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058Y1 - 찜통 - Google Patents

찜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058Y1
KR200175058Y1 KR2019990021978U KR19990021978U KR200175058Y1 KR 200175058 Y1 KR200175058 Y1 KR 200175058Y1 KR 2019990021978 U KR2019990021978 U KR 2019990021978U KR 19990021978 U KR19990021978 U KR 19990021978U KR 200175058 Y1 KR200175058 Y1 KR 200175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er
main body
heating
steam
steam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오
Original Assignee
오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오 filed Critical 오경오
Priority to KR2019990021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기에 관계없이 통상의 냄비나 솥 등의 상단에 찜통 본체를 얹혀 사용하는 찜통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찜통은, 가열에 의해서 물을 증기로 증발시키는 가열용기와 상기 증기에 의하여 음식물 등을 찌는 찜통 본체 및 상기 찜통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찜통에 있어서, 상기 찜통 본체는, 저면에는 다수의 증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찜통 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외주면을 따라 상부쪽으로 일정간격으로 확대되는 단턱환이 최소한 2개 이상 형성되며, 또한 최대 직경을 갖는 상기 단턱환의 상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환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부로 개방되어진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고안에의해 여러 크기의 직경을 갖는 가열용기에 사용할 수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운두가 낮은 솥이나 냄비 등을 상기 가열용기로 대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찜통 본체를 다단으로 안착하여 여러층의 찜통 본체가 형성되게 하여 여러종류의 음식물을 대량으로 찔 수 있는 찜통 본체를 제공하므로 찜통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찜통{steaming vessel}
본 고안은 주방용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냄비나 솥 등의 크기에 무관하게 그 상단에 협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찜통 본체를 구비한 찜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통은 음식물 등을 끓는 물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끊은 물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수증기로 찬밥, 만두, 고구마 등을 찌는데 사용하는 주방용품이다. 이러한 찜통은 공급 열원에 따라 구분되는데 가스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찜통과, 전기열로 물을 끓으면서 사용하는 전기 찜통 등이 있다.
도 1 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찜통(100)은 가열에의해서 물을 고온의 수증기로 증발시키는 가열용기(130)와 상기 가열용기(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고온의 증기가 출입할 수 있는 증기공(蒸氣孔)(도시 생략)이 저면(底面)에 형성되고 음식물 등을 넣는 찜통 본체(110) 및 뚜껑(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찜통(100)은 가열용기(130)와 찜통 본체(110) 및 뚜껑(120)이 한조를 이루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가열용기(130)는 보통 손잡이가 달리고 운두(그릇의 높이)가 낮은 냄비 모양의 것이 사용되는데 상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장자리테(133)에 상기 찜통 본체(110)의 하부를 안착시켜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찜통은 상기 가열용기의 가장자리테의 직경과 상기 찜통 본체 하부의 직경이 같아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찜통 본체 하부의 직경 보다도 작은 가열용기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상기 가열용기와 찜통 본체는 한 세트(SET)로 이루어져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찜통을 구입할 때는 상기 찜통 본체와 크기가 같은 가열용기를 세트(SET)로 구입하여야 되고, 상기 가열용기가 분실될 경우 새로이 상기 찜통 본체에 맞는 규격의 가열용기를 새로 구입해야 된다. 다시 언급하면 찜통 본체에 사용되는 가열용기는 상기 찜통 본체의 크기에 따라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크기의 직경을 갖는 상기 가열용기에 사용할 수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운두가 낮은 솥이나 냄비 등을 가열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찜통 본체를 갖는 찜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찜통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찜통의 요부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찜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4 는 도 2 에 따른 찜통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100:찜통, 10, 110:찜통 본체, 11:증기공, 13:단턱환, 15:돌출환, 19:걸림턱, 20:뚜껑, 30, 130:가열용기, 33, 133:가장자리테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하여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가열 기구에 의해 발생된 열원을 직접받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의 상부에 협지되어 안착되는 찜통 본체 및 상기 찜통 본체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찜통에 있어서, 상기 찜통 본체는 다수의 증기공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을 중심으로 최소한 2 개 이상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확대되는 단턱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찜통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최외각의 단턱환의 상부일정부위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환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찜통 본체의 상부 내경은 상기 돌출환의 하부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찜통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에 따른 찜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5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찜통은 열원에 의하여 물을 고온의 증기로 증발하는 가열용기(30), 찜통 본체(10) 및 뚜껑(20)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찜통 본체(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증기공(11)이 형성되는데 이는 가열용기(30) 내에 있던 물이 가스 버너 등의 열원에의해 가열된 고온의 증기가 찜통 본체(10)에 있는 음식물 등을 찌기 위하여 상기 찜통 본체(10) 내부로 통하는 증기 구멍이다. 상기 찜통 본체(10)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단턱환(13)이 하방을 향하면서 축소되게 형성 되는데 이는 여러 크기의 가열용기(30)에 대하여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3 종류 크기의 증발기에 사용될 수 있는 짐통 본체(10)를 도시하였지만 (도 3 에는 2 종류의 가열용기만 도시됨)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턱환(13)을 여러가지의 크기로 다단계로 증가되게 형성하면 그 수 만큼 한 개의 찜통 본체(10)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열용기(30)는 증가한다. 또한, 상기 단턱환(13)의 상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환(15)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환(15)은 상기 단턱환(13)과 기능은 같고 단지 형상이 상기 단턱환(13)과 상이하게 형성되었고, 상기 찜통 본체(10)의 상부 일정부위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손잡이(17)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찜통 본체(10) 원통부위의 상부 내경(D)은 하부 내경(d)에 비하여 2t(t=찜통 본체 재질의 뚜께)보다도 약간 더 크게 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 는 도 4 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 상술한다.
도 4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음식물이 여러 종류이거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찜통 본체(10) 상부에 또 다른 찜통 본체(10)를 층설하여 조리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찜통 본체(10)의 상부에 또 다른 찜통 본체(10)를 얹혀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부에 있는 찜통 본체(10)의 걸림턱(19)에 상부 찜통 본체(10)의 돌출환(15)이 안착되어 2개의 찜통 본체(1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공(11)을 통하여 상부에도 고온의 증기가 연통되므로 상부 짐통 본체(10) 내부에 있는 음식물도 조리 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만큼 다수의 찜통 본체(10)를 층설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찜통 본체(10)를 서로 층설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찜통 본체(10)의 상부 내경(D)은 하부 내경(d)에 비하여 재질의 뚜께(t)의 2배 보다도 약간 더 길어야만 하부에 있는 찜통 본체(10)의 걸림턱(19)에 상부 찜통 본체(10)의 돌출환(15)이 무리없이 안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찜통 본체(10)의 상부 내경(D)이 하부 직경(d) 보다도 약간 더 크게 되므로, 상기 찜통 본체(10)의 제작 과정이 좀 더 간편하고 생산원가를 절감 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여러 크기의 직경을 갖는 가열용기에 사용할 수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운두가 낮은 솥이나 냄비 등을 상기 가열용기로 대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찜통 본체를 다단으로 안착하여 여러층 의 찜통 본체가 형성되게 하여 여러종류의 음식물을 대량으로 찔 수 있는 찜통 본체를 제공하므로 찜통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자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가열 기구에 의해 발생된 열원을 직접받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의 상부에 협지되어 안착되는 찜통 본체 및 상기 찜통 본체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찜통에 있어서,
    상기 찜통 본체는 다수의 증기공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을 중심으로 최소한 2 개 이상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확대되는 단턱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최외각의 단턱환의 상부일정부위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환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 본체의 상부 내경은 상기 돌출환의 하부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KR2019990021978U 1999-10-13 1999-10-13 찜통 KR200175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978U KR200175058Y1 (ko) 1999-10-13 1999-10-13 찜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978U KR200175058Y1 (ko) 1999-10-13 1999-10-13 찜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058Y1 true KR200175058Y1 (ko) 2000-03-15

Family

ID=1959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978U KR200175058Y1 (ko) 1999-10-13 1999-10-13 찜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0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511B1 (ko) * 2015-04-28 2016-04-05 박창규 스팀 조리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511B1 (ko) * 2015-04-28 2016-04-05 박창규 스팀 조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1520B2 (ja) 炊飯器
US5931333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 colander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US4462308A (en) Steam cooker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US5235904A (en) Multi-flex cooker
US20110056957A1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JP3156363U (ja) 電子レンジ調理用の麺容器
CA2530825C (en) Combined food cooker and steamer
KR200175058Y1 (ko) 찜통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KR200339705Y1 (ko) 찜용기
US1178525A (en) Combined cooker and steamer.
KR200235488Y1 (ko) 조리용 용기
KR200283338Y1 (ko) 뚝배기
JP3059391U (ja) 蒸気加熱調理用蒸し皿
KR200295860Y1 (ko) 다용도 찜통
KR200285030Y1 (ko) 찜솥
JP2528619Y2 (ja) 電子レンジ用釜
KR200242837Y1 (ko) 다단식 밥솥
JP2022159734A (ja) 電気圧力鍋及び電気圧力鍋用蒸し器
KR200390009Y1 (ko) 냄비뚜껑
TWM598102U (zh) 複合式電鍋
KR20030038363A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482851Y1 (ko) 다기능 육류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