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772Y1 - 머리그립 - Google Patents

머리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772Y1
KR200176772Y1 KR2019970033327U KR19970033327U KR200176772Y1 KR 200176772 Y1 KR200176772 Y1 KR 200176772Y1 KR 2019970033327 U KR2019970033327 U KR 2019970033327U KR 19970033327 U KR19970033327 U KR 19970033327U KR 200176772 Y1 KR200176772 Y1 KR 200176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grip
hair
jaw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378U (ko
Inventor
명재필
Original Assignee
명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재필 filed Critical 명재필
Priority to KR2019970033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72Y1/ko
Publication of KR980000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14Hair grips, i.e. elastic single-piece two-limbed grip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편이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는 머리그립(Hair Grip)에 관한 것이다. 본 머리그립은 탄성부를 W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연장하는 상기 걸림편이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는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을 W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턱을 연장하여 상기 해제편을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죄이고자 하는 머리털의 양에 따라 다단으로 스냅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걸림편 등의 영구변형을 방지하고, 머리털의 고정량에 따라 그립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적은 양이라도 일정한 그립력으로 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색인어]
그립

Description

머리 그립
본 고안은 소정 량의 모발을 고정하기 위하여 머리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편이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하여 모발의 고정량을 광범위하게 할 수 있는 머리그립(Hair Grip)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머리그립 중에서 하나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는 탄성의 두가장자리가 U자형으로 붙어 있으면서 양단부가 옆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 있었다.
즉, 판스프링의 중간부분을 접어서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하고, 그 접어진 한 쪽은 장식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면으로 하고 다른 쪽은 걸림편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한 쪽 단부는 지그재그(乙자형)로 구부리며, 다른 쪽 단부는 뾰족한 평면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한 묶음의 머리털을 죌 때에는 장식판이 붙는 면과 걸림편 사이에 머리털을 끼우고 걸림편을 옆으로 비틀면서 지그재그로 구부러진 한 쪽 단부의 걸림턱에 밀어 끼우면 머리털이 죄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머리그립은 걸림편을 옆으로 밀어젖혀서 머리털을 죄이거나 풀러야 하기 때문에 사용빈도수가 늘어남에 따라 걸림편이 옆으로 영구변형되어 복귀하지 못하므로 실질적으로 몇번 밖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걸림편을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하나 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머리털의 고정량이 한정되어 있고, 그 탄성적인 그립력도 약해서 적은 양의 모발은 죄지 못한다는 실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공개 실용신안공개 제96-6894호와 같은 머리핀에 있어서는 대판과 누름판을 일체로 되게 프레스 가공한 후, 대판 일측 끝단부를 타공 및 절곡시켜 절곡부 및 가압편을 형성하고, 누름판의 중앙부는 통상의 판스프링을 레일용장공과 함께 형성시키며, 누름판의 일측 끝단부에 걸림편을 형성시키고 대판과 누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토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재료절감 및 시간과 인력에 다른 공정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나, 이는 누름판의 걸림편이 걸림공에 단순하게 결합되고 있어서 머리의 고정량이 한정 될 뿐만이 아니라 고정량보다 조금이라도 초과한 량의 모발을 고정하게 되면 걸림편과 걸림공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이탈되므로 많은 량의 모발을 죄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15117호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장식측부재의 일측으로 고정부재를 설치하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을 자유롭게 하는 중심축부재에 측면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머리고정부재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측의 자유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장식측부재에서 고정부재의 타측에 체결클립을 마련하여 머리고정부재가 측방향이동으로 체결클립에 착탈이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이 또한 모발(머리털)을 고정할 수 있는 머리고정부재가 모발의 량에 따라 체결클립에 결속되지 않고 단순한 범위에서 결속되고 있기 때문에 장식측부재로부터 머리고정부재측 까지의 범위내에서는 용이한 모발고정을 이루게 하지만 이보다 더욱 많은 량의 머리를 고정할 때에는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머리고정부재를 체결클립에 결속하기가 불편하게 되며, 특히 강제로 체결하게 되면 모발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냅결합방식으로 하며, 걸립턱을 다단식으로 형성하여 머리털의 고정량에 따라 그립력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적은 양이라도 양호한 그립력으로 알맞게 죌 수 있도록 하는 머리그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장식판 부착면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와 일체성 있게 마련되어 원호상의 긴 걸림편이 결속되도록 상기 탄성부의 타단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 단부에 일체성 있게 해제편을 구비한 그립에 있어서, 상기 탄성를 W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연장하는 상기 걸림편이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는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을 W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턱을 연장하여 상기 해제편을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머리그립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발(머리털)을 장식판 부착면과 걸림편 사이에 끼우고 걸림편을 누르면 걸림편의 단부가 모발(머리털)의 양에 따라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에 순차적으로 스냅결합된다. 모발의 그립력은 걸림편에 의하여 눌리는 보조스프링의 신축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머리그립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동 편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머리그립의 저면 사시도이고,
제4a도는 본 고안의 걸림편을 누르기 전의 작용상태도이고,
제4b도는 본 고안의 걸림편이 제1걸림턱에 걸려 있는 작용상태도이고,
제4c도는 본 고안의 걸림편이 제2걸림턱에 걸려 있는 작용상태도이고,
제4d도는 본 고안의 걸림편이 해제편에 의하여 해제되어 있는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장식판 부착면 4 : 탄성부
6a : 제1걸림턱 6b : 제2걸림턱
8 : 걸림편 10 : 해제편
16a,16b : 슬릿 18 : 보조스프링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머리그립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평면도를, 제3도는 저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머리그립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굴곡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하나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보조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는 완만한 원호상(圓弧狀)의 장식판 부착면(2) 양측면에 탄성부(4)와 제1걸림턱(6a) 및 제2걸림턱(6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4)의 단부에는 긴 원호상의 걸림편(8)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걸림턱(6a)의 단부는 해제편(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식판 부착면(2)의 양측 끝에는 가상선으로 표시한 장식판프레임(12)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부(14a)(14b)가 돌출되어 있다. 이 리벳부(14a)(14b)는 장식판 프레임(12)의 구멍에 끼워진 후 펀칭에 의하여 장식판 프레임(12)의 상면과 밀착된다. 장식판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수지제 또는 금속제 등의 장식판이 성형 또는 고정된다. 각 리벳부(14a)(14b) 부근에는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밑으로 돌출되는 슬롯(16a)(16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롯(16a)(16b)은 장식판 부착면(2)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으로 그 양측이 홈을 이루고 관통되어 있다.
상기 슬롯(16a)(16b)에는 장식판 부착면(2)의 굴곡방향과 반대로 완만한 파상(波狀) 또는 포물선상(抛物線狀)으로 굴곡된 보조스프링(18)이 끼워진다.
보조스프링(18)은 걸림편(8)의 압력에 의하여 양단이 신축되기 때문에 이러한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슬롯(16a)(16b)에 양단을 끼워지고 있다.
탄성부(4)는 W자형으로 굴곡을 이루고 있고, 이 탄성부(4)의 단부에는 완만한 원호상의 긴 걸림편(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4)는 걸림편(8)을 장식판부착면(2) 방향으로 누를 때 회전축이 되며, 동시에 걸림편(8)을 장식판 부착면(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탄성을 작용시킨다.
제1걸림턱(6a)과 제2걸림턱(6b)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W자형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렇게 형성하는 이유는 걸림편(8)의 자유단이 자유롭게 제1걸림턱(6a)과 제2걸림턱(6b)에 걸리도록 하는 동시에 제1걸림턱(6a)의 단부에 형성되는 해제편(10)을 젖힐 때 탄성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해제편(10)은 제1걸림턱(6a) 또는 제2걸림턱(6b)에 걸려 있는 걸림편(8)을 그 구속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으로, 해제편(10)의 자유단을 위로 누를 때 장식판부착면(2)의 좌측단에는 제2걸림턱(6b)으로 절곡되는 부위에서 가장 많은 탄성변형을 수반하며, 제1걸림턱(6a)과 제2걸림턱(6b)의 사이에서는 다소 적은 탄성변형을 수반한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머리그립의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4a도와 같은 상태에서 머리털은 걸림편(8)과 보조스프링(18)의 사이에 끼워진다. 머리털은 한 묶음으로 해제편(10)과 걸림편(8)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 밀어끼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편(8)에 P1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누르면 걸림편(8)이 탄성부(8)를 축으로하여 상부에서 하부측인 예컨데,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걸림편(8)의 선단이 화살표방향으로 변위되어 제1걸림턱(6a)에 걸린다.
제4d도는 걸림편(8)이 제1걸림편(6a)에 스냅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보조스프링(18)은 걸림편(8)에 의하여 약간 눌려 있는 상태이고, 걸림편(8)과 보조스프링(18)의 사이에는 비교적 많은 량의 머리털이 죄어져 있는 상태이다.
제4c도는 걸림편(8)이 제2걸림턱(6b)에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2걸림턱은 머리털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에 그 머리털을 죄기 위하여 걸림편(8)에 한번 더 압력을 가한 것이다. 걸림편(8)에 압력을 가하면 걸림편(8)의 선단이 제1걸림털(6a)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제2걸림턱(6b)으로 스냅결합된다. 이때에는 걸림편(8)과 보조스프링(18)이 더욱더 펴지면서 머리털을 죄이게 된다.
제4d도는 걸림편(8)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해제를 위해서는 P2방향으로 해제편(10)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장식판 부착면(2)과 제2걸림턱(6b)이 만나는 지점이 탄성변형되어 펴지면서 걸림턱(8)이 제1걸림턱(6a) 또는 제2걸림턱(6b)의 구속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해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죄이고자 하는 머리털의 양에 따라 다단으로 스냅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걸림편 등의 영구변형을 방지하고, 머리털의 고정량에 따라 그립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적은 양이라도 일정한 그립력으로 죌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장식판 부착면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와 일체성있게 마련되며 원호상의 긴 걸림편이 결속되도록 상기 탄성부의 타단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 단부에 일체성있게 해제편을 구비한 그립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를 W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연장하는 상기 걸림편이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는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을 W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턱을 연장하여 상기 해제편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그립.
KR2019970033327U 1997-11-21 1997-11-21 머리그립 KR200176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27U KR200176772Y1 (ko) 1997-11-21 1997-11-21 머리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27U KR200176772Y1 (ko) 1997-11-21 1997-11-21 머리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378U KR980000378U (ko) 1998-03-30
KR200176772Y1 true KR200176772Y1 (ko) 2000-04-15

Family

ID=1951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327U KR200176772Y1 (ko) 1997-11-21 1997-11-21 머리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378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3397A (en) U-shaped fastening clip device with resilient tongue member
US5774949A (en) Trim clip
US6095155A (en) Retaining apparatus
US4119285A (en) Pipe and cable clip
US5947631A (en) Component retaining legs
EP0660018B1 (en) A tie
US6443402B1 (en) Cable hanger
US6804867B2 (en) Pull of slider for slide fastener
US2692414A (en) Snap-in stud fastener
US6368009B1 (en) Attachment devices
EP0389594B1 (en) Key ring
KR200176772Y1 (ko) 머리그립
US2822593A (en) Paper clips
JPH04277351A (ja) 運動伝達装置とその組立方法
KR0157064B1 (ko) 스프링 클립
US5479682A (en) Clamp for paper sheets
GB2075332A (en) Bracelet clasp
US2838055A (en) Resilient clip arrangement
US2267512A (en) Trim molding securing means
US3072127A (en) Non-entangling, self-opening, resiliently closed hair clip
US3047927A (en) Spring clip
JP2837372B2 (ja) 髪止め具
JPH0438148Y2 (ko)
JPS6023545Y2 (ja) スナツプ式固着具
JPH0712047Y2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