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932Y1 -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932Y1
KR200174932Y1 KR2019990021667U KR19990021667U KR200174932Y1 KR 200174932 Y1 KR200174932 Y1 KR 200174932Y1 KR 2019990021667 U KR2019990021667 U KR 2019990021667U KR 19990021667 U KR19990021667 U KR 19990021667U KR 200174932 Y1 KR200174932 Y1 KR 200174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solvent
liquid pump
cleaning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가구찌마사끼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마구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34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36418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마구세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마구세루
Priority to KR2019990021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1Reclaiming or recovering the solvent from a mixture of solvent and contaminants, e.g. by dist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05Solvent condition control devices, e.g. humidity cont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1Reclaiming or recovering the solvent from a mixture of solvent and contaminants, e.g. by distilling
    • D06F43/085Filtering arrangements; Filter cleaning; Filter-aid powder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크리닝의 과정에서, 오염된 용제를 세정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장치본체와, 그 장치본체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소공이 형성된 제 1칸막이판과, 상기 제 1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2칸막이판과, 제 2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3칸막이판과, 상기 장치본체에 부설된 액체펌프와, 상기 액체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액체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된 송출관과, 상기 송출관의 선단에 설치된 용제분출부와, 상기 제 2칸막이판의 위에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제 3칸막이판의 위에 세라믹 또는 그 외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CLEANING SYSTEM OF SOLVENT FOR DRY CLEANING}
본 고안은 드라이크리닝의 과정에서 오염된 용제를 세정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크리닝의 방식에는, 석유계 용제를 사용하는 것과,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것의 2종류가 있지만, 유기용제에 대해서는 환경보전 외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현재의 드라이크리닝업계에 있어서는, 석유계 용제를 사용한 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
그런데, 석유계 용제를 사용한 드라이크리닝에 있어서는, 용제를 반복하여 순환시켜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및 지방산, 단백질 등의 노폐물이 용제 중에 혼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석유계 용제를 사용한 드라이크리닝기에는, 그 내부에 여과장치로서 필터가 장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용제 중에 혼입한 이물질 및 노폐물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드라이크리닝기에 장치된 상기 필터에 의해서는 용제 중에 혼입한 이물질 및 노폐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그 결과, 용제가 변색, 산화하여, 피세탁물을 역으로 오염하거나(이하, 역오염), 악취를 부착시키거나, 산화물이 피세탁물에 부착함에 의해 피부병 등의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거나, 곰팡이 등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종래로부터 드라이크리닝기와는 별도로 용제세정장치를 설치하고, 이 용제세정장치에 의해 용제를 세정하는 것이 시공되고 있다. 그리고, 이 용제세정장치는 이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는 제 1칸막이판과 제 2 칸막이판에 의해 용제충전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제충전조의 상부에 용제분출구를 갖는다. 상기 제 2칸막이판의 상부에는 활성탄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조(下槽)부에는 액체펌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액체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된 송출관의 선단부는 상기 용제분출구 내로 향하고 있다. 또한, 제 3칸막이판에 연결된 배출관은 장치외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체펌프에 의해 흡입관을 통하여 사용완료된 용제조(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사용완료용제를 빨아 올리고, 이 사용완료용제를 상기 용제분출구로 압송하며, 용제분출구로부터 용제충전조로 용제가 운반되며, 상기 활성탄 측으로 가압확산시킴에 의해 사용완료용제의 정화를 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용제세정장치는, 활성탄에 의해서만 사용완료용제를 정화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초에는 사용완료용제 중에 혼입해 있는 이물질을 어느 정도 흡착하지만, 흡착능력이 한정되어 있어 오래 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활성탄 만으로는, 지방산, 단백질 등의 노폐물을 완전히 분해, 분리, 환원할 수 없으므로, 사용완료용제 중에 혼입해 있는 지방산, 단백질 등을 제거하여 용제를 재생하는데는 이르지 않고, 종래에 문제가 되고 있는 역오염, 악취의 부착, 피부병, 곰팡이의 발생 등을 방지하는데는 이르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를 위에서 본 것으로서, 도 2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C-C'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 D-D'에 따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치본체 2 제 1칸막이판
3 제 2칸막이판 4 제 3칸막이판
5 액체펌프 6 흡입관
7 송출관 8 용제분출부
9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 등의 여과재
10 배출관 11 세라믹 등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그 수단으로서,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를, 장치본체와, 그 장치본체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소공이 형성된 제 1칸막이판과, 상기 제 1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2칸막이판과, 제 2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3칸막이판과, 상기 장치본체에 부설된 액체펌프와, 상기 액체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액체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된 송출관과, 상기 송출관의 선단에 설치된 용제분출부와, 상기 제 3칸막이에 연결된 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 3칸막이판의 위에 세라믹 또는 그 외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세라믹의 위에 별개의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배치하면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1)는, 횡방향으로 긴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 1칸막이판(2)과 제 2칸막이판(3)과 제 3칸막이판(4)에 의해 4개의 조로 구분되어 있다(이하,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조, 제 2조, 제 3조, 제 4조라고 한다). 상기 장치본체(1)에는, 그 상단에 개폐뚜껑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개폐뚜껑은 뚜껑체압조절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조절되며, 뚜껑의 조임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개폐뚜껑의 근방에 설치된 압력계 및 압력스위치는, 조 내의 압력이 과잉이 되면, 조가 변형을 일으키거나, 개폐뚜껑이 조 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4조에는 액체펌프(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액체펌프(5)는 장치본체(1)의 외면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체펌프(5)에는, 그 흡입측에 흡입관(6)이 연결되어 있고, 그 흡입관(6)의 흡입구는 상기 장치본체(1)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체펌프(5)에는, 그 토출측에 송출관(7)이 연결되어 있고, 그 송출관(7)은 장치본체(1)의 외측을 지나서 장치본체(1)의 상단부까지 배관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1)의 상단부까지 배관된 송출관(7)은 L자형상으로 절곡되며, 장치본체(1)의 상단부의 용제분출부(8)의 입구에 고정되어 있다. 용제분출부(8)에는 복수의 소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용제가 분출한다.
상기 제 1칸막이판(2)에는 복수의 소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 1칸막이판(2)의 하방에는 제 2칸막이판(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칸막이판(2)의 하방으로부터 제 2칸막이판(3)의 상방까지 입상의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 등의 여과재(9)가 헐거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 등의 여과재(9)는 그물주머니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제 3칸막이판(4)의 하부에는, 그 중앙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출구는 배출관(10)에 연결되어 있다. 그 배출관(10)은 상기 장치본체(1)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10)은 장치본체(1)의 외부에 설치된 액뽑기드레인콕크에 연결되어 있고, 용제세정 중에 조 내로부터 배출된 용제를 그 액뽑기드레인콕크에 의해 정기적으로 뽑아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3칸막이판(4)의 위에는 세라믹 등의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11)이 배치되어 있고, 그 세라믹 등은 그물주머니에 수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체펌프(5)에 의해 사용완료된 용제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사용완료용제 를 빨아 올리면, 이 사용완료용제는 송출관(7)을 경유하여 용제분출부(8)에 보내진다. 용제분출부(8)에 압송된 사용완료용제는, 용제분출부(8)에 형성된 복수의 소공으로부터 일정한 압력으로 분출되어, 제 1칸막이판(2) 상에 떨어진다. 이에 따라서, 용제 중에 포함되는 실찌꺼기 등의 큰 불순물은 이 칸막이판(2)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으로, 사용완료용제는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 등의 여과재(9)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완료용제 중에 혼입해 있는 이물질 및 노폐물이 여과, 흡착된다. 여기서,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 등의 여과재(9)는 제 2칸막이판(3)의 위에 헐거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완료용제의 낙하에 의해 활성탄 등의 여과재(9)의 눈이 막히는 일은 없으므로, 활성탄 등의 여과재(9)가 갖는 여과, 흡착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탄 등의 여과재(9)에 의해 이물질 및 노폐물이 여과, 흡착된 사용완료용제는 상기 제 2칸막이판(3)에 형성된 복수의 소공을 지나 제 3조 내에 균등하게 떨어져 들어간다. 그리고, 활성탄 등의 여과재(9)에 의해 여과, 흡착된 사용완료용제는 세라믹 등의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11)을 통과하고, 제 3칸막이판(4)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10)을 경유하여 배출구로부터 세정완료용제로 환원된다. 여기서, 세라믹 등의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11)은, 상기 활성탄 등의 여과재(9)만으로는 여과, 흡착불가능한 지방산, 단백질 등의 노폐물을 분리, 분해, 환원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사용완료용제의 제균, 살균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pH값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완료용제의 완전한 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에 의해, 활성탄으로 여과, 흡착불가능한 지방산, 단백질 등의 노폐물을 세라믹 등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의 작용에 의해 분리, 분해, 환원할 수 있으므로, 사용완료용제를 완전히 정화할 수 있으며, 종래에 문제가 되었던 역오염, 악취의 부착, 피부병, 곰팡이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치본체와, 그 장치본체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소공이 형성된 제 1칸막이판과, 상기 제 1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2칸막이판과, 제 2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3칸막이판과, 상기 장치본체에 부설된 액체펌프와, 상기 액체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액체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된 송출관과, 상기 송출관의 선단에 설치된 용제분출부와, 상기 제 2칸막이판의 위에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제 3칸막이판의 위에 세라믹 또는 그 외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을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2. 장치본체와, 그 장치본체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소공이 형성된 제 1의 칸막이판과, 상기 제 1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2칸막이판과, 제 2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된 제 3칸막이판과, 상기 장치본체에 부설된 액체펌프와, 상기 액체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액체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된 송출관과, 상기 송출관의 선단에 설치된 용제분출부와, 상기 제 3칸막이에 연결된 배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 3칸막이판의 위에 세라믹 또는 그 외 원적외선을 발하는 물질을 배치함과 함께, 그 세라믹의 위에 제 2칸막이판을 배치하고, 그 제 2칸막이판의 위에 활성탄, 탈산제 및 탈수제를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KR2019990021667U 1999-10-08 1999-10-09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KR200174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667U KR200174932Y1 (ko) 1999-10-08 1999-10-09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423A KR20010036418A (ko) 1999-10-08 1999-10-08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KR2019990021667U KR200174932Y1 (ko) 1999-10-08 1999-10-09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423A Division KR20010036418A (ko) 1999-10-08 1999-10-08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932Y1 true KR200174932Y1 (ko) 2000-03-15

Family

ID=2663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667U KR200174932Y1 (ko) 1999-10-08 1999-10-09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9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79B1 (ko) 협잡물 제거용 진동 스크린
US34974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rifying a liquid
KR200162956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216049B1 (ko) 이젝터 집진 시스템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200174932Y1 (ko)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JP2007307539A (ja) フィルター清掃と排液浄化を同時に行う排液浄化方法と装置
KR20170122153A (ko) 자동 재생 기능을 구비한 로터 필터 시스템
KR20010036418A (ko) 드라이크리닝용 용제세정장치
JP2004162156A (ja) 金属板の洗浄システム
JPH04251696A (ja) 連続加圧ろ過機
KR100394319B1 (ko) 오수정화장치
KR20040058088A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0899071B1 (ko) 탁도 제거기
KR20020079218A (ko) 오수정화장치
JP2006341159A (ja) ろ過装置及び洗浄設備
CN213570043U (zh) 一种新型的生态净化设备
KR20190059477A (ko) 미세 분진과 유해 가스 동시 제거 필터시스템
KR102667216B1 (ko) Dpf의 잔재 포집 및 비산방지형 처리장치
JP3600738B2 (ja) 濾過装置
JP2002210388A (ja) 電気集じん装置の洗浄装置
KR100324403B1 (ko) 진공 여과장치
JPH09271730A (ja) 洗浄水浄化装置
JPH0667434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用溶剤洗浄装置
KR20170123751A (ko) 인쇄조판 자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