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614Y1 - 1회용 커피믹스 - Google Patents

1회용 커피믹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614Y1
KR200174614Y1 KR2019990023279U KR19990023279U KR200174614Y1 KR 200174614 Y1 KR200174614 Y1 KR 200174614Y1 KR 2019990023279 U KR2019990023279 U KR 2019990023279U KR 19990023279 U KR19990023279 U KR 19990023279U KR 200174614 Y1 KR200174614 Y1 KR 200174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mixture
disposable
mix
coffee m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Original Assignee
김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정 filed Critical 김수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뿐 아니라 야외에서 음용하는 1회용 커피믹스를 연질재의 수지로 만든 대롱에 커피의 혼합물을 넣어 성형하여서 이를 온수에 담그은 상태에서 휘저어 고체의 커피를 액체로 용해시켜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1회용 커피믹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1회용 커피믹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질재의 수지를 소정의 길이로 구성하고, 커피의 혼합물을 저장하여 1회용 커피믹스로 되는 대롱을 구성하되, 상기 대롱의 외주벽에 미세한 구멍을 조밀하게 천공하여 상기 대롱을 온수에 넣어 휘저음에 의해 혼합물이 용해되도록 한 1회용 커피믹스이다.
본 고안에 의해 대롱으로 구성된 1회용 커피믹스는 컵의 온수에 대롱을 담근 상태에서 휘저음에 의해 음용의 커피가 완성되므로 별도의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커피를 태울 수 있고, 상기의 대롱을 1박스로 구성되는 케이스에 포장하여 상품화 시켜도 낱개로 분실할 우려가 없으며, 또한 그 부피가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작아 휴대에 간편하여 야외에서 편리하게 커피를 애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1회용 커피믹스{COFFEE MIX FOR ONE TIME}
본 고안은 1회용 커피믹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가정이나 사 무실 및 야외에서 음용하는 1회용 커피믹스를 제조함에 있어서 설탕, 프리마, 커피를 믹스한 혼합물(커피믹스)을 연질재의 수지로 만든 대롱에 넣어 성형하여서 이를 온수가 있는 컵에 담근 상태에서 휘저어 고체의 커피를 액체로 용해시켜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1회용 커피믹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현대인들의 기호식품으로서 대량으로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에서 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통상의 커피 이외에 프리마와 설탕을 갖추어 이를 온수를 담은 컵에 투입한 후 고체를 액체로 만들기 위하여 수저같은 도구로 휘저어서 커피를 완성시켜 마시고 있다.
그러나 커피는 현대인의 기호식품인 만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즐겨 마실수 있는 음용수로 부상되어 야외에서도 즐겨 마시고 있는 바, 그렇게 하기 위하여 야외로 나갈 때에는 미리 커피를 만들어 보온병에 넣어서 그 보온병을 휴대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불편함이 있어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커피, 설탕, 프리마를 혼합하여 비닐로 포장한 커피믹스가 등장하게 되어 현대인들에게 휴대가 간편하고, 짧은 시간내 커피를 음용할 수 있다는 욕구를 충족하기는 했으나 온수가 담긴 컵에 넣은 후 이를 휘저어야 하는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나무가지를 꺾거나 젖가락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1회용 커피믹스는 커피, 프리마, 설탕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 하여 대체적으로 1인분의 양을 비닐로 낱개 포장하고, 그것을 10∼20개 정도를 1박스로 포장하여 상품화 되고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 여럿이 커피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보편적으로 1박스 정도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박스의 부피가 다소 비대하여 휴대에 불편함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낱개의 커피믹스를 일부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애로사항이 있으며,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은 커피를 휘저어야 하는 도구를 어떠한 방법으로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커피, 프리마, 설탕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커피믹스를 하나의 대롱으로 구성하여 휴대에 간편하도록 하였으며, 컵의 온수에 상기의 대롱을 담근 상태에서 휘저음에 의해 대롱내의 커피믹스를 용해시켜 음용의 커피를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커피를 태울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질재의 수지를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 대롱의 외주벽에 상부의 일부를 제외한 그 밑으로 미세한 구멍을 조밀하게 천공하고, 커피믹스를 내장하기 위하여 상기 대롱의 하단부는 밀봉하고, 상단부는 캡을 구성하여서 그 대롱을 커피믹스의 용해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1회용 커피믹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를 일부파절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의 사시도
도4의 (가) (나)는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을 포장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6의 (가) (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대롱 11. 천공
12. 혼합물 13. 캡
14. 고체덩어리 15. 케이스
16. 손잡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일실시례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를 일부 파절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대롱(1)의 외주벽에 구멍을 천공(11)한 상태와 상기 대롱(1)내에 커피믹스의 혼합물(12)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4의 (가) (나)는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커피믹스을 포장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소정의 길이와 둘레는 담배 한 개비의 크기 정도로 구성하여 담배갑 정도의 크기로 된 박스에 일례로 20개를 넣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5는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대롱을 온수가 담긴 컵에 넣어 커피를 태우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의 (가) (나)는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대롱의 상단부에 별도의 손잡이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1회용 커피믹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질재의 수지를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 대롱(1)의 외주벽에 상부의 일부를 제외한 그 밑으로 미세한 구멍을 조밀하게 천공(11)하고, 상기 대롱(1)의 하단부는 밀봉하고, 상단부는 캡(13)을 구성하고, 상기 대롱(1)내에 커피를 포함한 혼합물(12)을 넣어 압축시켜 그 대롱(1)을 온수에 휘저음에 의해 혼합물(12)이 용해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대롱(1)은 소정의 길이와 둘레로 구성하되, 담배 한 개비정도의 크기나 또는 그 보다 조금 더 큰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대롱(1)의 외주벽에 천공(11)이 형성되지 아니한 상부는 대롱(1)을 손으로 잡고 휘저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구성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대롱(1)의 외주벽에 형성된 천공(11)은 대롱(1)내에 내장되어 있는 미립자의 혼합물(12)이 흘러나오지 않아야 함을 고려하여 가능하면 혼합물(12)의 미 립자의 크기보다 작게 아주 미세하게 구성하되, 혼합물(12)로 이루어진 커피의 특성상 빨리 녹아야 하기 때문에 천공(11)을 최대한 조밀하게 하는 것이 혼합물(12)의 용해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대롱(1)은 상단부를 밀폐하고, 하단부를 개방하여 상기 대롱(1)내에 저장된 혼합물(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고체 덩어리(14)로 형성하여 혼합물(12)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단부의 개방부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대롱(1)의 상부에 형성된 캡(13)은 본 고안에서와 같이 커피를 용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커피믹스를 제조하는 과정에 혼합물(12)을 투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므로 제조하는 과정에 대롱(1)내에 혼합물(12)을 투입한 후 밀봉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본 고안의 범주내에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대롱(1)의 상단부에 하트모양의 손잡이(16)를 별도로 구성하여 대롱(1)의 휘저음에 용이성을 줄 뿐 아니라 외관상 미려함을 한층 더 얻을 수 있도록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대롱(1)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제조에 용이성이 있지만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하트형 등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그 외주면에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한 액체로 문양을 구성하여 미려함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대롱(1)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고온(70∼80℃)에서도 변형이 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여도 가능하나 제조하는 과정이나 사용하는 과정을 감안해서 연 질재의 수지로 최대한 얇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12)은 수요자들의 취향을 잘 고려해서 적절한 비율로 잘 혼합하되, 커피는 현대인들에게 기호식품인 만큼 그 혼합의 정도가 다양하여 상품으로서 양성할 때 커피, 설탕, 프리마를 혼합한 것과 커피, 설탕을 혼합한 것, 커피, 프리마를 혼합한 것 최소한 3가지 정도로 상품화 시키는 것이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피믹스를 상품화 시키기 위한 케이스(15)는 휴대에 용이성과 변질성을 감안하여 가능하면 밀폐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그 케이스(15)는 담배갑과 같은 용기 즉, 직육방면체의 형상으로 된 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형성하여 여닫이 식으로 구성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개방되는 부분을 지퍼백으로 구성하여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인출하여 커피믹서를 수납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1회용 커피믹스는 그 부피가 비대하지 않아 휴대에 간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컵에 온수를 담은 후 바로 대롱의 손잡이를 잡고 휘저으면 대롱속에 있는 혼합물의 고체가 용해되면서 음용할 수 있는 커피로 완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 가운데 대롱(1)의 상단부가 밀폐하고, 하단부를 개방하여 혼합물로 밀폐시킨 구성은 대롱(1)을 온수에 넣어 휘저을 때 하단부를 밀폐시킨 고체덩어리(14)부터 용해되면서 그 밖의 내용물(12)이 용해하여 음용커피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대롱(1)의 상단부에 구성된 캡(13)을 열어서 혼합물(12)을 컵의 온수에 투입한 후 그 대롱(1)으로 휘저어서 커피를 믹스할 수도 있어 짧은 시간내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도 컵과 온수만 준비되면 믹서시키기 위한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커피를 태워 먹을 수 있어 상당히 편리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커피, 프리마, 설탕의 혼합물을 하나의 대롱에 내장하여 1회용 커피믹스를 구성하고 있어 컵의 온수에 대롱을 담근 상태에서 휘저음에 의해 음용의 커피를 완성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커피를 태울 수 있을 뿐 아니라 1회용 커피믹스를 1박스로 구성되는 케이스에 포장되었을 때에도 개개의 분실 우려가 없으며, 또한 그 부피가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작아 휴대에 간편하여 야외에서 편리하게 커피를 애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통상의 1회용 커피믹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질재의 수지를 소정의 길이로 구성하고, 커피의 혼합물을 저장하여 1회용 커피믹스로 되는 대롱을 구성하되, 상기 대롱의 외주벽에 상부의 일부를 제외한 그 밑으로 미세한 구멍을 조밀하게 천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을 커피믹스의 용해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의 상단부에 뚜껑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의 상단부에 다양한 모양의 손잡이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5. 제1항에 있어서
    커피의 혼합물을 넣어 1회용 커피믹스를 구성한 대롱을 지퍼나 캡을 가진 케 이스에 포장하여서 상품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의 상단부는 밀폐하고, 하단부를 개방하여 커피의 혼합물을 고체덩어리로 형성하여 하단부의 개방부를 밀폐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혼합물이 커피임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혼합물이 프리마임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혼합물이 설탕임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믹스.
KR2019990023279U 1999-10-27 1999-10-27 1회용 커피믹스 KR2001746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808A KR20000000476A (ko) 1999-10-27 1999-10-27 1회용 커피믹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808A Division KR20000000476A (ko) 1999-10-27 1999-10-27 1회용 커피믹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614Y1 true KR200174614Y1 (ko) 2000-03-15

Family

ID=196171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279U KR200174614Y1 (ko) 1999-10-27 1999-10-27 1회용 커피믹스
KR1019990046808A KR20000000476A (ko) 1999-10-27 1999-10-27 1회용 커피믹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808A KR20000000476A (ko) 1999-10-27 1999-10-27 1회용 커피믹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46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06B1 (ko) * 2002-09-25 2009-03-10 주식회사 케이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시간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809A (en) * 1981-05-01 1983-06-14 Botzler Paul C Multi-compartment combination package and stirrer device
JPS62182065A (ja) * 1986-02-05 1987-08-10 羽田 龍則 棒型テイ−バツク
JPS6395880U (ko) * 1986-12-12 1988-06-21
JPS6425047U (ko) * 1987-08-04 1989-02-10
KR100464776B1 (ko) * 1997-04-22 2005-04-06 엔 바이오 주식회사 봉지차의자동생산방법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7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4614Y1 (ko) 1회용 커피믹스
KR200174613Y1 (ko) 1회용 커피믹스
KR20090001855U (ko) 일회용 녹차
KR200174615Y1 (ko) 1회용 커피믹스
KR100969176B1 (ko) 이중 컵
US20110011270A1 (en) Disposable tea set and teapot thereof
KR20120079879A (ko) 어디에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피믹스
KR0119707Y1 (ko) 식품용기
KR20070078858A (ko) 차 원료 옆면 내장과 농도조절 기능 종이컵
KR200334861Y1 (ko) 휴대용 분말차 도구 셋트
CN214398129U (zh) 一种多功能包装袋
KR100899782B1 (ko) 다기능 커피믹스 드립퍼
CN219709149U (zh) 一种过滤壶结构
KR200170063Y1 (ko) 일회용컵에내장된커피믹서와일회용수푼
KR200446133Y1 (ko) 차 인퓨저
KR20020036034A (ko) 절첩형 보온단열컵
KR200343895Y1 (ko) 막대기로 일체된 커피믹서
KR200259897Y1 (ko) 티 백 스푼
KR20100101229A (ko) 혼합용 스푼이 내장된 일회용 포장대
KR200185011Y1 (ko) 컵라면 용기
JPS5837345Y2 (ja) 撹拌構造を有する液体容器
KR200228539Y1 (ko)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JPH04104966U (ja) 飲料用嗜好物収納用容器
KR19990033182U (ko) 일회용 커피용기
WO2001032528A1 (en) Disposable tea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