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505Y1 - 새들붙이 이음관 - Google Patents

새들붙이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505Y1
KR200179505Y1 KR2019990025429U KR19990025429U KR200179505Y1 KR 200179505 Y1 KR200179505 Y1 KR 200179505Y1 KR 2019990025429 U KR2019990025429 U KR 2019990025429U KR 19990025429 U KR19990025429 U KR 19990025429U KR 200179505 Y1 KR200179505 Y1 KR 20017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packing
nut
pressur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현
이수기
Original Assignee
박진현
이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현, 이수기 filed Critical 박진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의 이음부에 사용할 새들붙이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원관과 분지관의 이음을 완벽하게 누설없이 시공할수 있게 구성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원관외면에 상하로 씌워지는 반원형관체로 되는 이음구(1)(2)의 양측연결부에 연결돌편(1a)(2a)을 돌출시켜 상하로 체결구멍을 뚫어 보울트(6)와 너트(601)로 체결시키고 상측 이음구(1)의 중심부에 연결관(10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그 연결부 내주연에 원형으로 홈(103)을 파서 탄성체의 패킹(3)을 끼워 넣고 연결관(101)의 입구 내측에 입구보다 내경이 축소되게 단턱(102)을 형성하여 그 입구에 탄성체의 패킹(4)을 끼워 넣고 압륜(5)을 외부에서 끼워 연결관(101)의 외측플랜지(101a)와 압륜의 외측 플랜지(501)사이에 체결공을 뚫어 보울트(6)와 너트(601)로 체결하므로서 연결관에 나사홈을 내지 않고 분지관의 연결을 완벽하게 달성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새들붙이 이음관{A SADDLE ATTACHING JOINT PIPE}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의 이음부에 사용할 새들붙이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원관과 분지관의 이음을 완벽하게 누설없이 실시할수 있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하수도관의 배관작업에는 여러형태의 이음관이 사용되고 있으나 원관과 분지관의 이음부에서 누설이 없게 하면서 이음작업이 확고하도록 하기 위한 이음관은 없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원관의 외부에 덧씌워서 분지관을 간편하게 이음할수 있게 이음관을 구성시킨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압륜체결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압륜이 변형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이음구 101 : 연결관
101a,501 : 외측플랜지 102 : 단턱
103 : 홈 1a,2a : 연결돌편
3,4 : 패킹 5 : 압륜
6 : 보울트 601 : 너트
7 : 원관 701 : 분지공
8 : 분지관
원관(7)외면에 상하로 덧씌워지게 반원형관체로 되는 이음구(1)(2)를 만들어 그 연결부 양측에 연결돌편(1a)(2a)을 돌출시켜 체결구멍을 뚫고 보울트(6)와 너트(601)를 체결케하고 상측이음구(1)의 중심부에 연결관(10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그 연결부 내주연에 원형으로 홈(103)을 파서 탄성체의 패킹(3)을 끼워 넣고 연결관(101)의 입구 내측에 입구보다 내경이 축소되게 단턱(102)을 형성하여 단턱외측에 탄성체의 패킹(4)을 끼워 넣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륜(5)을 끼워 연결관(101)의 외측플랜지(101a)와 압륜의 외측 플랜지(501)에 체결공을 뚫어 보울트(6)와 너트(601)로 긴장되게 체결토록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원관(7)의 분지부에 구멍을 뚫고 그 상부에 상측 이음구(1)의 연결관(101)을 덧씌워 장치하고 하측이음구(2)를 원관밑에 설치하여 상·하 이음관을 보울트(6) 너트(601)로 체결시키면 분지공(701) 둘레가 패킹(3)으로 밀착되게 이음구(1)(2)가 씌워저 연결관(101)에 분지관(8)을 끼워 넣은후 연결관(101)의 입구로 압륜(5)을 끼워 넣고 연결관의 플랜지(101a)와 압륜(5)의 플랜지(501)를 보울트(6)와 너트(601)로 체결하면 압륜(5)이 내향하면서 단턱(102)에 끼워진 패킹(4)을 압착하여 분지관(8)의 표면에 밀착시켜 원관의 분지공(701)과 분지관(8)은 완벽하게 접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이음구만 있으면 상수도관은 물론이고 하수도관의 분지부에 분지관을 접속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그리고 누설이 없이 공사를 할수 있고 연결관(101)에 나사공을 내지않고 분지관의 접속이 가능하므로 분지관의 접속작업도 너무 간단하게 수행할수 있어서 실용적이고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공사 수행이 달성되는 것이다.

Claims (1)

  1. 원관(7)외면에 상하로 덧씌워지게 반원형관체로 되는 이음구(1)(2)를 만들어 그 연결부 양측에 연결돌편(1a)(2a)을 돌출시켜 체결구멍을 뚫고 보울트(6)와 너트(601)를 체결케하고 상측 이음구(1)의 중심부에 연결관(10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그 연결부 내주연에 원형으로 홈(103)을 파서 탄성체의 패킹(3)을 끼워 넣고 연결관(101)의 입구 내측에 입구보다 내경이 축소되게 단턱(102)을 형성하여 단턱 외측에 탄성체의 패킹(4)을 끼워 넣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륜(5)을 끼워 연결관(101)의 외측플랜지(101a)와 압륜의 외측 플랜지(501)를 보울트(6)와 너트(601)로 긴장되게 체결시키는 새들붙이 이음관
KR2019990025429U 1999-06-15 1999-11-19 새들붙이 이음관 KR2001795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32 1999-06-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932 Division 1999-06-15 1999-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505Y1 true KR200179505Y1 (ko) 2000-04-15

Family

ID=1957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429U KR200179505Y1 (ko) 1999-06-15 1999-11-19 새들붙이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5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397Y1 (ko)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200179505Y1 (ko) 새들붙이 이음관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0223515Y1 (ko) 새들붙이 이음관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US6360771B2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KR200337222Y1 (ko) 주배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0120993Y1 (ko) 콘크리트관 접속링
KR200413818Y1 (ko) 주철관용 조인트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930004989Y1 (ko) 배수관용 연결 접속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216504Y1 (ko)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KR200280038Y1 (ko) 편수관의 관이음구
KR900006391Y1 (ko) 상수도의 분수전 체결장치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184270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910001722Y1 (ko) 상수도관의 급수관 관접장치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JP2000081186A (ja) サドル付分水栓
JPS5911272Y2 (ja) 分水栓
KR100521771B1 (ko) 피복형 클립 플랜지 하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890000345Y1 (ko) 수도 파이프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