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657Y1 - 점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점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657Y1
KR200174657Y1 KR2019950041951U KR19950041951U KR200174657Y1 KR 200174657 Y1 KR200174657 Y1 KR 200174657Y1 KR 2019950041951 U KR2019950041951 U KR 2019950041951U KR 19950041951 U KR19950041951 U KR 19950041951U KR 200174657 Y1 KR200174657 Y1 KR 200174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spot welding
pair
spot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620U (ko
Inventor
김지희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50041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657Y1/ko
Publication of KR970027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6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를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하기 위한 점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가동전극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고정전극에 대해 진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접될 박판부재들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동축적으로 중첩된 박판부재들이 모터와 인덱스플레이트에 의해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일정하게 회전되므로 점용접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점용접장치
제1도는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한 쌍의 박판부재들을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용접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점용접기의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점용접기가 하강한 상태의 개략적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점용접장치 10 : 점용접기
11 : 본체 12, 13 : 아암
14 : 고정전극 15 : 가동전극
19 : 유압실린더 20 : 지지대
30 : 인덱스플레이트
본 고안의 두개의 박판부재를 점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를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하기 위한 점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그 전극들 사이에 서로 중첩되게 끼워진 한 쌍의 박판부재를 가열 용융함과 동시에, 그 전극들로 박판부재들을 압압하여 융착시키는 점용접은 각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한편, 예를 들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쌍의 고리형 박판부재(1, 2)를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용접건을 사용하여 직접 점용접을 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용접건을 조작하는 방법에 의하면, 상기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을 그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용접을 행하기 곤란하여 용접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극들에 의해 박판부재쌍(1a)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작업자의 용접건 조작력에 의해 좌우되게 되므로, 그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곤란한데, 가압력이 과대하면 접촉저항이 감소되어 용접결과가 좋지 않으며 박판부재쌍(1a)의 박판부재들(1, 2)이 손상되기 쉽다. 또한 가압력이 너무 작아지면, 통전시에 불꽃이 튀고 용접결과도 나쁘며 전극 및 용접표면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를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함에 있어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용접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들에 의해 그 박판부재들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점용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장치는,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를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과, 이 한쌍의 아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고정전극과, 상기 한 쌍의 아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와, 이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그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전극에 대해 진퇴하는 가동전극을 갖춘 점용접기와, 상기 점용접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소정각도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를, 상기 점용접기의 하강시에 상기 가동전극과 고정전극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 지지하는 인덱스플레이트와,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을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소 점용접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장치를 나타내 보였으며, 제3도에는 제2도에 도시된 점용접기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점용접장치(100)는 동축적으로 중첩된 고리형 박판부재들(1, 2)로 이루어지는 박판부재쌍(1a)을 복수층 적층해 두고 한 쌍의 박판부재씩 점용접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점용접기(10)와, 지지대(20)와, 인덱스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점용접기(10)는, 상기 지지대(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브라켓(18)을 개재시켜 그 지지대(20)에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1)와 이 본체(11)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12, 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아암들 중 어느 하나의 아암(12)에는 고정전극(14)이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아암(13)에는 유압실린더(19)가 고정되어 있다.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에는 가동전극(15)이 고정되어 그 유압실린더(19)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전극(14)에 대해 진퇴하게 된다.
이러한 점용접기(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인덱스플레이트(3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인덱스플레이트 (30)는 모터(31)에 의해 소정각도 간격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인덱스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이 복수단 적층되게 고정되어 있다. 각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은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축적으로 중첩된 두개의 고리형 박판부재(1, 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리형 박판부재쌍(1a)들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고리형 박판부재쌍은, 상기 점용접기(10)의 하강시에, 그 점용접기(10)의 고정전극(14)가 가동전극(15)사이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장치(100)에 의해 상기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의 박판부재들(1, 2)이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용접기(10)가 상승되어 있고 그 점용접기(10)의 가동전극(15)과 고정전극(14)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점용접기(10)가 수동으로 또는 소정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소정거리 하강하게 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용접기(10)의 고정전극(14)과 가동전극(15) 사이로 상측의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이 끼워지게 된다. 이 때, 고정전극(14)은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의 내측 박판부재(1)의 내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9)를 작동시켜 그 로드(19a)를 돌출시키게 되면, 로드(19a)에 결합된 가동 전극(15)이 고정전극(14)측으로 전진하여 외측 고리형 박판부재(2)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고정전극(14)과 함께 박판부재쌍(1a)을 압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전극(15)과 고정전극(14)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박판부재들(1, 2)을 가열 용융시키면, 그 부위에서의 점용접이 완료된다.
그 후, 다시 유압실린더(19)를 작동하여 로드(19a)를 실린더 본체내로 몰입시켜 가동전극(15)을 고정전극(14)에 대해 후퇴시키고, 모터(31)를 작동하여 인덱스플레이트(30)를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인덱스플레이트(30)에 고정되어 있는 고리형 박판부재쌍(1a)들이 소정각도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유압실린더(19)를 작동시켜 가동전극(15)을 고정전극(14) 측으로 전진시킨 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점용접을 행한다. 이와 같이 고리형 박판부재쌍을 소정각도씩 회전시키면서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한다. 박판부재쌍(1a)의 점용접이 완료되면 점용접기(10)를 상승시키고 그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을 취출해 낸다. 그리고, 다시 점용접기(10)를 하강시켜서 상기 용접이 완료되어 취출된 박판부재쌍의 하부에 있는 박판부재쌍을 점용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이프형 전극들(14, 15)에 의해 박판부재들(1, 2)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유압실린더(19)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며, 고리형 박판부재쌍(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용접부간의 각도는 모터 및 인덱스플레이트에 의해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점용접이 행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가동전극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고정전극에 대해 진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접될 박판부재들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동축적으로 중첩된 박판부재들이 모터와 인덱스플레이트에 의해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일정하게 회전되므로 점용접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1)

  1. 동축적으로 중첩된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1, 2)를 그 둘레를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점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와, 이 본체(11)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12, 13)과, 이 한 쌍의 아암(12, 13)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고정전극(14)과, 상기 한 쌍의 아암(12, 13)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 유압실린더(19)와, 이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에 결합되며 그 유압실린더(19)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전극(14)에 대해 진퇴하는 가동전극(15)을 갖춘 점용접기(10)와, 상기 점용접기(1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소정각도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리형 박판부재(1, 2)를, 상기 점용접기(10)의 하강시에 상기 가동전극(15)과 고정전극(14)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 지지하는 인덱스플레이트(30)와,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용접장치.
KR2019950041951U 1995-12-15 1995-12-15 점용접장치 KR200174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951U KR200174657Y1 (ko) 1995-12-15 1995-12-15 점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951U KR200174657Y1 (ko) 1995-12-15 1995-12-15 점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20U KR970027620U (ko) 1997-07-24
KR200174657Y1 true KR200174657Y1 (ko) 2000-04-01

Family

ID=1943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951U KR200174657Y1 (ko) 1995-12-15 1995-12-15 점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6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20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3985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chweissen eines anschweissteils und eines basisteils
KR200174657Y1 (ko) 점용접장치
KR101839241B1 (ko) 소재 이송형 용접장치
US4352003A (en) Method for positioning and securing components of a workpiece
CN213053211U (zh) 全自动铜片电阻碰焊机
JP3105667B2 (ja) 鉄骨構造物用溶接装置
JPH01224167A (ja) 鋼管溶接装置
JPH06234089A (ja) レーザシーム溶接機
JPS623881A (ja) 直管フランジ二点同時溶接装置
US4963712A (en) Spot welder
US3233075A (en) Fusion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59145A (ko)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GB103754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nent parts for a radiator by welding
JPH0217753Y2 (ko)
KR20050095809A (ko) 코일선재 자동가스압접장치
JP2737284B2 (ja) 筒形電池の巻回体素子への電極棒挿入方法
KR102220705B1 (ko) 회전형 용접팁이 적용된 스폿 용접로봇
JPH0324296Y2 (ko)
JPS6142694Y2 (ko)
JPS5847589A (ja) レ−ザ−シ−ム溶接装置
JP2653326B2 (ja) パルスティグ溶接方法及び装置
JPH0224546Y2 (ko)
SU53168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варки неплав щимс электродом
JPH05211089A (ja) 自動的に超導電テ―プを重ね継ぎする方法と装置
JPS60227971A (ja) 自動ア−ク溶接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