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145A -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 Google Patents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145A
KR20190059145A KR1020170156804A KR20170156804A KR20190059145A KR 20190059145 A KR20190059145 A KR 20190059145A KR 1020170156804 A KR1020170156804 A KR 1020170156804A KR 20170156804 A KR20170156804 A KR 20170156804A KR 20190059145 A KR20190059145 A KR 2019005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orch
unit
spe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영
김운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145A/ko
Publication of KR2019005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B23K9/296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using non-consumabl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전극봉을 용접 방향의 전후로 운봉함으로써 복수 겹으로 용접을 하여 각목, 각장 조건을 만족하고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용접 토치부 및 상기 토치부에 연결되어, 토치부를 운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운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토치부의 단부가 용접방향의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며 설정된 아크 길이를 만족하면서 승하강하도록 토치부를 운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device for handling sticks to prevent incompelete penetration of fillet}
본 발명은 용접 전극봉을 운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전극봉을 용접 방향의 전후로 운봉하는 운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용접회로에 접속한 용접전원을 포함하는 용접 토치와 모재를 서로 접속시킨 뒤 약간 떼면 양 전극 사이에 강렬한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GTAW(Gas Tungsten Arc Welding)는 비소모성 텅스텐 용접봉과 모재간의 아크의 열로 인하여 용가재가 용융되어 모재 사이에 침투함으로써 용접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서, 용접부 주위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면서 용접을 한다.
도 2 (a)는 용접시 전극봉 단부에 아크가 발생한 것을 간략히 나타낸 모식도다. 아크 길이(Arc Length)란 아크 양 끝(음극과 양극)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즉, 아크가 발생했을 때 모재와 용접봉 사이의 거리로 볼 수 있다. 아크 길이는 아크 전압(Arc Voltage)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용접에서는 아크의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아크 길이는 전극봉 팁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데, 팁의 경사진 표면으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아크가 형성되어, 팁을 뾰족하게 만들수록 아크 길이가 짧고 비드 폭이 넓게 형성되며, 반대로 팁을 뭉툭하게 만들수록 아크가 집중되어 용입이 깊어진다.
따라서 GTAW의 이러한 아크 모양 특성상 용접부의 접근이 어려운 조건에서는 팁을 뾰족하게 하여 작업을 하더라도 각장, 각목 조건을 만족하기 어려우며 완전 용입이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노즐은 전극봉의 4~6배 직경을 갖게 되므로, 전극봉이 모재 사이로 깊숙히 진입하는 것도 어려운 실정이다. 즉, 도 2 (b)의 x에 도시된 것처럼 모재와 모재 사이의 각도나 간격이 좁을수록 GTAW 아크는 용착량이 작아 모재를 깊이 용융시킬 수 없어 용입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로, 용입 불량을 면하고 용접각목과 용접각장의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류를 높이거나 용접 속도를 낮추어 용접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모재가 V자 형태로 오그라드는 모재 각변형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모재끼리 만나는 지점을 아크로 용융시킨 다음 재용접에 들어가거나 용접방향 전후로 움직이면서 용접을 진행하게 되며, 이러한 용접 방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며 용접품질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GTAW는 용접 입열의 조정이 용이하여 박판 용접에 유리하고,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용접부 변형이 적은 등 용접성이 좋아 고품질 용접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소모성 용접봉을 쓰는 용접 방법보다 용접 속도가 느려 시간이 많이 걸리며, 용접 미숙으로 텅스텐 전극봉이 용접부에 녹아 들어가거나 오염될 경우 용접부가 취화되기 쉬우므로 고기량 용접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전극봉을 용접 방향의 전후로 운봉함으로써 복수 겹으로 용접을 하여 각목, 각장 조건을 만족하고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 겹으로 용접을 함에 있어, 각 용접 시마다 아크 길이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하여 전극봉을 상하로 운봉하는 운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센서에 의하여 아크 길이를 센싱하여 상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조절하고, 토치의 이동 속도에 따라 전후로 운봉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운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크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용접기량에 따라 용접품질이 좌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는, 용접 토치부 및 상기 토치부에 연결되어, 토치부를 운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운봉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후 왕복운동하는 길이는 6 내지 7mm이며, 상기 아크 길이는 1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토치부의 단부가 용접방향의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며, 설정된 아크 길이만큼 이동하여 아크 길이를 만족하면서 승하강하도록 토치부를 운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을 다중으로 용접함으로써 용입 불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토치부는 구동부에 의해 용접방향의 전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되며 1차용접을 하고, 같은 길이만큼 후방으로 이동되며 2차용접을 하며, 1차용접이 종료된 위치로 이동하여 1차 및 2차용접을 반복하도록 운봉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토치부는 아크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동부에 의해 1차용접 및 2차용접 후 각각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1차용접 후 아크 길이만큼 상승되며, 2차용접 후 재차상승되어 1차용접의 종료 위치에서 하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구동부 또는 토치부 일측에 설치되며 토치부의 단부와 모재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거리감지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구동부가 토치부를 승하강하는 방향 및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 또는 토치부 일측에 설치되며, 토치부의 용접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속도감지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구동부가 토치부를 전후로 운봉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하여 용접품질이 향상되며 수동 조작에 의한 번거로움을 줄여주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는, 용접방향 전후로 전극봉을 운봉함으로써 복수의 겹으로 용접을 함에 따라, 각목, 각장의 용접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고, 따라서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움직이므로 복수 겹으로 용접을 할 때 적절한 아크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용접부에 기공,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하여 전동식으로 구동됨에 따라, 종래 수동으로 행하였던 것에 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일정한 용접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및 제어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용접 조건에 따라 적절한 속도 및 아크 길이를 유지할 수 있어 용접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용접회로에 접속된 전극봉과 모재간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하여 용접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GTAW의 아크 길이가 짧고 폭은 넓게 형성되는 특성에 의하여 용입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봉 장치가 용접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운봉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운봉 장치를 모식화한 것이며, 이때 전극봉이 전후 및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운봉 장치의 구동부로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용입 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을 다중으로 용접하도록 용접 토치(1)의 전극봉을 운봉하여 용접각목 및 용접각장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이하, "운봉 장치"라 한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운봉 장치는, 용접부를 다중으로 용접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두 모재가 접하는 부분을 초벌용접하는 1차용접 및 1차용접 후 1차용접 부분을 커버하는 본용접인 2차용접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것이 발명의 본질을 같이하며 3중 이상의 용접을 하는 운봉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봉의 목적은 용접 토치(1)의 전극봉 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운봉 장치는 전극봉 또는 통상 전극봉을 고정시는 콜릿, 또는 전극봉을 내장하는 토치(1)에 결합되어 전극봉, 콜릿, 또는 토치(1)를 운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치(1)에 본 발명의 운봉 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며, 이는 전극봉, 콜릿 또는 토치(1)부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때 토치(1)부는 토치(1)와 핸들 또는 토치(1)클램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지칭하며, 본 발명의 토치(1)는 핸들을 포함하는 수동용접 장치 또는 토치(1)클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용접 장치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을 다중 용접함에 따라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용접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전극봉이 움직이며 용접을 하며, 2차용접을 할 때에는 1차용접시 용착된 높이를 고려하여 1차용접을 할 때보다 상부로 이동하여 아크길이를 유지한 채 2차용접을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봉 장치는 토치(1)를 전후 및 상하로 운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봉 장치가 전극봉을 용접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운봉하여 용접이 되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용접은 (a), (b), (c), (d)의 순서로 진행되며, 토치(1)를 전방으로 이동하며 1차용접에 의한 용착부(4a)를 형성한 후, 토치(1)를 후방으로 이동하며 2차용접에 의한 용착부(4b)를 형성된다. 이후, 1차용접의 끝 부분으로 토치(1)를 이동시켜 다음 구간에서 1차용접 및 2차용접을 하게 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용접부는 용착량이 충분하여 용접각목 및 용접각장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도 3의 용접 순서는 일 실시예이며, 다른 실시예로 후방으로 이동하며 1차용접 후 전방으로 이동하며 2차용접을 진행하도록 운봉할 수 있다. 또는, 전방으로 이동하며 1차용접, 후방으로 이동하며 2차용접, 전방으로 이동하며 3차용접 하는 방식으로 3중으로 용접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차용접의 끝 부분으로 토치(1)를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은 용접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토치(1)를 운봉하는 것인바, 전후 용접의 구체적인 순서 및 용접 횟수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생략한다.
도 4(a)는 토치(1)를 운봉하는 구동부(1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운봉 장치를 모식화한 것이며, 도 4(b)는 이때 토치(1)가 구동부(100)에 의해 운봉되며 1차용접 및 2차용접이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부(100)에 토치(1)가 결합하며, 토치(1)는 축을 기준으로 용접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2차용접시에는 1차용접보다 상승되어 위치하게 된다. 점선은 이동 전, 실선은 이동 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2차용접 후 용접을 진행할 때에는 하강하여 다음 용접 지점(1차용접의 끝 부분)에 위치하여 1차용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운봉 장치의 구동부(100)에 의하여 토치(1)의 단부가 전후왕복운동을 하며, 적절한 아크 길이가 유지되도록 승하강을 하므로, 토치(1)를 일정한 속도로 용접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용접부는 다중으로 용접이 된다.
아크 길이는 모재와 토치(1) 내부의 전극봉 단부 사이의 거리로, 약 1~2m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부(100)는 용접 차수에 따라 토치(1)를 설정된 아크거리를 유지하도록 상승 및 하강시킨다.
용접 속도는 초당 약 2~5mm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접이 진행되는 방향을 전방, 용접이 진행된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면, 토치(1)는 전방으로 상기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진행하게 된다. 이는 토치(1)가 1회 이동하는 동안 2차 이상의 다중 용접을 진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토치(1)는 전방으로 일정 속도를 가지므로, 구동부(100)가 토치(1)의 단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보다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큰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부(100)가 토치(1)의 단부를 전후로 이동시킴에 있어, 바람직한 용접 속도, 토치(1)부의 이동 속도, 왕복이동 거리(위빙간격)를 고려하여 속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 조건으로는, 용접 전류 250~280(A), 보호 가스(Shielding gas) 25(L/min), 노즐 규격 12(L),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전극의 길이 6~7(mm), 전극 지름 3.2(mm), 토치와 모재 사이의 각도 45(°)와 같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 길이는 1~2(mm), 위빙 간격(토치의 전후 왕복 간격)은 6~7(mm)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디까지나 바람직한 값에 대한 기술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동부(100)는 토치(1)의 단부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110) 및 토치(1)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전후구동부(110) 및 승강구동부(120)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 또는 왕복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토치(1)를 운봉한다.
구동부(100)의 전후구동부(110) 및 승강구동부(120)는 일 실시예로서, 리니어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리니어모터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몸체 및 상하로 이동하는 제2몸체를 구비하여, 구동부(100)가 토치(1)를 운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토치(1)가 1차용접을 하고, 제2몸체가 상승하여 토치(1) 단부와 모재 간 아크 거리를 확보한 후 제1몸체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토치(1)가 2차용접을 하는 것이다. 이후 제2몸체가 재차 상승하여 토치(1)와 모재와의 간격을 벌린 뒤 제1몸체가 1차용접이 끝난 부분까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몸체가 다시 1차용접을 진행하기 위해 하강하여 아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순서로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구동되도록 각각의 리니어모터를 작동시켜 토치(1)를 운봉할 수 있다.
구동부(100)의 전후구동부(110) 및 승강구동부(120)의 다른 실시예로서, 왕복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캠, 크랭크 또는 진동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캠, 크랭크 또는 진동모터는 토치(1)의 측부에 힌지 결합하여 토치(1)가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하며, 토치(1)의 단부에 결합하여 토치(1)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 구동부(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 운봉장치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전후구동부(110)는 회전모터(111)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회전체(112), 일단이 구동부(100)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토치(1) 일측에 힌지결합하는 제1링크(113) 및 일단이 회전체(112)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토치(1) 타측에 힌지결합하는 제2링크(114)를 포함한다. 모터에 의해 회전체(112)가 회전하면 제2링크(114)가 연동되어 토치(1)가 전후로 왕복운동된다.
승강구동부(120)는 레일(122)을 따라 이동하는 리니어모터(121)를 포함하여 전후구동부(110)의 전후 운봉 순서 및 용접 여부에 따라 아크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때, 전후구동부(110)는 승강구동부(120)의 리니어모터에 결합하여 전후구동부(110)가 승하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센싱한 값에 따라 운봉조건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구동부(100) 또는 토치(1)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토치(1)부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속도감지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구동부(100)가 토치(1)부를 전후로 운봉하는 속도를 조절한다. 토치(1)를 포함하는 토치(1)부가 이동하는 속도는 토치(1) 단부가 전후로 왕복되는 속도를 정하는 기준 속도가 되므로, 센싱 값이 크면 토치(1) 단부도 더욱 빠르게 왕복운동하고, 센싱 값이 작으면 토치(1) 단부가 느리게 왕복운동 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조절되는 속도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용접 속도, 토치(1)부의 이동 속도, 왕복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한 설치부는 토치(1) 단부와 모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거리감지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구동부(100)가 토치(1)를 승하강하는 방향 및 거리를 조절한다. 센싱 값이 아크 거리보다 긴 경우 토치(1)를 하강시키도록 승강구동부(120)를 조절하며, 센싱 값이 아크 거리보다 짧은 경우 토치(1)를 상승시키도록 승강구동부(120)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토치(1)부를 용접하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전후구동부(110)에 의하여 토치(1)가 진행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승강구동부(120)에 의하여 적절한 아크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토치(1)가 승하강되어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을 다중으로 용접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접각목, 용접각장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일정한 용접품질을 제공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토치 2a, 2b : 모재
3 : 아크 4a, 4b : 용착부
5 : 용가재 100 : 구동부
110 : 전후구동부 111 : 회전모터
112 : 회전체 113 : 제1링크
114 : 제2링크 120 : 승강구동부
121 : 리니어모터 122 : 레일

Claims (6)

  1. 용접 토치부; 및
    상기 토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토치부를 운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운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토치부의 단부가 용접방향의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며 설정된 아크 길이만큼 승강하도록 상기 토치부를 운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용접방향의 전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되며 1차용접을 하고, 같은 길이만큼 후방으로 이동되며 2차용접을 하며,
    상기 1차용접의 종료 위치로 이동하여 1차 및 2차용접을 반복함으로써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1차용접 및 2차용접 후 각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봉 장치는, 상기 구동부 또는 토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토치부의 단부와 모재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구동부가 토치부를 승하강하는 방향 및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봉 장치는, 구동부 또는 토치부 일측에 설치되며, 토치부의 용접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속도감지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구동부가 토치부를 전후로 운봉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왕복운동하는 길이는 6 내지 7mm이며,
    상기 아크 길이는 1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KR1020170156804A 2017-11-22 2017-11-22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KR20190059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04A KR20190059145A (ko) 2017-11-22 2017-11-22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04A KR20190059145A (ko) 2017-11-22 2017-11-22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145A true KR20190059145A (ko) 2019-05-30

Family

ID=6667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804A KR20190059145A (ko) 2017-11-22 2017-11-22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1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460B1 (ko) * 2021-12-06 2022-02-08 주식회사 대운자동화 자동 용접 스텝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460B1 (ko) * 2021-12-06 2022-02-08 주식회사 대운자동화 자동 용접 스텝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015B2 (en) Metal cored electrode for open root pass welding
JP6505715B2 (ja) Tig溶接システム
KR20150032832A (ko) 적응식 회전 아크 용접 방법 및 시스템
KR101902310B1 (ko) 자동 용접기
KR20190059145A (ko) 필렛의 용입 불량을 방지하는 운봉 장치
KR20180043284A (ko) 용접 방법 및 아크 용접 장치
US3668360A (en) Automatic pipeline welding method
US2505054A (en) Inert gas blanketed oscillatory welding rod feed
EP08552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e side welding of curved steel plates
CN103302383A (zh) 自动氩弧焊机
CN211991368U (zh) 一种烧烤网双工位自动焊接机
CN1819886A (zh) 自耗电极弧焊方法
CN203292668U (zh) 自动氩弧焊机
WO2019039528A1 (ja) 仮付け溶接方法及び仮付け溶接装置
CN111515539B (zh) 一种环缝激光-tig复合焊接装置及使用方法
CN109623096B (zh) 窄间隙焊接夹具单元及电解铝钢爪的窄间隙焊接方法
JP2010082674A (ja) ロボットアーク溶接装置およびロボットアーク溶接装置の溶接運転方法
KR100343858B1 (ko) 협개선 잠호용접용 자동스윙 토치
JP6400855B2 (ja) 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CN111633302A (zh) 一种焊接方法
JP2007229769A (ja) 自動スポット溶接機
KR200174657Y1 (ko) 점용접장치
CN220718198U (zh) 圆管垂直贯通自动焊接设备
US20180221980A1 (en) Method for inspection of the weldability of a pressure-die-cast, especially vacuum-assisted pressure-die-cast component
KR102396193B1 (ko) 일렉트로 가스 용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