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70Y1 - 가변형 전등 - Google Patents

가변형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70Y1
KR200179870Y1 KR2019990025297U KR19990025297U KR200179870Y1 KR 200179870 Y1 KR200179870 Y1 KR 200179870Y1 KR 2019990025297 U KR2019990025297 U KR 2019990025297U KR 19990025297 U KR19990025297 U KR 19990025297U KR 200179870 Y1 KR200179870 Y1 KR 200179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ase
ceiling
variab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빛
Priority to KR2019990025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입, 반매입, 노출 등 필요 용도에 따라 한 제품으로 여러형태로 설치 가능하도록 한 가변형 전등으로, 전구 및 소켓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상부에 체결수단(500)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200)과, 노출 또는 반매입시 상기 지지판(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천정의 지지물에 고정되기 위한 전등브래킷(300)과, 매립시 상기 지지판(200)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정의 안쪽을 탄성력있게 지지하기 위한 탄성브래킷(4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변형 전등{Variable a electric light}
본 고안은 가변형 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입, 반매입, 노출 등 필요 용도에 따라 한 제품으로 여러형태로 설치 가능하도록 한 가변형 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명기구는 어두운 곳을 밝게 밝히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들어와서 실내,외의 인테리어에 주요한 역활을 전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조명기구는 크게 특수한 곳에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스포트라이트, 천정에 매입 또는 반매입되는 매입등, 천정 또는 벽면 등에 노출되는 노출등으로 구분되고, 기타 스텐드, 특수조명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명기구들은 제품의 특성상 각각 제조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조명기구를 필요한 갯수대로 구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거의 대부분이 고정식이고 일부 조명기구(특수 목적에 따라)에 한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제조된다.
또한, 매립형의 경우 천정이 낮은 경우 자유롭게 매입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전등으로 설치장소 및 용도에 따라 매입, 반매입, 노출형 등으로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은 노출시 전등을 360°자유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가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매입시 슬립형이라 낮은 천정마감 조건하에서도 자유롭게 매입할 수가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구 및 소켓을 보호하기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과, 노출 또는 반매입시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천정의 지지물에 고정되기 위한 전등브래킷과, 매립시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정의 안쪽을 탄성력있게 지지하기 위한 탄성브래킷으로 됨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
또는, 상기 소켓을 지지하는 체결수단을 중심으로 케이스가 여러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케이스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가변형 전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가변형 전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가변형 전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등 100 : 케이스
110 : 가이드구멍 200 : 지지판
210 : 제 1지지판 220 : 제 2지지판
230 : 연결부재 300 : 전등고정브래킷
310 : 보조브래킷 400 : 탄성브래킷
500 : 체결수단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가변형 전등(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변형 전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가변형 전등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가변형 전등(1)으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소켓 및 전구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0)와, 이 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0)를 포함한 전구 및 소켓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00)과, 상기 지지판(200)의 상면에 용접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노출 또는 반매입시 천정의 지지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전등브래킷(300)과, 매입시 천정의 상면을 탄성력있게 누르기 위한 탄성브래킷(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면은 구형상을 이루며 몸체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정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긴 가이드 구멍(1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00)은 도너츠형상의 제 1지지판(210)과 원판형상의 제 2지지판(2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지지판(210)(220)은 연결부재(2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지지판(210)의 상면에 용접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전등브래킷(300)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요(凹)'형상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설치구멍(3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조브래킷(310)이 설치된다.
소켓(510)을 지지판(200)에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500)은 소켓(5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암나사부(511)와 상기 암나사부(510)에 나사맞춤되기 위한 너트(52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브래킷(400)은 판스프링을 일장한 길이로 절단하여 곡면형상으로 밴딩처리되어 상기 제 1지지판(2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중 530은 소켓(510)과 연결된 전선원공급선이고, 540은 전구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형 전등은 천정에 매입시 천정에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구멍에 전등(1)의 지지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탄성브래킷(400)을 밀어 넣으면 상기 탄성브래킷(400)이 천정의 상면을 누름으로서 유지되고, 전등(1)의 반매입 또는 노출시 상기 전등(1)의 길이를 정한 후 상기 탄성브래킷(400)을 제거한다.
다음, 전등브래킷(300)에 고정형성되는 보조브래킷(310)을 천정의 지지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한다.
다음, 집중적으로 쇼윈도 혹은 특정 물건에 조명을 원할 경우 상기 전등(1) 케이스(100)를 360°자유회전시켜 조명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가변형 전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하나의 전등을 설치장소 및 용도에 따라 매입, 반매입, 노출형 등으로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다.
둘째, 노출시 전등을 360°자유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가 있다.
셋째, 매입시 슬립형이라 낮은 천정마감 조건하에서도 자유롭게 매입할 수가 있다.
넷째, 디자인이 미려하고 실용적이라 인테리어 국부조명(스포트라이트)에 더욱 적합하다.

Claims (2)

  1. 전구 및 소켓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과;
    노출 또는 반매입시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천정의 지지물에 고정되기 위한 전등브래킷과;
    매립시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정의 안쪽을 탄성력있게 지지하기 위한 탄성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을 지지하는 체결수단을 중심으로 케이스가 여러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케이스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전등.
KR2019990025297U 1999-11-18 1999-11-18 가변형 전등 KR200179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297U KR200179870Y1 (ko) 1999-11-18 1999-11-18 가변형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297U KR200179870Y1 (ko) 1999-11-18 1999-11-18 가변형 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70Y1 true KR200179870Y1 (ko) 2000-04-15

Family

ID=1959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297U KR200179870Y1 (ko) 1999-11-18 1999-11-18 가변형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8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226B1 (en) Adjustable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pre-focused led and magnification lens
US5548499A (en) Light fixture for recess in sloped ceiling
US4858088A (en) Elongated lighting device
US5249112A (en) Configurable lighting system
US20120294014A1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CA2570789A1 (en) Lighting fixture with smooth adjustable beam width
KR101962069B1 (ko) 아파트형 엘이디 등기구
KR200179870Y1 (ko) 가변형 전등
KR20190085360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명장치
US4638413A (en) Combination spotlight and table lamp
JP3809157B2 (ja) 照明器具
US20060279954A1 (en) Pendant lamp fixture
KR200182469Y1 (ko) 경사 및 회전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KR101405571B1 (ko) 조명등 장치
KR20090005671U (ko) 조명 기구용 인테리어 전등갓
KR200334562Y1 (ko) 조명등기구의 반사갓 체결구조
KR20200092514A (ko) 펜던트형 조명등
KR200316325Y1 (ko) 매입형 조명기구
JP3542747B2 (ja) 照明器具
JP2550080Y2 (ja) 照明器具の反射鏡取付構造
KR100921141B1 (ko) 펜던트 등(燈)의 지지장치
KR101922220B1 (ko) 블록형 조명등
US7517104B1 (en) Mogul based bench worklight
KR200335781Y1 (ko) 씽크대용 조명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960003171Y1 (ko) 장식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