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890Y1 - 보관상자 - Google Patents

보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890Y1
KR200177890Y1 KR2019990024248U KR19990024248U KR200177890Y1 KR 200177890 Y1 KR200177890 Y1 KR 200177890Y1 KR 2019990024248 U KR2019990024248 U KR 2019990024248U KR 19990024248 U KR19990024248 U KR 19990024248U KR 200177890 Y1 KR200177890 Y1 KR 200177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plate
coupling
coupling piece
transpar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김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용 filed Critical 김창용
Priority to KR2019990024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9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semidetachable components, i.e. with some side walls hinged to each other or to a base panel and the other side walls being detachable to allow collaps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상자내에 보관된 물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101)의 양측면에 연장된 측면판(102)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103) 및 정배면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104)과,
상기 결합편(103)과 결합편(104)를 절곡한 후 결합편(103),(104)에 리벳트 (106)로 결합한 투명판(105)과, 상기 투명판(105)에는 손잡이(107)부분이 견고하도록 투명판(105)보다 두껍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상자이다.

Description

보관상자{BOX FOR STORAGE}
본 고안은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상자내에 보관된 물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관상자는 도1과 같이 바닥판(1)의 사면에 정면판(2)과 배면판(3)과 측면판(4)을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정면판(2)과 배면판(3)과 측면판(4)을 절곡한 다음 각판의 측단을 결합고정하며, 상기 정면판(2)과 배면판(3)에는 보강판이 부착된 손잡이(5)를 구성하여 보관상자(6)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관상자를 덮어주는 뚜껑(7)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관상자(6)에 물품을 넣고 뚜껑(7)을 닫은 후 보관상자 (6)를 적층하였다.
이와 같이 물품이 보관된 보관상자(6)를 적층한 후 보관상자(6)내에서 어떠한 물품을 꺼내고자 할 때는 적층된 보관상자(6)를 일일히 꺼낸 후 뚜겅(7)을 열어 보관된 물품을 확인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그리고, 정면판(2)이나 배면판(3)에는 보관상자(6)를 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5)를 형성하였는데, 손잡이(5)가 약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판을 부착하기 때문에 부품이 많이 들어감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보관중인 보관상자내의 물품의 확인이 용이하고 손잡이부분이 견고하도록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바닥판의 양측면에 연장된 측면판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 및 정배면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편과 결합편을 절곡한 후 결합편에 리벳트로 결합한 투명판을 구성하며, 상기 투명판에는 손잡이부분이 견고하도록 투명판보다 두껍게 구성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보관상자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보관상자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설합식으로 된 보관상자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보관상자를 분리한 사시도.
도5a는 본 고안 보관상자의 정면판을 발췌하여 정면을 본 사시도
도5b는 본 고안 보관상자의 정면판을 발췌하여 배면을 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보관상자의 결합부를 고정하는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7도는 도3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 바닥판 102 : 측면판
103 : 결합편 104 : 결합편
105 : 투명판 106 : 리벳트
107 : 손잡이 108 : 결합공
109 : 결합공 110 : 결합돌기
111 : 나사봉 112 : 나사홈
본 고안 보관상자의 구성을 도2 내지 도7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판(101)의 양측면에 연장된 측면판(102)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103) 및 정배면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104)과,
상기 결합편(103)과 결합편(104)를 절곡한 후 결합편(103),(104)에 리벳트 (106)로 결합한 투명판(105)과, 상기 투명판(105)에는 손잡이(107)부분이 견고하도록 투명판(105)보다 두껍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결합편(103),(104)에는 형성된 결합공(108)과 투명판(105)에 형성된 결합공(109)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투명판(105)에 형성된 결합공(109)에 결합돌기(110)을 형성하여 결합공(108)내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리벳트(106)는 일측에 나사봉(11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나사봉(111)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홈(112)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7)부분은 절곡하여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상자를 덮어주는 것은 뚜껑(113)이나 설합식 뚜껑(114)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보관상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판(1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판(102)을 절곡하여 세우고, 상기 측면판(102)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편(103)을 절곡한다.
그리고, 바닥판(101)의 정배면에 형성된 결합편(104)을 절곡하여 상기 결합편(103)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103),(104)의 안쪽면에 투명판(105)을 결합하는데, 이때 투명판(105)에 형성된 결합공(109)에 형성된 결합돌기(110)를 결합편(103),(104)에 형성된 결합공(108)에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상기 결합공 (109),(108)에 리벳트(106)의 결합하되 리벳트(106)에 형성된 나사봉(111)을 나사홈(112)에 나사결합한다.
따라서, 투명판(105)이 결합편(103)(104)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어 완성된 상자는 보관상자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관상자는 정면판과 배면판이 투명판으로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보관상자에 보관할 물품을 보관후 적층하였을 경우, 보관상자내의 보관된 물품을 눈으로 보고 확인하여 용이하게 꺼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투명판이 합성수지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견고하고 또한 손잡이부분이 견고하여 사용시 파손되는것을 방지하여 오래동안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바닥판(101)의 양측면에 연장된 측면판(102)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103) 및 정배면에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편(104)과,
    상기 결합편(103)과 결합편(104)를 절곡한 후 결합편(103),(104)에 리벳트 (106)로 결합한 투명판(105)과,
    상기 투명판(105)에는 손잡이(107)부분이 견고하도록 투명판(105)보다 두껍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상자.
KR2019990024248U 1999-11-08 1999-11-08 보관상자 KR200177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248U KR200177890Y1 (ko) 1999-11-08 1999-11-08 보관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248U KR200177890Y1 (ko) 1999-11-08 1999-11-08 보관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890Y1 true KR200177890Y1 (ko) 2000-04-15

Family

ID=1959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248U KR200177890Y1 (ko) 1999-11-08 1999-11-08 보관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8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1391A (en) Suitcase
WO2005077770A1 (en) Foldable lightweight container having film sheet window
KR200177890Y1 (ko) 보관상자
US20030098256A1 (en) Storage box structure
KR20090080189A (ko) 쓰레기통
JP4535593B2 (ja) 収納ケース
KR200191399Y1 (ko) 물품적재용 파렛트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KR200444235Y1 (ko) 나전 쌍합 보석함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KR101498462B1 (ko) 물품 보관함
KR200312781Y1 (ko)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보관용 서랍
KR200377357Y1 (ko) 서랍의 전면판 결합구조
KR200288063Y1 (ko) 손잡이가 탈, 부착되는 쓰레받기
CN216019885U (zh) 鞋柜
KR100305427B1 (ko) 고무원료 전용파렛트
JP3042013U (ja) 簡易収納ケース
KR200382459Y1 (ko) 커버가 구비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용 커버
KR20230002191U (ko) 가구용 서랍
KR200251191Y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KR200240039Y1 (ko) 상자의 손잡이 커버판
JP3058289U (ja) 整理ケース
JPH11198936A (ja) 運搬用パレット
KR200382460Y1 (ko) 커버가 내장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용 커버
KR200355806Y1 (ko) 조립식수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