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314Y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314Y1
KR200175314Y1 KR2019990022519U KR19990022519U KR200175314Y1 KR 200175314 Y1 KR200175314 Y1 KR 200175314Y1 KR 2019990022519 U KR2019990022519 U KR 2019990022519U KR 19990022519 U KR19990022519 U KR 19990022519U KR 200175314 Y1 KR200175314 Y1 KR 200175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s
fixing
hanger
rod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준
Original Assignee
정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20490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73749Y1/ko
Application filed by 정홍준 filed Critical 정홍준
Priority to KR2019990022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314Y1/ko
Priority to PCT/KR2000/001055 priority patent/WO2001021048A1/en
Priority to AU74563/00A priority patent/AU745630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85Collapsible clothes racks, e.g. swingable, foldable, extendibl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하측이 개구되는 옷걸이 몸체의 좌우 양측에는 제 1,2지지바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2지지바의 마주보는 단부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치합되는 한편, 타측 단부에는 인력이 작용되도록 극성이 서로 다른 자석이 부착되고, 지지바의 사이에는 링크부재가 조립되고, 링크부재의 힌지핀의 타측에는 조임캡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2지지바 및 제 1,2로드가 접혀 일직선으로 배치되면서 자석의 인력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옷걸이를 사용하기 위해 지지바를 강제로 잡아 당기게 되면, 기어부가 맞물려 회전되면서 제 1,2지지바가 원활하게 펼쳐지게 되고, 동시에, 제 1,2로드가 중앙부 및 단부의 힌지의 안내를 받으면서 벌어지게 되며, 제 1,2지지바가 원하는 각도만큼 벌어지게 되면, 조임캡을 힌지핀에 조여 제 1,2지지바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옷걸이의 부피가 작아져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 점유율이 감소되며, 더불어, 기어부의 안내를 통해 절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보관의 편의성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HANGER}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이 용이하며,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정리정돈,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옷걸이는 크게, 행거 등의 걸이바에 걸리는 회전고리와, 옷을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되어 옷걸이를 외투 등의 옷으로 감싸면서 좌우 양측의 어깨부를 지지바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회전고리를 옷장, 행거 등의 걸이바에 걸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옷걸이에 따르면, 옷걸이의 기능상 지지바가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옷걸이의 전체적인 부피는 회전고리, 지지바의 끝점이 그리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피가 매우 클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의 보관시 넓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어 보관 및 운반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아울러, 제한된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를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옷걸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 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보이기 위한 정면도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옷걸이 10 : 몸체
20,30 : 지지바 21,22,31,32,41 : 힌지
23,33 : 기어부 44 : 조임캡
28,38 : 고정돌기 50,60,90 : 고정핀
70,80 : 안내 로드 71,81 : 기어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1의 A - A 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보인 위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옷걸이(1)는, 하측이 개구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면서 일단부가 각각 힌지(21)(31)를 매개로 하여 회전되면서 절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마주보는 측부가 개구되는 제 1,2지지바(20)(30)와, 몸체(10)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옷장, 행거 등지의 걸이봉(미도시)에 걸려 고정되는 회전고리(2)와, 제 1,2지지바(20)(30)의 절첩을 안내하는 링크(40)로 구성된다.
링크(40)는 힌지핀(41)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제 1,2로드(42)(43)로 구성되며, 제 1,2로드(42)(43)의 양측에는 제 1,2힌지 결합부(42a)(43a)(42b)(43b)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중첩되는 제 1힌지 결합부(42a)(43a)에는 힌지핀(41)이 결합되고, 타측의 제 2힌지 결합부(42b)(43b)에는 제 1,2지지바(20)(30)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22)(3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아울러, 힌지핀(41)의 타측에 조임캡(44)이 나사 체결되어 링크(40)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몸체(10), 힌지핀(41) 및 조임캡(44)의 사이에는 고무링(45)(46)이 각각 개재된다.
제 1힌지 결합부(42a)(43a)의 직경(r)은 제 1,2로드(42)(43)의 폭(l)의 2배 또는 2배 이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의 제 2힌지 결합부(42b)(43b)는 일부분이 개구되어 힌지(22)(32)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제 1,2지지바(20)(30)의 단부에는 서로 치합되는 기어부(23)(3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면서 힌지(21)(31)에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제 1,2지지바(20)(30)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그리고, 제 1,2지지바(20)(3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 리브(24)(34)가 형성되어 지지바(20)(3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며, 몸체(10)의 내부에도 보강 리브(11)가 형성된다.
제 1,2로드(42)(43)의 회전 궤적내에 위치되는 제 1,2지지바(20)(30)의 일정부에는 제 1,2로드(42)(43)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25)(35)가 형성되며, 스토퍼(25)(35)는 제 1,2로드(42)(43)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제 1,2지지바(20)(3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부에는 각각 인력이 작용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20a)(30a)이 각각 부착되며, 어느 일측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이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금속부재를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1)의 사용 상태는, 도 1, 도 2 및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제 1,2지지바(20)(30)가 펼쳐져 옷을 걸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조임캡(44)이 힌지핀(41)에 나사 체결되어 제 1,2로드(42)(43)는 제 1,2지지바(20)(30)의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 옷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옷걸이(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임캡(44)을 힌지핀(41)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한도내에서 그 체결력을 해제시키며, 이렇게 되면, 제 1,2지지바(20)(30)는 자유 운동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 1,2지지바(20)(30)를 강제로 접게 되면, 제 1,2지지바(20)(30)는 힌지(21)(31)의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되며, 이 때, 각 기어부(23)(33)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지바(20)(30)가 동일 각도만큼 서서히 접히게 된다.
동시에, 제 1,2로드(42)(43)는 중앙 및 단부의 힌지(41)(22)(32)의 안내를 받으며 회전되면서 접히게 된다.
제 1,2지지바(20)(30)가 접히다가 각 자석(20a)(30a)의 인력이 작용되는 시점에서 제 1,2지지바(20)(30)가 자력에 의해 붙게 된다.
이와 같이 옷걸이(1)를 일직선형으로 접어서 수납함 등에 보관하게 된다.
반대로, 옷걸이(1)에 옷을 걸기 위해서 양손으로 접힌 상태의 제 1,2지지바(20)(30)를 잡고 벌리게 되면, 제 1,2지지바(20)(30)에 가해진 힘이 자석(20a)(30a)의 인력보다 세기 때문에 제 1,2지지바(20)(30)가 벌어지게 된다.
각 기어부(23)(33)가 접힐때와 반대로 회전되면서 제 1,2지지바(20)(30)의 벌어짐을 서서히 안내하게 되어 제 1,2지지바(20)(30)가 서서히 벌어지게 된다.
동시에, 제 1,2로드(42)(43)가 중앙 및 좌우 단부의 힌지(41)(22)(32)의 안내를 받으면서 펼쳐지게 되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2지지바(20)(30)를 원하는 각도만큼 펼치고, 이어서, 조임캡(44)을 체결하면 고무링(45)(46)을 사이에 두고 힌지핀(41)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제 1,2로드(42)(43)가 고정되면서 제 1,2지지바(20)(3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지지바(20)(30)를 계속해서 펼치다가 제 1,2로드(42)(43)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면 스토퍼(25)(35)에 의해 제 1,2로드(42)(43)의 회전이 정지되며, 아울러, 지지바(20)(30)가 몸체(10)의 하단면에 지지되어 지지바(20)(30)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옷걸이(1)를 펼친 후, 옷의 어깨부를 지지바(20)(30)에 걸은 상태로 회전고리(2)를 옷장, 행거 등의 걸이바에 걸어 옷을 정리하게 되며, 지지바(20)(30) 내부의 보강리브(24)(34)에 의해 옷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견딜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와 도 4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타원형의 고정핀(50)과, 고정핀(50)의 상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노브(51)와, 고정핀(50)과 대응되는 지지바(20)(30)에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핀(50)이 삽입되는 삽입부(26)(36)와, 삽입부(26)(36)의 단부에 확장 형성되며 고정핀(50)이 체결되는 원형의 고정홈(26a)(36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핀(50)의 장직경은 고정홈(26a)(36a)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삽입부(26)의 폭보다 크며, 동시에, 단직경은 삽입부(26)(36)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핀(50)의 장직경이 삽입부(26)(36)와 일렬로 배치되면 지지바(20)(30)의 자유 운동상태가 되고, 직각으로 배치되면 지지바(20)(30)는 고정핀(5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옷걸이(1)의 초기 상태 즉, 옷을 걸기 위한 상태는 고정핀(50)의 장직경부가 삽입부(26)(36)에 걸리게 배치되어 지지바(20)(30)는 몸체(10)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옷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옷걸이(1)를 보관하기 위하여 고정핀(50)을 회전시켜 장직경을 삽입부(26)(36)와 일렬로 배치시킨 후, 지지바(20)(30)를 접게 되면 지지바(20)(36)의 삽입부(26)(36)를 따라 고정핀(50)이 통과되므로 지지바(20)(30)는 힌지(21)(31)의 안내를 받으면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도 5a와 도 5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바(20)에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삽입공(27a)이 구비된 고정편(27)과, 몸체(10)를 관통하면서 고정편(27)의 삽입공(27a)에 삽입되는 고정핀(60)을 포함하며, 고정편(27)의 삽입공(27a)의 하단부에는 걸림턱(27b)이 확장 형성되며, 삽입공(27a)의 양측에는 키홈(27c)이 형성되고, 고정핀(60)의 하단부 양측에는 키홈(27c)에 삽입되는 키돌기(61)가 구비된다.
그리고, 즉, 고정핀(60)의 키돌기(61)를 키홈(27c)에 맞춰 끼우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키돌기(61)가 고정편(27)의 걸림턱(27b)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핀(60)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스프링 가압부(62)가 형성되며, 스프링 가압부(62)와 몸체(10)의 지지턱(10a)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63)이 개재되어 고정핀(60)을 해제 방향 즉, 상측으로 탄력 지지하게 되며, 몸체(10)의 고정핀(60) 삽입부에는 커버(10b)가 결합되고, 고정핀(60)의 상단부에는 노브(64)가 나사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타측의 지지바(30)에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핀(60)의 키돌기(61)를 삽입공(27a)의 키홈(27c)에 맞춰 끼운 후 회전시키게 되면, 키돌기(61)가 걸림턱(27b)에 걸려 고정되어 지지바(20)는 몸체(10)에서 펼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지지바(20)를 접기 위해서는 고정핀(60)을 회전시켜 키돌기(61)와 삽입공(27a)의 키홈(27c)을 일치시키며, 이렇게 되면, 코일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60)이 걸림턱(27b)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지지바(20)의 고정을 구속하지 못하게 되고, 이후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0)의 양측에는 단부에 기어부(71)(81)가 구비된 안내 로드(70)(80)가 각각 힌지(21)(31) 결합되며, 안내 로드(70)(80)에는 지지바(20)(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10)의 단부에는 고정홈(12)(12a)이 형성되며, 지지바(20)(30)의 단부에는 고정홈(12)(12a)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돌기(28)(38)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바(20)(30)와 안내 로드(70)(80)의 접촉부에는 지지바(20)(30)의 고정을 위하여 자석(72)(73)(82)(83)이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지지바(20)(30)가 펼쳐진 초기 상태를 설명하면, 지지바(20)(30)의 고정돌기(28)(38)가 몸체(10)의 고정홈(12)(12a)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바(20)(30)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옷걸이(1)를 보관하기 위하여 지지바(20)(30)를 중앙쪽으로 밀게 되면 지지바(20)(30)는 안내 로드(70)(8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돌기(28)(38)가 고정홈(12)(12a)으로부터 이탈되어 지지바(20)(30)의 구속이 해제되며, 지지바(20)(30)가 밀리게 되면 자석(72)(73)(82)(83)의 인력에 의해 지지바(20)(30)와 안내 로드(70)(80)가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바(20)(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힌지(21)(31)의 안내를 받으며 회전하면서 접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로드(70)(80)의 내부에는 일면에 경사부(91)가 구비된 고정핀(90)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부에는 고정핀(90)을 인출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92)이 장착되며, 몸체(10)에는 고정핀(90)이 지지바(20)를 관통하면서 끼워 고정되는 고정홈(13)이 형성되고, 고정핀(90)을 향한 지지바(20)의 일면에는 고정핀(90)을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29)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핀(90)이 지지바(20)를 관통하면서 몸체(10)의 고정홈(13)에 끼워지게 되면 지지바(20)가 펼쳐진 상태로 몸체(10)에 고정되어 옷을 걸수 있게 된다.
한편, 옷걸이(1)의 보관을 위하여 지지바(20)를 몸체(10)측으로 밀게 되면 지지바(20)와 고정핀(90)의 경사부(29)(91)에 의해 고정핀(90)이 코일스프링(9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안내 로드(7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홈(13)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즉, 지지바(20)의 구속이 해제되어 자유 운동상태가 되며, 지지바(20)를 접게 되면 힌지(21)의 안내를 받아 회전되는 안내 로드(70)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접히게 된다.
한편, 옷을 걸기 위하여 지지바(20)를 펼친 후, 지지바(20)를 잡아 당기게 되면, 고정핀(90)이 고정홈(13)에 일치되는 순간 코일스프링(92)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되면서 지지바(20)를 관통, 몸체(10)의 고정홈(13)에 끼워져 지지바(20)는 몸체(10)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타측의 지지바(30)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옷걸이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본 고안에 의한 옷걸이(1)는 양측의 지지바(20)(30)가 절첩되며, 접힌 상태의 옷걸이(1)의 회전고리(2)와 지지바(20)(30)의 끝점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종래보다 부피가 작아지게 되므로 보관시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된다.
그리고, 지지바(20)(30)의 절첩시 기어부(23)(33)의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되므로 동일한 각도만큼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어 한번의 동작으로 보다 안정되도록 절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옷걸이에 의하면, 옷걸이의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운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효용성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실내와 같이 협소한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측이 개구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상측부에 조립되며 걸이바에 걸려 고정되는 회전고리(2)와; 상기 몸체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옷이 지지되는 제 1,2지지바(20)(30)와;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치합되며 상기 지지바(20)(30)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기어부(23)(33)와;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펼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기 제 1,2지지바(20)(3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재(40)와, 상기 링크부재(40)의 중앙의 힌지(41)에 체결되어 상기 링크부재(40)의 제 1,2로드(42)(43)를 고정시키는 조임부재(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핀(50)과, 상기 제 1,2지지바(20)(30)에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50)이 삽입되는 삽입부(26)(36)와, 상기 삽입부(26)(36)의 단부에 원형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50)이 끼워지는 고정홈(26a)(36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하단부에 걸림턱(27b)이 확장 구비되는 삽입공(27a)과, 상기 삽입공(27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60)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27a)의 양측에는 키홈(27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60)의 하단부에는 상기 키홈(27c)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27b)에 걸려 고정되는 키돌기(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단부는 상기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로드(70)(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고정홈(12)(12a)과, 상기 지지바(20)(3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2)(12a)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28)(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단부는 상기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로드(70)(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고정홈(13)과; 상기 안내 로드(70)(8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20)(30)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홈(13)에 삽입 고정되며 일면에 경사부가 구비된 고정핀(90)과; 상기 고정핀(90)을 상기 고정홈(13)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9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지지바(20)(3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20a)(3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2019990022519U 1999-09-22 1999-10-19 옷걸이 KR200175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519U KR200175314Y1 (ko) 1999-09-22 1999-10-19 옷걸이
PCT/KR2000/001055 WO2001021048A1 (en) 1999-09-22 2000-09-21 Garment hanger
AU74563/00A AU7456300A (en) 1999-09-22 2000-09-21 Garment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90U KR200173749Y1 (ko) 1999-09-22 1999-09-22 옷걸이
KR2019990020490 1999-09-22
KR2019990022519U KR200175314Y1 (ko) 1999-09-22 1999-10-19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314Y1 true KR200175314Y1 (ko) 2000-03-15

Family

ID=2663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519U KR200175314Y1 (ko) 1999-09-22 1999-10-19 옷걸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75314Y1 (ko)
AU (1) AU7456300A (ko)
WO (1) WO20010210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554B1 (ko) * 2016-07-21 2017-10-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포 유동방지형 구둣주걱
KR102074816B1 (ko) * 2019-10-15 2020-03-03 주식회사 진주코퍼레이션 비닐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6878B (en) * 2001-06-25 2003-07-30 Ameyrtharatnarajah Nathanmanna Foldable clothes hanger
WO2004058013A1 (en) 2002-12-30 2004-07-15 Ameyrtharatnarajah Nathanmanna Foldable clothes hanger
ITMI20080364U1 (it) * 2008-11-05 2010-05-06 Tasci S R L Struttura di appendiabiti a geometria variabile.
ES1072771Y (es) * 2010-05-13 2010-12-23 Perez David Beneitez Percha plegable mejorada para colgar prendas de vestir
US9801485B2 (en) 2015-09-14 2017-10-31 Brad Alan SNOW Collapsible hanger for use in-garment to reduce creasing, crushing, and wrinkling, while maintaining support and structure, of upper garmen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US9687099B2 (en) 2015-09-14 2017-06-27 Brad Alan SNOW Collapsible hanger for use in-garment to reduce creasing, crushing, and wrinkling, while maintaining support, of upper garmen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KR101880166B1 (ko) * 2018-01-23 2018-07-20 윤병운 톤 백 걸이장치
WO2020166096A1 (ja) * 2019-02-13 2020-08-20 株式会社チャナカンパニー 衣服用ハンガ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082A (en) * 1901-10-24 1903-04-14 Henry C Hinchcliff Coat-hanger.
US2544170A (en) * 1946-04-30 1951-03-06 Fred M Mills Folding garment hanger
DE811150C (de) * 1949-06-15 1951-08-16 Adolf Kerber Zusammenlegbarer Kleiderbuegel
FR2773449A1 (fr) * 1997-11-26 1999-07-16 Didier Rouchaville Cintre de transport de vetements a bras rabattab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554B1 (ko) * 2016-07-21 2017-10-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포 유동방지형 구둣주걱
KR102074816B1 (ko) * 2019-10-15 2020-03-03 주식회사 진주코퍼레이션 비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21048A1 (en) 2001-03-29
AU7456300A (en) 200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314Y1 (ko) 옷걸이
US4988021A (en) Collapsible clothes hanger
US4850562A (en) Hanger-retaining clamp for garment bags
US10383469B2 (en) Inertia and gravity driv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US5566843A (en) Retractable folding hanger device
KR100968035B1 (ko) 격납식 훅장치
KR200185089Y1 (ko) 옷걸이
JP2006247310A (ja) 開閉式ハンガー
CN115605114A (zh) 一种折叠式衣架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JP3684960B2 (ja) 衣服用ハンガー掛け具
KR200173749Y1 (ko) 옷걸이
JP4976997B2 (ja) 物品掛け具
KR20020034719A (ko) 절첩식 옷걸이
JPH0542676Y2 (ko)
KR200312322Y1 (ko) 접이식 탁자
JP3031706U (ja) 衣服用ハンガー
JP3990211B2 (ja) 開閉式傘掛け装置
KR970000065Y1 (ko) 자동차용 옷걸이
CN211211991U (zh) 一种折叠置物架
KR100200898B1 (ko) 의류보관함
KR200310985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228857Y1 (ko) 바인더
KR100326036B1 (ko) 휴대용 의류 수납함
KR200333101Y1 (ko) 가방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