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649Y1 -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649Y1
KR200180649Y1 KR2019970044581U KR19970044581U KR200180649Y1 KR 200180649 Y1 KR200180649 Y1 KR 200180649Y1 KR 2019970044581 U KR2019970044581 U KR 2019970044581U KR 19970044581 U KR19970044581 U KR 19970044581U KR 200180649 Y1 KR200180649 Y1 KR 200180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ip
rotating member
lens barre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836U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70044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6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구조를 간단히 하는 동시에 이송중인 렌즈군의 요동 및 정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가 형성되고,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에 연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방향전환수단과, 중앙부는 렌즈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형성된 렌즈배럴과, 상기한 운동방향전환수단과 렌즈배럴을 연결하여 함께 연동케하는 그립수단과, 상기한 렌즈배럴의 가이드에 수용되어 렌즈배럴의 직선 이송을 보정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렌즈 이송기구는, 운동방향전환수단이 구동부에 연동하는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이 운동방향전환수단에 고정된 렌즈지지수단이 렌즈군을 전, 후 이송시키는 동시에 가이드봉을 수용하는 가이드가 렌즈군의 직선 이송을 보정하며, 따라서 이송중인 렌즈군의 요동 및 정지를 방지하여 양호한 화상을 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DEVICE WHICH TRANSFER LENS FOR VIDEO CAMERA}
본 고안은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가 걸릴 때에 렌즈가 떨리거나 정지하는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금형제작에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범위 및 구도를 결정하여 촬상소자에 결상되는 화상을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에 연결하여 재현하게 하거나, 자기 테이프의 필름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화상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는 초점이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렌즈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출됨으로써 초점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이루어지는 바, 상기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줌잉되는 렌즈는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연동하는 스크류와, 이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렌즈를 이송시키는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이송기구가 통상적으로 비디오 카메라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 렌즈의 이송기구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바,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이 의하여 렌즈 배럴이 쉽사리 요동하여 재현된 화상에 떨림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연구가 지속되고, 그 결과로써 다양한 제안이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상기한 요구사항을 가장 만족시키는 렌즈 이송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렌즈 이송기구는 정,역방향으로 구동부의 회전력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크류의 나사산에 자체 탄성력을 구비한 밴딩 클립의 돌기를 밀착 접촉시켜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상기한 클립을 렌즈 배럴에 고정시킴으로써 백 래쉬를 극소화하여 이송 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렌즈의 떨림 현상을 방지하여 양호한 화상의 재현을 가능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렌즈 이송기구는 렌즈의 이송 정도를 향상시키려는 본래의 목적을 만족시키고 있으나, 제조원가와 작동의 신뢰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만족시키기에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화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밴딩 클립이 스크류를 수용하는 관통구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잡한 구조를 이루는 바, 이에 대응하여 복잡한 구조를 갖는 금형을 필요로 하므로 자연히 금형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됨은 당연하며, 이것은 곧 렌즈 이송기구의 원가상승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렌즈 이송기구는 렌즈의 이송중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일예로, 이송되는 렌즈군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상기한 관통구가 스크류의 회전을 압박할 정도로 밀착하게 되거나 상기한 밴딩 클립이 탄성 한도가 초과되거나 파손되어 스크류의 나사산에 완전히 밀착하지 못하여 , 이송중인 렌즈군에 요동이 일어나고 최악의 경우 렌즈군의 이송이 정지하는 신뢰성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해소하지 못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구조를 간단히 하는 동시에 이송중인 렌즈군의 요동 및 정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렌즈 이송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주면에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가 형성되고,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에 연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방향전환수단과; 중앙부는 렌즈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형성된 렌즈배럴과; 상기한 운동방향전환수단과 렌즈배럴을 연결하여 함께 연동케하는 그립수단과; 상기한 렌즈배럴의 가이드에 수용되어 렌즈배럴의 직선 이송을 보정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렌즈 이송기구는, 운동방향전환수단이 구동부에 연동하는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이 운동방향전환수단에 고정된 렌즈지지수단이 렌즈군을 전, 후 이송시키는 동시에 가이드봉을 수용하는 가이드수단이 렌즈군의 직선 이송을 보정하며, 따라서 이송중인 렌즈군의 요동 및 정지를 방지하여 양호한 화상을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이송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렌즈 이송기구에 제공된 운동전환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운동전환수단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운동전환수단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운동전환수단과 그립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그립수단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하여 새롭게 구현되는 렌즈 이송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5는 도1에 도시된 이동그립을 더욱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와 양 측면에서 본 단면도 그리고 측면도이고, 도6은 이동그립에 고정그립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7은 초기상태의 고정그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새롭게 구현되는 렌즈 이송기구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의 모우터 작동에 연동하는 회전부재(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렌즈(5)를 보유하는 렌즈배럴(7)을 전, 후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부재(3)는 외주면에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가 형성된 환봉으로, 이 회전부재(3)에는 회전운동에 연동하고 회전부재(3)를 전, 후 이동의 중심축으로 하여 직선 운동하는 운동방향전환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운동방향전환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 양 끝부분에 상기한 회전부재의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에 결합하는 나선모양의 홈으로 이루어진 연동면(11a)이 형성되고, 내주면 가운데부분에는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면(11b)이 형성된 연동지지부(11)를 포함하는 그립(Grip, 이하, 이동그립이라 한다)(9)이 제공된다.
상기한 이동그립(9)의 연동지지부(11)는 길이방향으로 한쪽면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연동지지부(11)의 절개면에 반대쪽 외주면에는 양 측면에 돌기(이하, 고정돌기라 한다)(13)가 형성되고 상기한 렌즈배럴(7)을 고정하는 고정부(15)가 제공된다.
따라서 운동방향전환수단으로 제공된 이동그립(9)은 연동지지부(11)와 고정부(15)로 구성되며, 그 구조가 금형을 제작하기에 용이하므로 금형제작에 관련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이동그립(9)에 고정되어 전, 후 이송됨과 아울러 렌즈(5)를 보유하는 렌즈배럴(7)은 이동그립(9)의 고정부(15)에 결합하는 그립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한 회전부재(3)에 평행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가이드봉(17)을 수용하는 가이드(1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가이드봉(17)을 수용하는 가이드(19)는 이동그립(9)에 의하여 전, 후 이송되는 렌즈배럴(7)이 직선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렌즈배럴(7)이 이송될 때 걸리는 부하에 의한 요동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한 그립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이동그립(9)의 고정부(15) 고정돌기(13)에 끼워지는 홀(이하, 고정홀이라 한다)(21)이 마련된 "H"자 형상의 그립(이하, 고정그립이라 한다)(23)이 제공된다.
상기한 고정그립(23)은 렌즈배럴(7)과 일체로 성형되며, 이동그립(9)의 고정부(15) 고정돌기(13)에 끼워진 후, 요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한 고정홀(21)이 마련된 상단은 자체 탄성력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한 이동그립(9)의 고정부(15) 고정돌기(13)를 고정그립(23)의 상단에 끼울 때는, 고정그립(23)의 상단을 좌우로 벌리고 고정돌기(13)를 고정홀(21)에 맞춰 끼워야 하며, 좌우로 벌어진 고정그립(23)의 상단은 탄성력을 갖추고 있는 바, 이동그립(9)의 고정부(15) 양 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렌즈 이송구조는,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거나,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촬영구도 그리고 촬영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렌즈조출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도시되지 않은 구동 회로부에 의해 거리가 연산되어 전기적인 출력신호가 구동부(1)에 인가된다.
출력신호의 인가됨과 동시에 구동부(1)의 모우터가 작동됨에 따라 그 회전력이 회전부재(3)에 전달되고, 이 회전부재(3)에 결합된 이동그립(9)이 회전부재(3)의 연동면(11a)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한 이동그립(9)의 고정부(15)에 고정그립(23)이 탄력 고정된 렌즈배럴(7)은 이동그립(9)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송되며, 이동그립(9)의 연동지지부 (11) 지지면(11b)이 회전부재(3)의 원활한 작동을 보존하는 동시에 연동면(11a)이 회전부재(3)의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에 밀착 결합하므로써, 백 래쉬가 최소화됨은 물론 렌즈(5) 무게 등에 의하여 이송 도중에 과부하가 걸려도 원활한 이송이 보장되어 렌즈배럴(7)은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송된다.
이때 렌즈배럴(7)에 마련된 가이드(19)는 회전부재(3)에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봉(17)의 안내를 받아 렌즈배럴(7)을 직선 이송시키는 동시에 렌즈배럴(7)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이동그립의 구조가 단순하여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며, 연동지지부 지지면이 회전부재의 원활한 작동을 보존하는 동시에 나선형상의 홈이 회전부재의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에 밀착 결합하므로써, 백 래쉬가 최소화됨은 물론 렌즈무게 등에 의하여 이송 도중에 과부하가 걸려도 원활한 이송이 보장되어 렌즈배럴은 흔들리거나 멈추지 않고 부드럽게 이송된다.

Claims (4)

  1. 외주면에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가 형성되고,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에 연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방향전환수단과; 중앙부는 렌즈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형성된 렌즈배럴과; 상기한 운동방향전환수단과 렌즈배럴을 연결하여 함께 연동케하는 그립수단과; 상기한 렌즈배럴의 가이드에 수용되어 렌즈배럴의 직선 이송을 보정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운동방향전환수단으로는 내주면 양 끝부분에 상기한 회전부재의 나사산 또는 헬리코이드에 결합하는 나선모양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가운데부분에는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연동지지부와, 양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동지지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동그립이 제공되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그립수단으로는 렌즈배럴에 고정되고 상기한 이동그립의 고정부 돌기에 끼워지는 홀이 마련된 고정그립이 제공되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고정그립의 상단은 탄성력을 구비하여, 좌, 우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한 이동그립의 고정부 돌기에 끼워져 탄성력으로 고정부에 밀착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KR2019970044581U 1997-12-31 1997-12-31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KR200180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81U KR200180649Y1 (ko) 1997-12-31 1997-12-31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81U KR200180649Y1 (ko) 1997-12-31 1997-12-31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36U KR19990031836U (ko) 1999-07-26
KR200180649Y1 true KR200180649Y1 (ko) 2000-05-15

Family

ID=1952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581U KR200180649Y1 (ko) 1997-12-31 1997-12-31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6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753B1 (ko) 2005-10-31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바렐 가이드를 갖는 렌즈 모듈 구동장치
KR100723252B1 (ko) 2005-10-17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구동장치
KR101018779B1 (ko) 2008-11-28 2011-03-03 우병화 회전속도 가변식 전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52B1 (ko) 2005-10-17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구동장치
KR100649753B1 (ko) 2005-10-31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바렐 가이드를 갖는 렌즈 모듈 구동장치
KR101018779B1 (ko) 2008-11-28 2011-03-03 우병화 회전속도 가변식 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36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7060B2 (en) Lens driving device
JP3574629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4973227B2 (ja) 駆動装置、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CN112083543B (zh) 驱动组件及驱动系统
US7321472B2 (en) Optical apparatu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 video camera, and interchangeable lens
EP2034719B1 (en) Camera lens module
CN101526717B (zh) 光学图像稳定器及光学装置
KR200180649Y1 (ko)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기구
US7525899B2 (en) Device for traversing optical pickup of a disc drive
WO2007010814A1 (ja) レンズ鏡筒と撮像装置
JP4022980B2 (ja) カメラのレンズ移送機構
US6937817B2 (en) Camera including cam member for interlocking image-taking optical system and view finder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JP2003195144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12822368B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6597524B2 (en) Lens device
JP2007165412A (ja) 電子装置
JP3193854B2 (ja) 撮影レンズの駆動装置
KR101624653B1 (ko) 렌즈 구동 장치
JPH04141611A (ja) レンズ駆動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KR0142766B1 (ko) 비디오카메라의 화상흔들림 방지장치
KR19990031841U (ko)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이송장치
US6002532A (en) Lens barrel
US20020141752A1 (en) Lens device
JPH10123389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H1164706A (ja) レンズ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