정한 양의 공급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수고를 덜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용해용매의 공급을 고압분사구 또는 분사노즐을 채택함으로써 용해시간 및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차고액분리기(100)와, 응집교반장치(200) 및, 2차고액분리기(300)로 구성되되, 상기 응집교반장치(200)는 교반부(210)와 유동성고체 용해장치(220) 및 유동성고체 정량공급장치(230)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성고체 용해장치는 고체용해탱크(221)와, 이 고체용해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판(221a)의 윗면에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관(223)과, 또한 상판(221a)의 윗면에는 교반모터(224a)와 축(224b) 및 교반날개(224c)로 이루어진 교반수단(224)과, 상기 유입관(223)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전자밸브(225)가 구비된 고액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판(221a)의 소정위치에서 고체용해탱크(221)로 삽입되어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의 하부에 유동성고체(232)를 고체용해탱크(221)로 배출하는 세로공급관(234)의 옆으로 배치되어 분체의 용해를 위해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성 고체 덩어리를 깨뜨리고 유동성 고체와 용매의 접촉면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용매고압분사노즐관(2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고압분사노즐관(226)에는 용매를 부채꼴 모양으로 고압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부채꼴 형태의 노즐(22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시스템 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고체정량 공급장치(230)는 호퍼형 저장용기(231)와, 이 호퍼형 저장용기(231)에 적정량이 저장된 유동성 고체(232)와, 상기 호퍼형 저장용기(231)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유동성 고체의 무게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도록 된 유동성 고체 공급관(233)과, 이 유동성 고체 공급관(233)의 좌측단은 제1에어공급부(233a)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되고 우측단에는 수직으로 세워짐과 더불어 일단으로 제2에어공급부(233b)에서 에어가 유입되면서 유동성 고체를 상기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220)의 고체용해탱크(221)의 내부로 공급도록 고체용해탱크(221)의 내부에 타단이 수용되도록 설치된 세로공급관(234)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공급관(234)의 소정위치에는 전원이 오프(off)되면 닫히고 전원이 온(on)되면 열리도록 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이 오프되므로 닫히게 되어 수분에 의해 세로공급관(234)의 말단으로부터 습기가 침투하여 세로공급관에서 고체가 굳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습용전자밸브(23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KR2020060004106U 2006-02-14 2006-02-14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KR200415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06U KR200415209Y1 (ko) 2006-02-14 2006-02-14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06U KR200415209Y1 (ko) 2006-02-14 2006-02-14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209Y1 true KR200415209Y1 (ko) 2006-04-28

Family

ID=4176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06U KR200415209Y1 (ko) 2006-02-14 2006-02-14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71B1 (ko) 2006-10-10 2013-06-0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응집제 용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71B1 (ko) 2006-10-10 2013-06-0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응집제 용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26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solid particles in a liquid
KR101271771B1 (ko) 응집제 용해 장치
DE60206779D1 (en) Mischer
KR101671000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고속건조장치
US200500022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pulverous material with liquid
KR100635531B1 (ko) 집진이 가능한 복합 분말약품주입장치
JP3184729B2 (ja) 混合溶解装置
KR200415209Y1 (ko) 고액분리시스템의 유동성 고체 용해장치
JP4247794B2 (ja) 排泥処理用混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排泥処理方法
KR101063766B1 (ko) 폴리머 이송 용해장치
KR200396166Y1 (ko) 집진이 가능한 복합 분말약품주입장치
CN201064692Y (zh) 输送脱水装置
KR100462245B1 (ko) 약품 용해장치
CN203540443U (zh) 气式搅拌配料机
KR200303104Y1 (ko) 고 함수율의 활성탄 투입장치
JPH07304026A (ja) 粉粒体混練装置
CN107051960A (zh) 一种粉末涂料自动辅助清洗系统
RU2243892C1 (ru) Смесительно-измельч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JP2010234185A (ja) 溶解ポンプにおける分離装置
CN201579006U (zh) 一种用于沥青站废粉处理机的搅拌叶片单元
JP3062036B2 (ja) 水道水改質用消石灰溶液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2003275568A (ja) スラリー製造装置
CN213528214U (zh) 一种干粉类药剂连续自动配药装置
JP2007075687A (ja) 流動性固体の定量供給方法、装置及び廃液処理装置
CN117046361B (zh) 一种用于粉末物料湿法投加的装置及其水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