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558Y1 - 폐기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558Y1
KR200179558Y1 KR2019990027066U KR19990027066U KR200179558Y1 KR 200179558 Y1 KR200179558 Y1 KR 200179558Y1 KR 2019990027066 U KR2019990027066 U KR 2019990027066U KR 19990027066 U KR19990027066 U KR 19990027066U KR 200179558 Y1 KR200179558 Y1 KR 200179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ot air
outlet
hea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백희
Original Assignee
원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백희 filed Critical 원백희
Priority to KR2019990027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수지와 흙이 혼합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흙과 수지가 혼합된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한후, 파쇄물을 열처리를 통해 경화시키고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는 열변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폐수지와 흙등으로 이루어진 폐기물을 열처리하여 부피를 줄여주므로써 매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열처리로 폐기물을 경화시키므로써 매립 및 복토시 지반 약화를 막을 수 있어 매립지의 재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 장치{apparatus for disposal of waste matter}
본 고안은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수지와 흙이 혼합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에서 배출되는 일반 공장 폐기물과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인 생활 폐기물은 그 종류에 따라 분리 수거하게 된다. 즉, 타는 쓰레기와 타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로 나누어 분리 수거하게 되는데, 분리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매립지에 그대로 매립하거나 소각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폐기물은 주로 비닐과 같은 합성 수지를 많이 포함하게 되어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매립지의 지반이 약해지게 되어 대지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과 같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은 공극율이 커서 부피가 크기 때문에 매립지의 크기에 대해 많은 양의 폐기물을 매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폐수지를 흙과 함께 열처리하여 폐수지를 경화시키면서 부피를 줄여 매립양을 늘이고 매립시 지반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도 2 는 도 1 의 직립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쇄 수단 11 : 홉바
12 : 파쇄기 20 : 이송 수단
21 : 이송 콘베어 22 : 엘리베이터
30 : 열변성 수단 31 : 직립 탱크
32, 72 : 폐기물 배출구 33, 73 : 폐기물 투입구
34, 74 :분진 배출구 35 : 돌출 부재
36, 79 : 베이스 40 : 스쿠류
41 : 모터 42 : 기어
50 : 집진 수단 51 : 사이크론 집진기
52 : 분진 배출구 60 : 열풍 발생 수단
61 : 팬 62 : 버너
71 : 경사 로터리 탱크 75 : 나선형 돌출 부재
77 : 구동 기어 78 : 회전 기어
80 : 열풍 배출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흙과 수지가 혼합된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는 파쇄 단계와; 파쇄물을 열처리를 통해 경화시키고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는 열변성 단계에 의해 처리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흙과 수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는 파쇄 수단과; 상기 파쇄 수단의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고 경화시키기 위해 열처리하는 열변성 수단과; 상기 열변성 수단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흙과 수지가 혼합된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는 파쇄 단계와; 파쇄물을 열처리를 통해 경화시키고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는 열변성 단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열변성 단계는 파쇄물에 열풍을 가하여 경화시키고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쇄 단계를 수행하여 비닐과 같은 수지에 흙을 혼합시켜 만들어진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즉, 수지를 잘게 파쇄하면서 흙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파쇄물을 만든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파쇄물을 열변성 단계를 통하여 변화시킨다. 즉, 파쇄물에 열풍을 가하여 열처리하므로써 파쇄물에 포함된 수지를 경화시켜 파쇄물의 부피가 줄어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부피가 줄고 경화된 폐기물을 매립하게 되면 지반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를 도 1,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직립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과 수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는 파쇄 수단(10)과; 상기 파쇄 수단(10)의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고 경화시키기 위해 열처리하는 열변성 수단(30)과; 상기 열변성 수단(30)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50)와; 상기 파쇄 수단(10)의 파쇄물을 상기 열변성 수단(30)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20)과; 열풍을 발생시켜 상기 열변성 수단(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 발생 수단(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 수단(10)은 흙과 수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투입하는 홉바(11)와 홉바(11)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분쇄하는 파쇄기(12)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 수단(60)은 버너(62)와 상기 버너(62)로 바람을 유입시키는 팬(61)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너(62)로 부터 유입되는 열풍은 열풍관(63)을 통해 열변성 수단(30)의 내부에 위치한 열풍 배출관(64)의 노즐, 즉 열풍 배출구(65)로 배출된다.
상기 열변성 수단(30)은 상부에 폐기물 투입구(33)와 분진 배출구(34)가 형성되고 하부에 폐기물 배출구(32)가 형성된 직립 탱크(31)의 내주면에 투입 파쇄물의 균일한 비산을 위한 돌출 부재(35)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열풍 발생 수단(60)으로 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배출되는 노즐, 즉 열풍 배출구(65)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 부재(35)는 탱크의 내주면에 방사상 또는 나선상으로 고정되며 판의 형태, 호의 형태 또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립 탱크(31)의 하부에 스쿠류(40)를 설치하여 열처리된 파쇄물이 상기 폐기물 배출구(32)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직립 탱크(31)의 하부에는 베이스(36)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36)에는 상기 스쿠류(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4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터(41)에 상기 스쿠류(4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4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립 탱크(31)의 하부에 베이스(36)를 설치하고 상기 직립 탱크(31)의 하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열처리된 파쇄물이 상기 폐기물 배출구(32)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열변성 수단(30)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폐기물 투입구(73)와 분진 배출구(74)가 형성되고 하부에 폐기물 배출구(72)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경사 로터리 탱크(71)의 내주면에 투입 파쇄물의 균일한 혼합 및 이동을 위한 나선형 돌출 부재(75)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열풍 발생 수단(60)으로 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 배출구(8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 로터리 탱크(71)를 경사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경사 로터리 탱크(71)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베이스(79)를 탱크(71)의 하부에 설치하고, 경사 로터리 탱크(7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76)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 로터리 탱크(71)의 회주면을 따라 형성된 고리형 회전링 부재, 즉 밴드 또는 기어(78)에 상기 밴드 또는 기어(78)로 상기 구동 모터(76)의 회전력을 전달해 주는 로울러 또는 기어(77)를 결합시켜 구성한다.
또한, 이송 수단(20)은 상기 파쇄 수단(10)의 파쇄기(12)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물을 이송하는 이송 콘베어(21)와, 상기 이송 콘베어(21)의 단부로부터 상기 열변성 수단(30)의 탱크의 폐기물 투입구(33, 73)까지 퍼올리는 엘리베이터(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22)는 이송 스쿠류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이송 콘베어(21)와 엘리베이터(22)를 하나의 이송 콘베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집진 수단(50)은 탱크(31, 71)에 형성된 분진 배출구(34)로 부터 배출되는 분진을 분진 배출관(53)을 통해 사이크론 집진기(51)에서 포집하여 분진 배출구(52)를 통해 별도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흙과 수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 수단(10)의 홉바(11)로 투입하여 파쇄기(12)를 이용하여 파쇄한후 이송 수단(20)을 이용하여 열변성 수단(30)으로 투입시킨다.
즉, 열변성 수단(30)의 직립 탱크(31) 또는 경사 로터리 탱크(71)의 폐기물 투입구(33, 37)로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풍 발생 수단(60)에서 버너(62)와 팬(61)을 이용하여 열풍을 발생시켜 열풍 배출관(64)의 노즐, 즉 열풍 배출구(65)를 통해 직립 탱크(31) 또는 경사 로터리 탱크(71)의 내부로 열풍을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탱크(31, 71)의 내부로 열풍이 배출되는 상태에서 폐기물 투입구(33, 73)로 투입된 폐기물은 탱크(31, 71)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면서 배산되게 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열풍에 의한 폐기물, 즉 폐비닐과 같은 폐수지는 녹아 흙과 혼합되게 되어 부피가 줄고 공극율이 떨어지면서 경화되게 된다.
여기서, 탱크(31, 71) 내부의 온도, 즉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와 열풍과의 접근 정도에 따라 폐수지는 녹아 흙과 융착되거나 연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변성 수단(30)의 탱크(31, 71)에서 경화되고 부피가 줄어든 폐기물은 탱크(31, 71) 하부에 설치된 폐기물 배출구(32, 7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즉,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류(40)가 회전하여 폐기물을 폐기물 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고,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31)의 하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출할 수도 있고,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로터리 탱크(71)와 나선형의 돌출 부재(75)에 의해 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탱크(31, 7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작용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탱크(31)와 스쿠류(40)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폐기물 투입구(33)로 투입된 폐기물은 탱크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 부재(35)에 의해 균일하게 낙하하게 되므로 열풍의 영향을 균일하게 받게 되어 폐기물내의 폐수지가 원활히 녹으면서 흙과 혼합되게 된다.
열풍에 의해 부피가 줄고 경화된 폐수지는 낙하하면서 돌출 부재(35)에 의해 흙과 잘 섞이게 되고 탱크(31)의 바닥에 떨어지면 스쿠류(40)에 의해 회전하면서 다시 한번 혼합되면서 폐기물 배출구(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직립 탱크(3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이 낙하하면서 돌출 부재(35)에 의해 균일하게 열처리되어 부피가 줄고 경화되게 된다. 열처리된 폐기물은 탱크(31)의 하부면에 까지 떨어지는데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쉽게 폐기물 배출구(32)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로터리 탱크(71)와 나선형 돌출 부재(75)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경사 로터리 탱크(71)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폐기물 투입구(73)로 투입된 폐기물은 탱크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출 부재(75)에 의해 균일하게 회전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열풍 배출구(80)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폐기물 내의 폐수지가 원활하게 녹으면서 흙과 혼합되게 된다. 열풍에 의해 부피가 줄고 경화된 폐수지는 계속해서 회전하는 경사 로터리 탱크(71)와 나선형 돌출 부재(75)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계속적으로 흙과 혼합하게 된다.
상기 폐기물은 계속적으로 이동하여 경사 로터리 탱크(71)의 하부에 도달하게 되면 폐기물 배출구(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탱크(31, 71)에 형성되어 비산되는 분진은 분진 배출구(34)를 통해 집진 수단(50)으로 배출된다. 즉, 분진 배출구(34, 74)로 배출된 분진은 분진 배출관(53)을 통해 사이크론 집진기(51)에서 집진된후 분진 배출구(52)를 통해 별도로 처리된다.
한편, 처리하고자 하는 폐기물의 현재 상태와 원하는 배출물의 상태와 처리 상황에 따라 열풍의 온도와 탱크 내부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처리 장치는 폐수지와 흙 등으로 이루어진 폐기물을 열처리하여 부피를 줄이므로써 매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열처리로 폐기물을 경화시키므로써 매립 및 복토시 지반 약화를 막을 수 있어 매립지의 재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

  1. 흙과 수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는 파쇄 수단(10)과;
    상기 파쇄 수단(10)의 파쇄물의 부피를 줄이고 경화시키기 위해 열처리하는 열변성 수단(30)과;
    상기 열변성 수단(30)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수단(10)의 파쇄물을 상기 열변성 수단(30)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열풍을 발생시켜 상기 열변성 수단(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 발생 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성 수단(30)은
    상부에 폐기물 투입구(33)와 분진 배출구(34)가 형성되고 하부에 폐기물 배출구(32)가 형성된 직립 탱크(31)의 내주면에 투입 파쇄물의 균일한 비산을 위한 돌출 부재(35)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열풍 발생 수단(60)으로 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 배출구(6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성 수단(30)은
    상부에 폐기물 투입구(73)와 분진 배출구(74)가 형성되고 하부에 폐기물 배출구(72)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경사 로터리 탱크(71)의 내주면에 투입 파쇄물의 균일한 혼합 및 이동을 위한 나선형 돌출 부재(75)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열풍 발생 수단(60)으로 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 배출구(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탱크(31)의 하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열처리된 파쇄물이 상기 폐기물 배출구(32)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탱크(31)의 하부에 스쿠류(40)를 설치하여 열처리된 파쇄물이 상기 폐기물 배출구(32)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9990027066U 1999-12-03 1999-12-03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179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66U KR200179558Y1 (ko) 1999-12-03 1999-12-03 폐기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66U KR200179558Y1 (ko) 1999-12-03 1999-12-03 폐기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558Y1 true KR200179558Y1 (ko) 2000-04-15

Family

ID=1959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66U KR200179558Y1 (ko) 1999-12-03 1999-12-03 폐기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5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2430A (en) Process for compacting and solidifying solid waste materials,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and overall system for disposal of such waste materials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US5378059A (en) Combined asphalt plant and soil remediation system
KR20040027986A (ko) 폐수지의 용해 및 체적축소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체적축소방법
KR20200110266A (ko) 폐기물 파쇄장치
US5596935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soil remediation and hot mix asphalt production
JPH11300740A (ja) 発泡スチロールの再利用方法及び発泡スチロール処理装置
KR200179558Y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20200094331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열탈착 처리 장치
KR100202462B1 (ko) 생활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 연료 제조 장치
KR19990064787A (ko)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장치
JP3278384B2 (ja) 廃棄物の無公害化再生処理プラント
KR101784433B1 (ko) 골재 생산 과정의 무기물 슬러지 처리장치
JP2002173907A (ja) アスファルト廃材再生方法及び装置
KR20200093795A (ko) 재생 가능한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구성
KR1999008465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JPH0523656A (ja) プラスチツク廃棄物処理装置に於けるペレツト化装置
JP3301990B2 (ja) 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KR100704182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압출 성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76750B1 (ko)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재활용장치
KR100264179B1 (ko) 소각재 고형화장치
JP2005125133A (ja) 廃棄物の湿式処理装置
KR100969693B1 (ko) 재생가능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83927A (ko) 음식물 쓰레기 재생 방법
JPH0516141A (ja) プラスチツク廃棄物処理装置の加熱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