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878Y1 -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878Y1
KR200177878Y1 KR2019990023954U KR19990023954U KR200177878Y1 KR 200177878 Y1 KR200177878 Y1 KR 200177878Y1 KR 2019990023954 U KR2019990023954 U KR 2019990023954U KR 19990023954 U KR19990023954 U KR 19990023954U KR 200177878 Y1 KR200177878 Y1 KR 200177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nglass
sunglass case
lock
gu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문
Original Assignee
일흥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흥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흥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spec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 글래스 케이스의 설치공간 확보 및 설계상의 제약조건 완화, 원가절감, 및 고장요인의 감소에 역점을 둔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실(3)에 축(5,6)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선 글래스 케이스(4)를 장착하고,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외측면과 케이스실(3)의 내측면간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열리고 잠궈지며,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4)는 복귀스프링(15)에 의해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쏠리고, 일측 축(5)에는 열림충격완화용 기어 댐퍼(23)가 부착된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1)에 있어서,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일측 축(6)의 외곽에 잠금구를 돌려서 잠금을 풀거나 잠궈지도록 돕는 저항턱(7)을 형성하고 저항턱(7)의 맞은 편에는 잠금구에 의해 잠궈지는 축(6)을 중심으로 하는 호상 안내벽(8)을 형성하며, 안내벽(8)의 외면 회전반경을 벗어난 케이스실(3)의 측벽상에는 선 글래스 케이스(4)가 닫힌 상태에서 그 안내벽(8)을 잠그고 닫힌 상태에서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자유단을 밀어 올리면 저항턱(7)에 의해 잠금이 풀어지게 한 캠(11:a-d)을 가진 잠금구(10)를 제자리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sunglass case of front lamp in the car usable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내 앞 천장에 장착되는 앞램프의 하우징에 장착된 선 글래스 케이스의 설치공간 확보 및 설계상의 제약조건 완화, 원가절감, 및 고장요인의 감소에 역점을 둔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내 앞 천장에 설치되는 램프 하우징의 일측에 자리를 마련하여 설치해온 종래의 선 글래스 케이스에는 선 글래스를 수납할 때나 수납된 선 글래스를 인출할 때 램프 하우징에서 선 글래스 케이스를 잠그는 래치 조립체를 앞램프 하우징에 부착하고 선 글래스 케이스에는 잠금용 후크를 부착한 것으로서, 선 글래스 케이스를 닫으면 래치와 후크가 맞결합되면서 잠궈지고 선 글래스 케이스를 누르면 래치와 후크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복귀스프링의 탄성작용에 따라 선 글래스 케이스가 열린다.
그러나 이같은 구조의 잠금장치를 가진 종래의 선 글래스 케이스장착형 앞램프는 한정된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래치 조립체와 후크가 차지할 공간을 확보해야 되기 때문에 램프의 설계와 디자인 선정에 많은 제약을 받아 디자인 개선에 제한을 받고고, 복잡한 내부 구조는 제조원가를 높이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과제는 선 글래스 케이스의 디자인 및 공간확보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하고, 선 글래스 케이스용 잠금구조의 단순화와 함께 여닫기 쉬운 방향으로 설계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선 글래스 케이스와 차내의 앞천장용 램프 하우징이 일체로 된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선 글래스 케이스의 설치공간 확보 및 설계상의 제약조건 완화, 원가절감, 및 고장요인의 감소효과를 볼 수 있는 선 글래스 케이스 장착형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는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실에 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선 글래스 케이스를 장착하고,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의 외측면과 케이스실의 내측면간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열리고 잠궈지며,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는 복귀스프링에 의해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쏠리며 그 일측 축에는 열림충격완화용 기어 댐퍼가 부착된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의 일측 축의 외곽에 잠금구를 돌려서 안내벽을 걸어 잠궈도록 돕는 밀턱을 형성하고 이 밀턱의 맞은 편에는 잠금구에 의해 잠궈지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호상 안내벽을 형성하며, 안내벽의 외면 회전반경을 벗어난 케이스실의 측벽상에는 선 글래스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그 안내벽을 잠그고 닫힌 상태에서 선 글래스 케이스의 자유단을 밀어 올리면 밀턱에 의해 잠금이 풀어지게 한 캠을 가진 잠금구를 제자리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선 글래스 케이스를 가진 본 고안에 의한 차내용 앞램프의 사시도
도 2는 앞 램프와 선 글래스 케이스의 분해도
도 3은 잠금 안내판측에서 바라 본 선 글래스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잠금구의 사시도
도 5는 선 글래스 케이스의 잠금해제에서 되잠금까지의 과정을 순서대로 나 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램프 2 : 하우징
3 : 케이스실 4 : 선 글래스 케이스
6 : 축 7 : 밀턱
8 : 안내벽 10 : 잠금구
11 : 캠 12 : 축
14 : 축공(잠금구용)
도 1에서,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1)에 있어서 하우징(2)의 일측에서 위로 오목한 케이스실(3)에는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들어 앉힐 자리이며, 여기에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들어 앉혀서 닫으면 잠금장치에 의해 잠궈지고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면서 복귀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저절로 열리게 된다.
도 2와 도 3에서,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분리해 보면 양 측벽에는 동일선상에 축(5,6)이 일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 축(5)에는 기어 댐퍼(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5)과 동축선상에 형성된 다른 축(6)의 외곽에는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잠금을 풀 때 잠금구를 밀어서 잠금을 풀어주고 열렸던 선 글래스 케이스(4)가 닫힌 뒤에는 잠금구가 잠궈진 상태로 지속되도록 가두는 밀턱(7)을 형성하고, 밀턱(7)의 반대편에는 잠금에서 해제된 선 글래스 케이스(4)가 열리면서부터 완전히 닫혀서 다시 잠궈질 때까지 잠금구를 잠금해제상태로 유지되는 자세대로 안내하고 선 글래스 케이스(4)가 완전하게 닫혀진 후에는 잠금구에 걸려서 잠궈지는 호상 안내벽(8)을 축(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축(6)과 안내벽(8) 사이의 적소에는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복귀방향으로 쏠리도록 그 외측단을 거는 스프링핀(9)도 형성한다.
도 4에서, 잠금구(10)는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닫았을 때 그 안내벽(8)의 선단을 걸어서 잠그는 것으로서, 내면에는 잠금기능을 가진 캠(11)을 그리고 외면에는 하우징(2)에 축설치하기 위한 축(12)을 형성한다.
캠(11)은 다면캠이다. 즉, 직사각형의 단변과 장변에 각기 시옷자형 홈형태의 캠(a-d)을 부여한 것이다. 이들 캠(a-d)중에서 제1 캠(a)과 제3 캠(c)은 안내벽(8)의 선단을 걸어서 선 글래스 케이스(4)을 잠글 때 기능하는 요소이면서 밀턱(7)에 의해 안내벽(8)을 걸어 잠그기 직전의 자세로 준비하기 위한 제어용이고, 제2 캠(b)과 제4 캠(d)은 안내벽(8)에 의해 자세가 해제방향 또는 잠금방향으로 선회한 후 축(6)을 중심으로 잠금장향으로 선회하는 안내벽(8)의 외면에 접촉하는 캠(11) 안내면으로 기능하는 캠이다.
다시 도 2에서, 케이스실(3)의 축(6) 설치용 축공(13)의 위쪽에서 안내벽(8)의 외면의 회전반경을 벗어난 지점에 중심이 놓이는 또 하나의 축공(14)을 천공하고, 여기다 잠금구(10)의 축(12)을 안에서 바깥쪽을 보고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축공(13)과 케이스실(3)의 바닥 사이의 측벽 내면에는 선 글래스 케이스의 열림용 복귀스프링(15)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걸이홈(16)도 형성한다.
케이스실(3)의 천장 앞쪽에 형성된 꽂이(17)에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스토퍼(도 5의 18)를 올려 끼워서 고정하고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바른 자세로 넣어서 축(5)을 축공(13)의 반대편 축공(19)으로 빼고 나머지 한 축(6)은 축공(13)에 끼운 다음에 축공(19)의 바깥쪽에서 마개를 겸한 보스(20)를 끼워서 축(5)을 안정시키고 선 글래스 케이스(4)를 닫으면 도 2와 같은 양상을 띈다.
도 5의 (A)에서 잠금구(10)의 제1 캠(a)은 캠(1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그린 좌표의 제4 영역에 위치하면서 안내벽(8)의 선단을 걸어 잠근다. 이것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축(6)과 캠(11)의 중심을 직선으로 이은 연결선(S)의 외측에 안내벽(8)의 선단이 위치하여 상기 연결선(S)을 장변으로 하고 캠(11)의 회전중심과 안내벽(8)의 선단을 최단변으로 하는 둔각 삼각형을 이룬다. 이때는 선 글래스 케이스(4)의 무게중심도 자연히 축(6)과 캠(11)의 중심 사이에 놓이는 데다 캠(11)에 의한 저지력과 복귀스프링(15)의 탄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데 힘입어 선 글래스 케이스(4)는 닫혀 잠궈진 채로 머문다.
손가락 끝으로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자유단(22)을 가볍게 밀어 올리면 제1 캠(a)에서 안내벽(8)의 선단이 물러나고 저항벽(7)의 선단이 제2 캠(b)의 앞쪽 밀어서 돌린다. 이에 따라 제1 캠(a)은 그 자리를 벗어나 아래로 이동하고 그 자리를 제4 캠(d)의 후반부가 차지한다.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선단 상면이 스토퍼(18)에 닿으면 손을 뗀다. 그러면 선 글래스 케이스(4)는 (B)와 같이 무게중심이 앞쪽에 있으므로 눌리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제4 캠(d)의 후단부를 밀면서 돌고 밀턱(7)은 안내벽(8)의 역선회움직임과 동시에 물러난다.
이런 움직임에 의해 안내벽(8)에 대한 캠(11)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본격적으로 열리며, (C)와 같이 안내벽(8)은 제4 캠(d)에 접촉된 채로 (D)와 같이 완전히 열린다. 선 글래스 케이스(4)가 완전히 열리면 제1 캠(a)은 대략 90°가량 우선회한 상태로 되고 제4 캠(d)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기운다.
선 글래스 케이스(4)가 열린 상태에서 선 글래스를 수납하거나 선 글래스를 꺼낸 후에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앞부분을 손가락 끝으로 올려 밀어서 닫는다. 캠(11)은 저항턱(7)의 선단이 다가와서 접촉할 때까지 (D)상태로 머문다.
그러다가 안내벽(8)의 선단이 제4 캠(d)의 후단을 벗어난 직후에는 저항턱(7)의 선단이 (F)와 같이 제1 캠(a)에 다가와 그 전반부를 밀면서 복귀하고, 선 글래스 케이스(4)를 열려고 눌렀을 당시로 거의 되돌아오면 캠(11)은 170°가량 반전되어 제3 캠(c)의 상반부가 떠나기 전 제1 캠(a)의 하반부가 있던 자리에 접근한다.
그 무렵에서 손을 떼면 선 글래스 케이스(4)는 복귀스프링(21)의 열림압력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이때 안내벽(8)의 선단이 미리 대기하고 있던 제3 캠(c)의 하반부를 민다. 이 상태는 곧 앞서 잠궈진 상태였던 (A)와 같은 상황이 된다.
선 글래스 케이스(4)를 한 번 눌러서 여닫을 때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움직임이 되풀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는 종래의 래치형 개폐장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앞램프 하우징상에서의 선 글래스 케이스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쉽고, 따라서 디자인 개발의 범위가 넓어 설계상 제약조건이 크게 완화되며, 디자인의 게선이 가능함에 따라 얼마든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 구조단순화는 곧 고장요인의 감소로 이어지는 등 의 실시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우징(2)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실(3)에 축(5,6)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선 글래스 케이스(4)를 장착하고,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외측면과 케이스실(3)의 내측면간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열리고 잠궈지며,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4)는 복귀스프링(15)에 의해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쏠리고, 일측 축(5)에는 열림충격완화용 기어 댐퍼(23)가 부착된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1)에 있어서, 상기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일측 축(6)의 외곽에 잠금구를 돌려서 잠금을 풀거나 잠궈지도록 돕는 저항턱(7)을 형성하고 저항턱(7)의 맞은 편에는 잠금구에 의해 잠궈지는 축(6)을 중심으로 하는 호상 안내벽(8)을 형성하며, 안내벽(8)의 외면 회전반경을 벗어난 케이스실(3)의 측벽상에는 선 글래스 케이스(4)가 닫힌 상태에서 그 안내벽(8)을 잠그고 닫힌 상태에서 선 글래스 케이스(4)의 자유단을 밀어 올리면 저항턱(7)에 의해 잠금이 풀어지게 한 캠(11:a-d)을 가진 잠금구(10)를 제자리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KR2019990023954U 1999-11-03 1999-11-03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KR200177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954U KR200177878Y1 (ko) 1999-11-03 1999-11-03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954U KR200177878Y1 (ko) 1999-11-03 1999-11-03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878Y1 true KR200177878Y1 (ko) 2000-04-15

Family

ID=1959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954U KR200177878Y1 (ko) 1999-11-03 1999-11-03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8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016B1 (ko) * 2001-07-05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016B1 (ko) * 2001-07-05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2206A1 (en) Device for preventing unlocking of door handle
KR10053508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JPH0221991Y2 (ko)
US8826708B2 (en) Locking mechanism
JP4109984B2 (ja) フック装置
EP1760353B1 (en) Stay damper
US5584206A (en) Electric actuator
KR101628499B1 (ko)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CN112218998A (zh) 多重铰接合页装置
US4822965A (en) Lid locking mechanism in automobile switch panel device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US6601897B2 (en) Vehicle interior panel having compartment and swing door
KR200177878Y1 (ko) 자동차의 차내용 앞램프의 선 글래스 케이스 잠금장치
JPH0535977U (ja) シリンダ錠
JP4020424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5188242A (ja) ロック装置
JP4579274B2 (ja) 施錠確認表示機能付き鍵
EP41538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a striker within a rotary latch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102115743B1 (ko) 차량의 연료 뚜껑 개폐장치
KR100353735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KR910000020Y1 (ko) 스위치 페널장치에 있어서 뚜껑록기구
JPH0246426Y2 (ko)
KR19990040454U (ko) 자동차 도어록의 키실린더어셈블리
US20230175295A1 (en) Rotary latch with spring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