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539Y1 -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539Y1
KR200228539Y1 KR2020000033627U KR20000033627U KR200228539Y1 KR 200228539 Y1 KR200228539 Y1 KR 200228539Y1 KR 2020000033627 U KR2020000033627 U KR 2020000033627U KR 20000033627 U KR20000033627 U KR 20000033627U KR 200228539 Y1 KR200228539 Y1 KR 200228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waterproof layer
filtration membra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치윤
Original Assignee
홍치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치윤 filed Critical 홍치윤
Priority to KR2020000033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539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운데가 빈 입체모양의 플라스틱 용기 측면 바깥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이 용기의 윗둘레에 밀봉으로 여과막을 고정시켜 식료품을 용기 내에 밀봉 포장하게 한다. 또 이 여과막의 윗 부분에는 방수층을 붙이고 방수층의 한쪽에는 귀 모양의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방수층을 위로 뜯어내게 한다. 이렇게 하면 식료품을 컵이나 그릇 내의 끓는 물에 타거나 혼합 및 걸러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Structural improvement of a stirring apparatus for food}
일반 가정이나 여행하는 사람들이 늘 인스턴트 커피나 엽차 팩 혹은 일반 유즙식품을 사용하는 것은 휴대가 편리하고 일정한 량을 끊이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는 대부분 일정한 량으로 나누어 포장한 일회용 식료훔(도1 참고)을 습관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부드러운 재질의 납짝한 포장형식을 갖춘 일회용 식료품은 비록 휴대에 편리하기는 하지만 납짝한 포장형태로 되어 있어 입구를 뜯어 식품을 완전하고 쉽게 꺼내기는 용이하지 않다. 또는 이러한 포장 형태는 그 내용물인 식료품이 다른 물건에 눌리거나 구겨져서 덩어리로 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심할 때는 보존 기간에 영향을 미치거나 맛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때문에 이러한 재래의 포장 형태가 드러내는 결점으로 인해 관련 업자들의 진일보한 개량 연구가 기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창작자는 다년간 식품 포장의 실제 설계과 제조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는 연구에 물입한 결과 이미 실물 제조와 테스트를 거쳐 예기한 효과를 달성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일종의 식료품의 혼합용기 구조로 하나의 가운데가 빈 입체 모양의 플라스틱 용기의 바깥 면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용기 내에 쉽게 녹는 식료품, 예를 들어 커피가루, 프리마, 엽차, 후추가루, 혹은 기타 즙으로 된 양념등을 넣는다. 용기 내의 칸막이판으로 몇 개의 공간으로 나누고 그 윗둘레에는 여과막을 밀봉으로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식료품은 이 용기 내에 밀봉으로 포장된다. 그외 이 여과막의 윗부분에 방수층을 붙이고 이 방수층의 한쪽 면에 귀 모양의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방수층을 쉽게 위로 뜯어내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여과막이 설치되어 있는 용기를 직접 컵이나 그긋 내의 끊는 물에 타거나, 손잡이를 이용해 혼합할 수도 있고, 또 컵이나 그릇 내로 이미 녹아 희석되어 있는 식료품이 여과막을 통해 적당량의 즙이 흘러나와 농도 조절이 자유로와 원하는 음료나 양념즙이 제조되며 나아가 식료품 포장 용기의 중복 사용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이미 잘 알려진 기존의 일회용 식료품 포장의 외관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식료품 혼합용기의 외관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식료품 혼합용기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식료품 혼합용기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두 번째 실시 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 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네 번째 실시 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용기 (11) : 칸막이 판 (12) : 용치 공간
(13) : 윗둘레 (14) : 손잡이 (16) : 여과막
(17) : 방수층 (18) : 귀부분 (19) : 뜯는 선
(20) : 용기 (23) : 윗둘레 (26) : 여과막
(27) : 방수층
먼저 도2에서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일종의 식료품 혼합용기 구조로 하나의 가운데가 빈 입체 모양의 플리스틱 용기(10)측면에 손잡이(14)를 설치하고 이 용기(10)내에는 쉽게 용해되는 식료품(예를들어 커피가루,프리마, 엽차, 후추가루, 혹은 기타 즙으로 된 양념 등)을 넣는다. 이 용기(10)내에는 칸막이 판(11)으로 몇 개의 용치 공간(12)을 만들어 몇 종류의 각기 다른 식료품을 이 용기(10)내에 담게한다. 그리고 이 용기(10)의 윗둘레(13)에는 밀봉으로 여과막(16)을 고정하여 식료품이 용기(10)내에 밀봉 포장되게 하여 식료품이 부당하게 엎질러 지거나 혹은 용기(10)밖으로 새어나오거나 배어나오지 않게 한다. 또한 컵이나 그릇의 끓는 물에 식료품을 탈 경우 여과막(16)은 이미 용해 혹은 희석된 식료품을 걸러내는 여과작용을 하게 되어 완전히 녹지 않은 찌거기나 엽차를 격리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밖에 여과막(16)의 윗부분에 맞대어 붙인 알루미툼 재질의 방수층(17)이 있는데 이 방수층(17)의 한쪽 면에 귀 모양의 구조(18)를 만들어 사용자가 쉽게 방수층(17)을 위로 뜯어내 여과막을 바로 드러내게 설계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여과막(16)을 통해 적당량을 흘러나오게 할 수 있어 농도를 자유로 조절한 음료수나 양념, 국물 등을 만들 수 있다. 방수층(17)위에는 눌러서 만든 뜯는 선(19)이 있는데 이 뜯는 선(19)은 해당 칸막이 판에 맞붙어 위치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칸을 나누어 그 부분의 방수층(17)을 뜯어내면 매 칸마다 여러번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분적인 용치 공간(12) 및 여과막(16)을 노출 혹은 물에 담금으로써 본 고안은 식료품을 단일 혹은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다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고안의 입체 모양 플라스틱 용기(10)의 외관은 각종 식료품에 따라 다르게 조형할수 있다. 예를 들어 도2는 쌍둥이 하트 형의 조형 실례이다.
두 번째 실시 예는 도5를 참고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5는 일종의 긴 국자 모양의 용기(10)로 이 국자형 용기(10)의 내부에는 한 개의 칸막이 판(11)가 설치되어 있어 각기 다른 식료품을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실시 예는 도6에서 보이는 바이올린 모양의 용기(10)로 용기 내에 아무런 칸막이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 한 종류의 식료품만을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긴 국자와 바이올린 모양의 용기(10) 윗둘레에는 모두 여과막(16)이 밀봉으로 맞붙어 고정되어 있어 이로써 식료품을 컵이나 그릇의 물에 담그거나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층(17)은 여과막(16)에 맞붙어 있음으로 사용자가 식료품을 사용하고 싶을 때 바로 방수층(17)을 듣어낼 수 있고 또 손잡이(14)을 움직여 식료품을 용해, 희석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커피가루, 프리마, 엽차, 각종 양념 등) 이 여과막(16)을 통해 컵이나 그릇에 흘러들게 하고 사용자는 손잡이(14)의 속도와 시간만 조절하면 컵이나 그릇 내의 국물, 커피, 양념등을 농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네 번째 실시 예는 도7에서 보이듯이 원통형의 용기(20)로 이 용기(20) 윗둘레(23)에는 밀봉으로 여과막(26)이 맞붙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층(27)은 이 여과막(26)위에 맞붙어 있어 사용자가 식료품을 음용하려고 할 때 방수층(27)을 뜯어내고 여과막(26)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20)를 컵이나 그릇 내의 물에 담그고 집게나 젓가락을 사용해 이 원통형의 용기(20)를 흔들거나 꺼내면 앞에서 언급한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엽차의 찌거기나 완전히 녹지 않은 덩어리가 컵이나 그릇으로 흘러들지 않는다. 게다가 이미 물에 타서 사용한 용기(10) 역시 물 방울이 떨어지는 결점이 없게 되어 구체적으로 식사의 편리를 보장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것을 종합하면 본 고안은 일종의 식료품 혼합용기 구조로 하나의 중간이 빈 입체 모양의 플라스틱 용기 내에 일정한 량의 식료품을 넣고 여과막으로 밀봉 포장하여 하나의 몸체로 만든 제품으로 내용물인 식료품이 눌러지는 것을 막아 쉽게 적당량을 혼합하거나 농도를 자유로 조절하는 식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찌거기를 걸러낼 수 있어 기존의 납짝한 일회용 식료품 포장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잇는 참신성과 진보성을 갖추고 있다.

Claims (3)

  1. 일종의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로 가운데가 빈 입체 모양의 플라스틱 용기 측면 바깥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이 용기의 윗둘레에 밀봉으로 여과막을 고정시켜 식료품을 용기 내에 밀봉 포장하게 한다. 또 이 여과막의 윗부분에는 방수층을 붙이고 방수층의 한쪽에는 귀모양의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방수층을 위로 뜯어내게 하여 용기내의 각종 커피가루, 엽차, 혹은 양념같은 식료품을 컵이나 그릇 내의 끓는 물에 타거나 혼합 및 걸러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이 용기 내부는 칸막이 판으로 막아 몇 개의 용치 공간을 만들수 있다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방수층의 윗면에 뜯는 선을 눌러 만들고 해당 칸막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 뜯는 선을 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KR2020000033627U 2000-11-27 2000-11-27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KR200228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27U KR200228539Y1 (ko) 2000-11-27 2000-11-27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27U KR200228539Y1 (ko) 2000-11-27 2000-11-27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539Y1 true KR200228539Y1 (ko) 2001-06-15

Family

ID=7309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27U KR200228539Y1 (ko) 2000-11-27 2000-11-27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5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990B2 (en) Beverage system
ZA200507320B (en) Single-dose plastic capsule for powdered coffee and the like
WO2006051356A1 (en) All-in-one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AU2005200235B2 (en) A container for food products
TWM570062U (zh) Drink cup
KR200228539Y1 (ko) 식료품 혼합용기의 구조
CN208470580U (zh) 具有分隔结构的容器
GB2475943A (en) A container for poaching an egg which is made from a heat sealable paper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JP3224395U (ja) ストロー機能を有する容器
GB2582856A (en) Multi-tier cup
CN201494812U (zh) 改良的方便面包装盒
KR200298724Y1 (ko) 누룽지 스낵
CN210619002U (zh) 方便营养快餐套装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CN213893726U (zh) 新型分包结构饮料杯
CN213200504U (zh) 新型便携式饮品冷泡组合杯
CN212580616U (zh) 挂耳式冲泡滤袋以及滤袋组件
KR200185011Y1 (ko) 컵라면 용기
CN211618615U (zh) 一种便携式多功能茶包装置
KR200395283Y1 (ko) 차와 함께 먹는 쿠키
KR20220072320A (ko) 식품포장용기의 포장구조
TWM530802U (zh) 零食飲料結構
CN2457932Y (zh) 食(佐)料搅拌容器
KR20000054045A (ko) 덮개가 달린 종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