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711Y1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5711Y1 KR200175711Y1 KR2019990019842U KR19990019842U KR200175711Y1 KR 200175711 Y1 KR200175711 Y1 KR 200175711Y1 KR 2019990019842 U KR2019990019842 U KR 2019990019842U KR 19990019842 U KR19990019842 U KR 19990019842U KR 200175711 Y1 KR200175711 Y1 KR 2001757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ixing pins
- link
- rotation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2—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판대나 소형 건축물의 출입도어에 적절하고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고, 양쪽을 임의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로 임의로 개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며, 도어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도어(21) 양측의 제1회전손잡이(31) 및 제2회전손잡이(32)와; 상기 제1회전손잡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도어에 핀결합되는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와; 상기 제2회전손잡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도어에 핀결합되는 제2상부링크(43) 및 제2하부링크(44)와; 그리고, 상기 링크들에 일단이 연결되고 도어의 사방 모서리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고정핀(51,52,53,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회전손잡이(31) 또는 제2회전손잡이(32)의 회동에 따라 고정핀들(51 내지 54)이 문틀(11)의 개방홈(12)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어느 한 쪽 고정핀들을 지지축으로 하여 도어(21)를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판대와 같은 소형 건축물의 출입도어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일측부가 힌지 등에 의하여 문틀에 지지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사용되거나 상하단 일측이 핀에 의하여 문틀에 지지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 또는 핀에 의하여 도어가 문틀에 지지되면 한 쪽 방향으로만 도어를 여닫을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구조상 출입하기가 불편한 점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어의 여닫는 방향을 반대로 하기 위해서는 고정수단들을 떼어 내고 새로운 고정수단에 의하여 도어를 문틀에 지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어와 문틀에 흠집이 생기거나 도어와 문틀이 손상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어 손잡이나 괘정수단도 새로이 설치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많이 비용이 든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자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임의로 도어를 열 수 있는 양방향 개폐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양방향 개폐장치는 임의의 장소에 자주 옮겨
놓고 사용할 수밖에 없는 특성상 양쪽으로 개폐하여야만 편리하다는 필요성에서 주로 냉장고 도어에 주로 채용되고 있고, 이러한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23577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장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1)에 설치되는 서포트핀(102,103)과, 냉장고 도어(111)에 설치되는 록킹판(121,122)과, 스프링(131,132) 및 링크부재(1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그 작용상태를 살표보면 냉장고 도어(111)가 닫힌 상태로부터 예컨대 왼쪽으로 도어(111)를 개방시키면 서포트핀(102)에 의해 슬라이드 록킹판(121)이 고정핀(1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서포트핀(102)으로부터 벗어나 도 8과 같이 도어(111)가 개방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홈(16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드 핀(142)이 슬라이드 홈(161)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딩되면서 링크(141)의 록킹홈이 슬라이드 록킹판(122)의 록크핀(163)에 삽입되도록 반대쪽으로 밀어준다. 이 때 슬라이드 록킹판(121)의 슬라이드홈(16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드 핀(142)은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딩되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며, 동시에 우측 스프링(132)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크(141)의 록킹홈이 록크핀(163)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잡아주고 록킹판(122)이 회전하지 지지시킴과 동시에 서포트핀(102)에 밀착지지되면서 도어(111)와 본체(10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장치는 도어(111)가 닫힌 상태에서 이 담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이 없으므로 가판대나 일반 건축물의 도어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 장치는 담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구조가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131,132)이 변형되거나 그 탄성력이 저하되면 도어의 닫힘 상태가 불완전하게 되고 또 도어가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록킹판(121,122)이 서포트핀(102,103)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31,132)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111)의 개폐시 스프링(131,132)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이 작용되어야 하므로 도어 개폐시 본체(101)에 충격 및 흔들림이 발생되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수명이 단축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판대나 소형 건축물의 출입도어에 적절하고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고, 양쪽을 임의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로 임의로 개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며, 도어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과, 링크 및 문틀과의 계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손잡이, 링크 및 고정핀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제3링크 및 와이어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과 문틀과의 계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과 문틀과의 계합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의 요부 분해 사
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의 요부 작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의 요부 작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의 요부 작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종래 양방향 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양방향 도어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41, 42, 43, 44 : 링크, 7 : 와이어 드럼,
11 : 문틀, 12 : 개방홈,
13 : 브래킷, 14 : 파지돌기,
15 : 핀, 16, 56, 203 : 스프링,
21 : 도어, 22 : 안내통,
31, 32 : 회전손잡이, 51, 52, 53, 54 : 고정핀,
61, 63 : 파지부, 81, 82 : 와이어,
201 : 브래킷의 후벽, 205 : 스토퍼,
207 : 브래킷의 천정, 209 : 반원통,
211 : 삽입공, 213, 215 : 지지리브,
312, 322 : 손잡이부, 551 : 지지플랜지,
555 : 파지홈, 557 : 삽입홈,
559 : 걸림해제부, 561 : 걸림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는, 도어의 양측에 각 손잡이부가 돌출되도록 차례로 내장되는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와; 상기 제1회전손잡이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자유단부가 굴곡되어 도어에 핀결합되는 제1상부링크 및 제1하부링크와; 상기 제2회전손잡이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자유단부가 굴곡되어 도어에 핀결합되는 제2상부링크 및 제2하부링크와; 상기 링크들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도어의 사방 모서리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링크들에 의하여 연동하
여 하강함으로써 도어에 몰입됨과 아울러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스프링에 의하여 도어로부터 돌출하여 문틀에 자유단이 삽입되는 4개의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들중 상부의 두 고정핀 사이의 도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양단에 좌우이동에 따라 상부의 두 고정핀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지부가 형성된 제3링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 중앙에 내장되는 와이어 드럼과; 그리고, 상기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 드럼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각 자유단부가 제3링크에 연결되어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제3링크를 좌우이동시키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 고정핀은 도어의 사방 모서리부에 각각 수직으로 내장되는 안내통들을 관통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안내통에 위치하는 고정핀의 외주면에는 지지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와 안내통의 바닥과의 사이에 스프링이 내장된다. 따라서, 고정핀들이 문틀에 삽입되어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회전손잡이 또는 제2회전손잡이를 회동하면 상부 및 하부의 서로 대응하는 두 고정핀은 문틀로부터 이탈되어 도어로 몰입됨으로써 도어를 어느 한 쪽으로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고정핀의 몰입에 따라 스프링은 압축되며, 이에 따라 고정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즉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핀이 밀려 도어로부터 돌출됨으로써 고정핀이 다시 문틀에 삽입됨으로써 도어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의 두 고정핀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1회전손잡이 또는 제2회전손잡이를 회동하여 두 고정핀을 도어속으로 몰입시키지 않고도 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핀과 대응하여 문틀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이 개방홈의 양측에 다수의 파지돌기가 핀 및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로 탄성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돌기들과 대응하여 고정핀의 외주면에 다수의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31은 제1회전반(311)과 상기 제1회전반(311)을 회동하기 위한 제1손잡이부(312)를 가진 제1회전손잡이로서, 제1회전반(311)은 도어(21)의 좌측부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내장되고 제1손잡이부(312)는 도어(21)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2는 상기 제1회전손잡이(31)와 동형으로 제2회전반(321) 및 제2손잡이부(322)로 이루어진 제2회전손잡이(32)로서, 제1회전손잡이(31)와 대응하여 도어(21)의 우측부 중앙에 내장된다.
상기 제1회전반(311)에는 제1상부링크(41)의 하단부 및 제1하부링크(42)의 상단부가 각각 선회가능하게 핀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의 자유단부는 굴곡되고 이 굴곡부가 고정핀(45)에 의하여 선회가
능하게 도어(21)에 결합된다.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는 각각 일체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고, 두 부재가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이 연결부가 도어(21)에 핀결합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반(321)에는 제2상부링크(43)의 하단부 및 제2하부링크(44)의 상단부가 각각 선회가능하게 핀결합되고, 상기 제2상부링크(43) 및 제2하부링크(44)의 자유단부는 굴곡되고 이 굴곡부가 선회가능하게 고정핀(45)에 의하여 도어(21)에 결합된다. 제2상부링크(43) 및 제2하부링크(44)는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와 동형대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어(21)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수직방향의 고정핀(51,52,53,54)이 승하강(출몰)가능하게 차례로 설치된다. 이 고정핀(51 내지 54)들의 각 일단부는 상기 링크들(41 내지 44)의 자유단과 차례로 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들(51 내지 54)과 대응하여 문틀(11)의 사방 모서리부 내면에는 고정핀(51 내지 54)이 삽입 또는 이탈되는 개방홈(12)(하부는 미도시함)이 각각 형성된다. 즉, 회전손잡이들(31,32)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핀(51 내지 54)의 자유단들이 문틀(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21)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회전손잡이(31 또는 32)를 회동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연결된 링크들(41,42 또는 43,44)을 통하여 이 링크들(41,42 또는 43,44)과 연결된 상부 및 하부의 두 고정핀(51,52 또는 53,54)이 문틀(11)로부터 동시에 이탈되어 도어(21)속으로 몰입됨으로써 도어(21)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가 선회하고, 이 링크들(41,42)의 선
회에 따라 이 링크들(41,42)과 연결된 왼쪽의 상부 및 하부 고정핀(51,52)이 문틀(11)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1)로 몰입되므로 도어(21)의 왼쪽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실시예 1에 따르면, 고정핀들(51 내지 54)이 도어(21)속으로 몰입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들(31,32)을 놓으면, 즉 회전손잡이들(31,32)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핀들(51 내지 54)이 도어(21)로부터 다시 돌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21)의 사방 모서리부에 각각 수직으로 안내통(22)(도 2 참조)들이 내장되고, 이 안내통(22)들을 관통하여 고정핀들(51 내지 54)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통(22)의 상단에는 도어(21)에 고정되는 브래킷(221)이 형성됨으로써 안내통(22)이 도어에 내장된 채 고정될 수 있고, 이 안내통(22)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핀(여기서는 참조부호 53에 대해서만 도시함)의 외주면중 상부쪽(하부 고정핀들(52,54)의 경우에는 하부쪽)에는 지지플랜지(551)(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가 형성되고, 이 지지플랜지(551)와 안내통(22)의 바닥(하부 안내통(22)의 경우에는 천정)과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6)이 개재된다.
따라서, 고정핀들(51 내지 54)의 자유단이 도어(21) 밖으로 돌출되어 문틀(11)의 개방홈(12)에 삽입됨으로써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왼쪽 상,하부의 서로 대응하는 두 고정핀(51,52)은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의 선회에 따라 연동하여 문틀(11)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1)속으로 몰입됨으로써 오른쪽의 상부고정핀(53) 및 하부고정핀(54)을 축으로 하여 도어(21)를 왼쪽으로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고정핀(51,52)이 도
어(21)속으로 몰입되면 안내통(22) 내부에 개재된 압축스프링(56)들은 고정핀(51,52)의 지지플랜지(551)들에 의하여 압축되고, 따라서 도어(2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회전손잡이(31)를 놓으면(즉, 제1회전손잡이(31)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압축된 압축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플랜지(551)가 밀려 고정핀(51,52)이 다시 도어(21) 밖으로 돌출된다. 물론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제1회전손잡이(31)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핀(51,52)은 도어(21) 밖으로 돌출되어 문틀(11)의 개방홈(12)에 삽입됨으로써 도어(21)의 닫힘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에 따르면, 제1회전손잡이(31) 및 제2회전손잡이(32)를 모두 회동하였을 경우에는 도어(21)가 문틀(11)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즉, 도어(21)의 상단부중 상부의 양쪽 고정핀(51,53)과의 사이 위치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상부의 양쪽 고정핀(51,53)의 하단부를 파지함으로써 고정핀(51,53)의 승강을 방지할 수 있는 파지부(61,63)를 차례로 가진 제3링크(6)가 좌우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도어(21)의 상단부 중앙에는 와이어 드럼(7)(도 1 참조)이 내장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손잡이(31)의 제1회전반(311)에는 와이어 드럼(7)에 권취되는 제1와이어(81)의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제1와이어(81)의 자유단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링크(6)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회전손잡이(32)의 제2회전반(321)에는 와이어 드럼(7)에 권취되는 제2와이어(82)의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제2와이어(82)의 자유단은 제3링크(6)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3링크(6)의 파
지부(61,63)에 의한 고정핀(51,53)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61,6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노치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대응하여 고정핀(51,53)의 하단부는 사각형 단면을 가짐과 아울러 이 사각형 단면부의 하단부에 고정핀(51,53)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55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지부(61,62)에 고정핀(51,53)의 사각형 단면부가 삽입되면 파지부(61,63)가 고정핀(51,53)의 플랜지(552)와 안내통(22)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상태에 놓이므로 고정핀(51,53)의 상하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제1보조링크(65) 및 제2보조링크(66)를 통하여 제1와이어(81) 및 제2와이어(82)의 자유단이 링크(6)에 연결된 경우에는 제1보조링크(65) 및 제2보조링크(66)는 각 중앙부가 핀(67)에 의하여 도어(21)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각 상단부가 제3링크(6)에 핀결합되고, 또한 제1와이어(81)의 양단은 제1회전손잡이(31) 및 우측의 제2보조링크(66)의 하단에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제2와이어(82)의 양단은 제2회전손잡이(32) 및 좌측의 제1보조링크(65)의 하단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제1와이어(81) 및 제2와이어(82)는 전체적으로 X자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제1와이어(81)를 통하여 제2보조링크(66)가 이것을 선회가능하게 도어(21)에 지지하는 핀(6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제3링크(6)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우측 상부의 고정핀(53)이 제3링크(6)의 오른쪽 파지부(6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면 제2와이어(82)를 통하여 제1보조링크(65)가 이것을 도어(21)에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핀(6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함에 따
라 제3링크(6)가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좌측 상부의 고정핀(51)이 제3링크(6)의 왼쪽 파지부(6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도어(21)를 개방하고자 하는 쪽과는 반대쪽의 상,하부 고정핀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두 고정핀이 도어(21) 개방축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도어(21) 개방시 도어(21)가 문틀(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링크(6)에 직접 제1와이어(81) 및 제2와이어(82)의 자유단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1와이어(81)의 양단은 제1회전손잡이(31) 및 제3링크(6)의 좌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2와이어(82)의 양단은 제2회전손잡이(32) 및 제3링크(6)의 우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제1와이어(81)를 통하여 제3링크(6)의 좌단부가 우하방으로 힘을 받으므로 힘의 수평분력에 의하여 제3링크(6)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3링크(6)의 우측 파지부(63)에 의하여 우측 상부의 고정핀(53) 하단부가 파지되어 고정됨으로써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역으로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면 제2와이어(82)를 통하여 제3링크(6)의 우단부가 좌하방으로 힘을 받으므로 힘의 수평분력에 의하여 제3링크(6)가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3링크(6)의 좌측 파지부(61)에 의하여 좌측 상부의 고정핀(51) 하단부가 파지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제3링크(6)의 좌우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와이어(81) 및 제2와이어(82)의 자유단에는 스프링(83)이 각각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1)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21)를 닫기 위해서는 도어(21)의 개방단쪽 상부 및 하부의 두 고정핀(51,52 또는 53,54)이 도어(21) 밖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21)를 그대로 밀어 닫을 수 없고 도어(21)의 개방단쪽 제1회전손잡이(31) 또는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여 두 고정핀(51,52 또는 53,54)을 도어(21)속으로 몰입시킨 다음 도어(21)를 닫고 회전손잡이(31 또는 32)를 놓아야만 다시 고정핀(51,52 또는 53,54)이 돌출하여 그 자유단이 문틀(11)에 삽입됨으로써 도어(21)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21)를 닫을 때 조금 불편한 점이 있다.
실시예 1에 따르면,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어(21)가 개방되고 또 도어(21)의 개방단쪽 상부 및 하부의 두 고정핀(51,52 또는 53,54)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회전손잡이(31 또는 32)를 회동하지 않고 그대로 도어(21)를 밀어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핀들(51,52 또는 53,54)과 대응하는 문틀(11)의 사방 모서리부에 형성된 개방홈(12)에 하부가 개방됨과 전후방중 적어도 한 쪽이 개방된 브래킷(13)(도 2 및 도 5 참조)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13)의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파지돌기(14)가 핀(15) 및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하여 전후로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돌기(14)들과 대응하여 각 고정핀(51 내지 54)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지돌기(14)들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두 개의 파지홈(55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21)가 개방되고 또 도어(21)의 개방단쪽 상부 및 하부의 두 고정핀(51,52 또는 53,54)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21)를 밀
어 닫으면, 돌출된 고정핀(51,52 또는 53,54)에 의하여 파지돌기(14)들이 뒤로 밀려 선회하고 고정핀들(51,52 또는 53,54)이 브래킷(13)에 완전히 삽입되면 비틀림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파지돌기(14)들이 다시 앞쪽으로 선회하여 고정핀들(51,52 또는 53,54)의 파지홈(555)들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핀들(51,52 또는 53,54)이 개방홈(12), 즉 브래킷(13)의 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고정핀들(51,52 또는 53,54)을 회전손잡이(31 또는 32)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승강시킴으로써 개방홈(12)들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핀들(51,52 또는 53,54)의 파지홈(555)은 고정핀(51,52 또는 53,54)들의 자유단 끝까지 균일하게 형성(도 2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는 도어(21)의 어느 한 쪽을 전후방향으로 임의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각 브래킷(13)의 하부 및 전후 중앙부가 개방되고, 이 브래킷(13)의 양쪽 내면에 각각 두 개의 파지돌기(14)가 핀(15) 및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하여 전후로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이와 대응하여 각 고정핀(51 내지 54)의 외주면 사방에는 상기 파지돌기(14)들이 삽입되도록 4개의 파지홈(555)이 형성되면 도어(21)의 어느 한 쪽을 전후방향으로 임의로 개폐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가판대와 같은 가건물이나 소형 건축물(이하 '건축물'이라 함)의 소정의 장소에 문틀(11)을 설치하고 이 문틀(11)에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
가 설치된 도어(21)를 설치하고 보안을 위할 경우에는 도어(21)와 문틀(11)에 걸쳐 시건장치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건축물에 도어(21)가 설치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내부로 들어가기 위하여 우선 시건장치를 로크해제한 다음 도어(21)를 열기 편한 쪽의 회전손잡이,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한다.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이와 연결된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가 선회하고 이 링크들(41,42)의 선회에 따라 좌측의 상부 고정핀(51) 및 하부 고정핀(52)이 문틀(11)의 개방홈(12)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1)속으로 몰입되므로 도어(21)의 왼쪽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회전손잡이(31)와 연결된 제1와이어(81)를 통하여 제3링크(6)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 제3링크(6)의 우측 이동에 따라 제3링크(6)의 우측 파지부(63)에 의하여 우측 상부의 고정핀(53)이 고정되므로 도어(21)가 문틀(11)로부터 빠지지 않음과 아울러 우측의 상하 고정핀(53,54)은 도어(21)의 개방축으로 작용함으로써 도어(21)의 왼쪽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여 도어(21)의 오른쪽을 개방하는 작용은 방향만 반대일 뿐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태에서 도어(21)를 개방하여 건축물 안으로 들어간 다음 도어(21)를 닫을 경우에는 도어(21)의 개방단을 문틀(11)쪽으로 밀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어(21)의 개방단을 문틀(11)쪽으로 밀면, 도어(21)의 개방단쪽, 예컨대 왼쪽의 상하부 고정핀(51,52)이 문틀(11)의 개방홈(12)에 설치된 브래킷(13)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고정핀(51,52)에 의하여 파지돌기(14)들이 뒤로 밀려나고 고정핀(51,52)이 완전히 브래킷(13)에 삽입되면 압축된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하여 파지돌기(14)들이 다시 앞쪽으로 선회하여 고정핀(51,52)의 파지홈(555)들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핀(51,52)의 전후유동이 방지되므로 도어(21)의 닫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반면에 고정핀(51,52)의 승강은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다시 회전손잡이들(31,32)의 선택적인 회동에 따라 도어(21)의 양방향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어(21)를 문틀(11)에 설치할 경우에는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여 예컨대 왼쪽 상,하부의 두 고정핀(51,52)을 도어(21) 내부로 몰입시킨 다음 이 부분을 문틀(11)에 끼워 제1회전손잡이(31)를 놓으면 도어(21)가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다음에 도어(21)를 전술한 바와 같이 밀어 닫으면 된다. 역으로 도어(21)를 문틀(11)로부터 이탈시킬 경우에는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여 도어(21)의 한 쪽을 개방한 다음 제1회전손잡이(31)를 놓은 상태에서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여 문틀(11)에 삽입되어 있는 오른쪽 상,하부의 두 고정핀(53,54)을 문틀(11)로부터 이탈시켜 도어(21)와 문틀(11)과의 결합 부분을 없앤 다음 문틀(11)로부터 도어(21)를 빼내면 된다.
<실시예 2>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3링크(6), 와이어 드럼(7) 및 와이어들(81,8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다만 상부의 좌우측 고정핀들(51 및 53) 및 상부의 좌우측
브래킷(13,13)의 구조가 실시예 1과는 약간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실시예 2에 따르면, 브래킷(13)의 하방 및 전방이 개방되고, 이 브래킷(13)의 양측면에 각각 파지돌기(14)가 핀(15) 및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하여 전후로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돌기(14)들과 대응하여 고정핀(51 및 53)의 외주면 양쪽에는 상기 파지돌기(14)들이 삽입되도록 두 개의 파지홈(555)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12)의 후벽(201)은 브래킷(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후벽(201)의 내면에는 압축스프링(203)에 의하여 스토퍼(205)가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12)의 천정(207) 내면에는 고정핀(51 및 53)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고 외주면에 상기 스토퍼(205)가 탄성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211)이 형성된 반원통(209)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핀(51 및 53)들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205)와 대응하는 일부만 남겨 놓고 삽입홈(557)이 형성된다. 즉, 삽입홈(557)은 스냅링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홈(557)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스토퍼(205)에 대한 걸림해제부(559)로 작용한다.
따라서,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이와 연결된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가 선회하고 이 링크들(41,42)의 선회에 따라 좌측의 상부 고정핀(51) 및 하부 고정핀(52)이 문틀(11)의 개방홈(12) 즉, 브래킷(13)의 하부 개방부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1) 속으로 몰입되므로 도어(21)의 왼쪽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어(21)를 개방하면 우측 상부의 고정핀(53)은 브래킷(13)의 내부에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스토퍼(205)를 지지하고 있던 걸림해제부(559)가 회동함으
로써 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하여 앞쪽으로 튀어나와 스토퍼(205)가 고정핀(53)의 삽입홈(557)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핀(53)이 고정되므로 도어(21)가 문틀(11)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된다.
다시 도어(21)를 닫기 위하여 도어(21)의 개방단을 문틀(11)쪽으로 밀면 개방단쪽 상하부 고정핀(51,52)이 브래킷(13)의 앞쪽 개방부를 통하여 브래킷(13)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핀(51,52)들에 의하여 파지돌기(14)들이 뒤로 밀려나고 고정핀(51,52)이 완전히 브래킷(13)에 삽입되면 파지돌기(14)들이 다시 앞쪽으로 선회하여 고정핀(51,52)의 파지홈(555)들에 삽입된다. 한편, 고정핀(51)의 경우 그 상단이 반원통(209)에 삽입됨과 아울러 스토퍼(205)는 걸림해제부(559)에 접촉함으로써 제1회전손잡이(31)의 회동하면 고정핀(51)이 브래킷(13) 아래쪽으로 빠질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도어(21)를 닫는 과정에서 지지축으로 작용하는 우측 상부의 고정핀(53)은 반원통(209)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21)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고, 고정핀(53)의 회동에 의하여 삽입홈(557)도 회동함으로써 삽입홈(557)에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205)는 걸림해제부(559)에 의하여 뒤로 밀려 걸림해제부(559)의 외면에 다시 접촉하므로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면 고정핀(53)이 브래킷(12) 하부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실시예 3>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상
부 좌우측 고정핀(51,53)의 구조와 상부 좌우측 브래킷(13,13)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실시예 3에 따르면, 브래킷(13)의 하방 및 전방이 개방되고, 이 브래킷(13)의 양측면에 각각 파지돌기(14)가 핀(15) 및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하여 전후로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돌기(14)들과 대응하여 고정핀(51 및 53)의 외주면 양쪽에는 상기 파지돌기(14)들이 삽입되도록 두 개의 파지홈(555)이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12)의 천정(207) 내면에는 고정핀(51 및 53)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지지리브(213)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반원통(209)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핀(51 및 53)의 외주면에는 그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리브(213)들의 상면에 놓이거나 상기 지지리브(213)들 사이에 놓이도록 걸림돌기(561)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1회전손잡이(31)를 회동하면 이와 연결된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가 선회하고 이 링크들(41,42)의 선회에 따라 좌측의 상부 고정핀(51) 및 하부 고정핀(52)이 문틀(11)의 개방홈(12) 즉, 브래킷(13)의 하부 개방부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1) 속으로 몰입되므로 도어(21)의 왼쪽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어(21)를 개방하면 우측 상부의 고정핀(53)은 브래킷(13)의 내부에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지지리브(213)들 사이에 놓인 걸림돌기(561)들이 회동함으로써 지지리브(213) 상부에 놓임으로써 고정핀(53)이 고정되므로 도어(21)가 문틀(11)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된다.
다시 도어(21)를 닫기 위하여 도어(21)의 개방단을 문틀(11)쪽으로 밀면 개
방단쪽 상하부 고정핀(51,52)이 브래킷(13)의 앞쪽 개방부를 통하여 브래킷(13)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핀(51,52)들에 의하여 파지돌기(14)들이 뒤로 밀려나고 고정핀(51,52)이 완전히 브래킷(13)에 삽입되면 파지돌기(14)들이 다시 앞쪽으로 선회하여 고정핀(51,52)의 파지홈(555)들에 삽입된다. 한편, 고정핀(51)의 경우 그 상단이 반원통(209)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돌기(561)들은 지지리브(213)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회전손잡이(31)의 회동하면 고정핀(51)이 브래킷(13) 아래쪽으로 빠질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도어(21)를 닫는 과정에서 지지축으로 작용하는 우측 상부의 고정핀(53)은 반원통(209)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21)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고, 고정핀(53)의 회동에 의하여 지지돌기(213)들 상면에 놓인 걸림돌기(561)들도 회동하여 지지돌기(213)들 사이에 놓이므로 제2회전손잡이(32)를 회동하면 고정핀(53)이 브래킷(12) 하부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실시예 4>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에 따른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상부 좌우측 브래킷(13,13)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실시예 4에 따르면, 브래킷(13)의 천정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형성된 반원통(209)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브래킷(13)의 양쪽 내벽면에 지지리브(2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핀(51 및 53)의 회동에 따라 고정핀(51 및 53)의
걸림돌기(561)들이 지지리브(215)들의 상면에 놓이거나 지지리브(215)들 상면에 놓임으로써 전술한 실시예 3과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와 같은 경우 브래킷(13)의 후방이 전방과 동일하게 개방되고 이 후방에 두 개의 파지돌기(14,14)가 더 설치됨과 아울러 이와 대응하여 고정핀(51,53)들의 외주면에도 두 개의 파지홈(555,555)이 더 형성되면 도어(21)의 양쪽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양쪽을 전후로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21)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제1회전손잡이(31) 및 제2회전손잡이(32)의 선택적인 회동에 의하여 도어(21)의 양방향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므로 출입이 편리하다. 또 회전손잡이들(31,32)과 고정핀들(51 내지 54)이 간단한 구조의 링크(41 내지 44)에 의하여 연결되어 승강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물론 도어(21)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도어(21)의 개방축쪽, 예컨대 오른쪽 상,하부 고정핀들(53,54)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됨으로써 도어(21)가 문틀(11)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고 도어(21)를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또 도어(21)의 내구성도 향상되며, 도어(21)를 문틀(11)에 설치하거나 도어(21)를 문틀(11)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므로 도어(21)의 설치 또는 보수가 편리하다. 도어(21)의 어느 한 쪽을 전후방향으로 임의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건축물의 공간활용을 고려하여 건축물 밖으로 또는 건축물 내부로 선택적으로 도어(21)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상 유익하다.
Claims (7)
- 도어(21)의 양측에 각 손잡이부(312,322)가 돌출되도록 차례로 내장되는 제1회전손잡이(31) 및 제2회전손잡이(32)와;상기 제1회전손잡이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자유단부가 굴곡되어 도어에 핀결합되는 제1상부링크(41) 및 제1하부링크(42)와;상기 제2회전손잡이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자유단부가 굴곡되어 도어에 핀결합되는 제2상부링크(43) 및 제2하부링크(44)와; 그리고,상기 링크들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도어의 사방 모서리부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링크들에 의하여 연동하여 하강함으로써 도어에 몰입됨과 아울러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압축스프링(56)에 의하여 도어로부터 돌출하여 문틀(11)에 자유단이 삽입되는 4개의 고정핀(51,52,53,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핀들(51,52,53,54)은 도어(21)의 사방 모서리부에 각각 수직으로 내장되는 안내통(22)들을 차례로 관통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안내통에 위치하는 고정핀의 외주면에는 지지플랜지(55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플랜지들과 안내통들의 바닥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56)이 각각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핀들(51,52,53,54)과 대응하여 문틀(11)의 사방 모서리부에 개방홈(12)이 각각 형성되고, 이 개방홈들에 전후방중 적어도 한쪽 및 하부가 개방된 브래킷(1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브래킷의 양측 내면에 적어도 2개의 파지돌기(14)가 각각 핀(15) 및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하여 전후로 탄성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돌기들과 대응하여 각 고정핀의 외주면에 상기 파지돌기들이 삽입되는 적어도 2개의 파지홈(555,5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브래킷(13)의 후벽(201) 내면에는 압축스프링(203)에 의하여 스토퍼(205)가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천정(207) 내면에는 고정핀(51 및 53)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고 외주면에 상기 스토퍼(205)가 탄성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211)이 형성된 반원통(209)이 설치되며, 고정핀(51 및 53)들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205)와 대응하는 일부인 걸림해제부(559)만 남겨 놓고 삽입홈(55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핀(51 및 5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205)가 삽입홈(557)에 삽입되거나 삽입홈(557)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해제부(559)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브래킷(13)의 천정(207) 내면에는 고정핀(51 및 53)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지지리브(213)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반원통(209)이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여 고정핀(51 및 53)의 외주면에는 그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리브(213)들의 상면에 놓이거나 상기 지지리브(213)들 사이에 놓이도록 걸림돌기(561)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브래킷(13)의 양쪽 내벽면에 지지리브(215)가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고정핀(51 및 53)의 외주면에는 그 회동에 따라 지지리브(215)들의 상면에 놓이거나 지지리브(215)들 상면에 놓이는 걸림돌기(561)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핀들중 상부의 두 고정핀(51,53) 사이의 도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좌우이동에 따라 상부의 두 고정핀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지부(61,63)가 양단부에 형성된 제3링크(6)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 중앙에 내장되는 와이어 드럼(7)과; 그리고, 상기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 드럼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각 자유단부가 제3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제1회전손잡이 및 제2회전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제3링크를 좌우이동시키는 제1와이어(81) 및 제2와이어(8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9842U KR200175711Y1 (ko) | 1999-08-16 | 1999-09-15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3743A KR100370346B1 (ko) | 1999-08-16 | 1999-08-16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KR2019990019842U KR200175711Y1 (ko) | 1999-08-16 | 1999-09-15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3743A Division KR100370346B1 (ko) | 1999-08-16 | 1999-08-16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5711Y1 true KR200175711Y1 (ko) | 2000-03-15 |
Family
ID=2663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9842U KR200175711Y1 (ko) | 1999-08-16 | 1999-09-15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571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0999A (ko) * | 2002-11-01 | 2002-12-05 | 박근희 | 겹문틀 4중개폐 도어 장치 |
CN109519090A (zh) * | 2018-12-27 | 2019-03-26 | 北京苏鑫华安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推拉门 |
-
1999
- 1999-09-15 KR KR2019990019842U patent/KR2001757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0999A (ko) * | 2002-11-01 | 2002-12-05 | 박근희 | 겹문틀 4중개폐 도어 장치 |
CN109519090A (zh) * | 2018-12-27 | 2019-03-26 | 北京苏鑫华安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推拉门 |
CN109519090B (zh) * | 2018-12-27 | 2024-01-12 | 北京苏鑫华安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推拉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04346C1 (ru) | Створчатое распашное окно с фикс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 |
KR101086277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 |
US20230332432A1 (en) | Push-pull door lock having locking means | |
MXPA06006168A (es) | Ensamble de puerta montado en bastidor. | |
KR100370346B1 (ko)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
FI74321C (fi) | Laos. | |
KR101012498B1 (ko) |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 |
KR20190025864A (ko)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 |
KR200175711Y1 (ko) |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 |
KR20020043421A (ko) |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 |
KR100456582B1 (ko) | 컴퓨터 | |
KR100569859B1 (ko) | 레버형 도어록 | |
KR101862511B1 (ko) |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 |
US4059924A (en) | Operating mechanism for doors and windows | |
JPS592279Y2 (ja) | スライド回転扉のストツパ装置 | |
KR20040061068A (ko) |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 |
KR101053339B1 (ko) | 창문의 잠금장치 | |
KR102457673B1 (ko) | 선로 전환기의 커버 잠금 장치 | |
KR100439243B1 (ko) | 창문의 개폐장치 | |
JPH1046876A (ja) | 扉用ハンドル装置 | |
KR19990056257A (ko) | 냉장고의 리버서블도어 | |
KR200212488Y1 (ko) | 회전 가능한 미닫이용 창틀_ | |
KR100199492B1 (ko) | 버스의 창문 록장치 | |
KR100287277B1 (ko) | 잠금장치 | |
KR100576778B1 (ko) |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11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