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594Y1 -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594Y1
KR200174594Y1 KR2019990022610U KR19990022610U KR200174594Y1 KR 200174594 Y1 KR200174594 Y1 KR 200174594Y1 KR 2019990022610 U KR2019990022610 U KR 2019990022610U KR 19990022610 U KR19990022610 U KR 19990022610U KR 200174594 Y1 KR200174594 Y1 KR 200174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water
sides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남
Original Assignee
이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남 filed Critical 이수남
Priority to KR2019990022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 재배실(11)의 바닥에 다수의 지지구(12)를 고정, 설치하여 이에 내측 바닥에 미세공(21)이 다수로 형성된 다수개의 재배상자(20)를 안착, 고정하고 재배실(11)의 바닥 일측에 용수배출을 위한 배수공(13) 및 그 저부에 상기 배수공(13) 개폐를 위한 개폐편(14) 그리고 양쪽에 결합관(16')이 용접,고정된 물받이(16)가 상부 양측에 결합된 재배장치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16)의 결합관(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30') 및 양쪽에 집수관(31)이 저부로 연장 결합된 지붕(30)을 구비하여 상기 지붕(30)의 결합관(30')을 물받이(16)의 결합관(16')에 끼워 결합하는 한편, 상기 집수관(31)의 저부 선단을 상기 양쪽 물받이(16)와 연통되고 양측에 분무관(51)이 결합된 용수공급부(41) 내측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용수공급부(41) 및 재배실(11)의 저부 내측을 용수공급펌프(40)의 용수공급관(41)으로 연결하며 재배장치본체(10)의 양쪽에 출입문(15) 및 일측에 견인후크(60) 그리고 저부에 이동바퀴(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농작물의 편리한 재배구조 그리고 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농가와 인접한 장소에 간단히 설치하여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배장치의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용수를 간편하게 공급하고 재배상자를 통한 농작물재배로 여러 가지 다양한 농작물을 선택적으로 재배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농작물 관리에 따르는 인력소모를 최소화하여 농가의 수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Cultivation apparatus of movable type crops}
본 고안은 각종야채, 채소 및 특용작물 그리고 꽃 등의 제반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고 특히, 이를 이동가능하게 하여 농작물 재배를 위한 재배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히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농작물의 재배기간을 단축하고 또한 농작물 출하시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농가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농작물 재배수단으로 통상의 비닐하우스 재배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수단은 계절이나 기후 등에 별다른 영향없이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히 재배할 수 있고 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반복적인 재배에 따른 토양의 산성화로 인하여 이를 매번 솎아주어야 하며 농작물의 성장을 위한 용수를 매번 수작업으로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취약한 구조로 비닐의 손상이 잦다.
한편, 일부 농작물을 실내에서 대규모로 재배할 수 있는 첨단 재배실이 알려지고 있기는 하나 농작물재배에 따르는 넓은 재배지를 확보해야 하며 특히 시설물 설치비용의 과다로 인하여 영세한 농가의 경우 그 설치가 매우 곤란하며 특히, 상기한 농작물 재배수단은 모두 지정된 재배지에서의 재배만이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 에 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가 어렵고 제반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수용, 관리하고 농작물의 재배를 위한 용수공급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재배장치본체의 내측 재배실 바닥에 다수의 고정구를 용착하여 이에 농작물 재배를 위한 다수의 재배상자를 안착, 설치하며 상기 재배실의 내측 저부 즉, 재배상자의 각 통로에 농작물 성장을 위한 용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한편, 재배장치본체의 재배실 바닥, 일측에는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그 저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개폐편을 결합하여 상기 재배실 저부에 저장된 용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재배장치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외부 양측의 물받이와 연통되며 용수 분무를 위한 분무관이 양측에 결합된 용수공급부를 용수공급펌프와 연결하여 상기 용수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유입된 용수를 상기 용수공급부 및 재배실 내측 저부로 동시에 공급하거나 이를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재배실의 내측 저부에 공급, 저장된 용수를 필요시 용수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이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 지붕은 열축적이 우수한 광물성의 잠열재로 구성하여 야간에도 지붕 에 축적된 잠열로서 재배장치의 내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며 양측 빗물관의 선단을 용수공급부의 내부로 연장하여 빗물을 효과적으로 집수시키도록 하고 또한 지붕을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재배장치본체에 간단히 얹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서 지붕의 양쪽 날개를 중앙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재배상자본체의 양측 출입문 중앙에 삽입공을 천공하여 이에 용수공급관과 연통된 급수관을 횡설하는 한편, 재배장치본체의 바닥을 재배상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설치공간부를 요입, 형성한 장방형의 용수조로 구성하여 용수의 수용,저장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재배장치본체는 저부 일측에 견인후크 및 저부에 이동용 바퀴를 구성하여 재배장치본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등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절결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종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실시예의 일부절결한 용수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재배장치본체 11 : 재배실
12 : 지지구 13 : 배수공
14 : 개폐편 15 : 출입문
15' : 삽입공 16 : 물받이
16' : 결합관 18 : 이동바퀴
20 : 재배상자 21 : 미세공
30 : 지붕 30' : 결합관
31 : 집수관 32 : 힌지축
33 : 지지대 40 : 용수공급펌프
41 : 용수공급관 50 : 용수공급부
51 : 분무관 60 : 견인후크
70 : 급수관 71 : 분무공
80 : 용수조 81 : 설치공간부
82 : 통공 83 : 용수순환공
본 고안은 내부 재배실(11)의 바닥에 다수의 지지구(12)를 고정, 설치하여 이에 내측 바닥에 미세공(21)이 다수로 형성된 다수의 재배상자(20)를 안착, 고정하고 재배실(11)의 바닥 일측에 용수배출을 위한 배수공(13) 및 그 저부에 상기 배수공(13) 개폐를 위한 개폐편(14) 그리고 양쪽에 결합관(16')이 용접,고정된 물받이(16)가 상부 양측에 결합된 재배장치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16)의 결합관(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30') 및 양쪽에 집수관(31)이 저부로 연장 결합된 지붕(30)을 구비하여 상기 지붕(30)의 결합관(30')을 물받이(16)의 결합관(16')에 끼워 결합하는 한편, 상기 집수관(31)의 저부 선단을 상기 양쪽 물받이(16)와 연통되고 양측에 분무관(51)이 결합된 용수공급부(41) 내측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용수공급부(41) 및 재배실(11)의 저부 내측을 용수공급펌프(40)의 용수공급관(41)으로 연결하며 재배장치본체(10)의 양쪽에 출입문(15) 및 일측에 견인후크(60) 그리고 저부에 이동바퀴(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써 지붕(30)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힌지축(32) 결합하여 그 양측이 상기 중앙 힌지축(32)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재배장치본체(10)의 양측 출입문(15)중앙에는 삽입공(15')을 천공하여 이에 용수공급관(41)과 연통된 급수관(70)을 횡설하는 한편, 재배장치본체(10)의 바닥은 일측 통공(82) 및 상면에 재배상자(20)의 안착,수용을 위한 다수의 설치공간부(81)를 요입,형성하여 내부 양 측면에 용수순환공(83)을 형성한 장방형의 용수조(80)로 구성하여 된 구조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재배장치본체(10)는 각종야채 및 특용작물 그리고 화초나 꽃 등을 재배를 위한 다수의 재배상자(20)를 구비하여 각 재배상자(20)에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을 선택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재배장치본체(10)는 재배실(11)의 내측 바닥에 지지구(12)가 용접,고정되어 이에 재배상자(20)의 사방 저부 모서리부가 끼워져 지지구(12) 내측 중앙에 형성된 지지구(12)에 의해 재배상자(20)가 재배실(11)의 바닥과 일정 높이로 이격,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재배상자(20)의 각 둘레 및 저부에 용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자연스럽게 마련됨으로써 용수의 수용,저장을 간편히하게 되고 필요시 이에 수용된 용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배상자(20)는 내측 저부에 다수의 미세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재배상자(20) 각 둘레의 통로 및 저부에 공급,저장된 용수가 상기 미세공(21)을 통하여 재배상자(2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됨으로써 농작물 뿌리부분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이들의 재배를 위한 토양은 음식물 찌꺼기를 충분히 발효시킨 복합비료토양을 적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함으로써 그 성장이 가속화되고 이로 인해 농작물 재배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재배상자(20)가 수납, 인출식으로 구성되어 농작물 수확 후 재배상자(20)의 내용물 즉, 복합비료토양을 간단히 교체하는 것으로 다시 새로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재배장치본체(10)는 용수의 분무를 위해 설치되는 용수공급부(50) 및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양측에 결합된 분무관(51)이 재배실(11)의 내측 상부에 구성되고 있다. 이는 재배장치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용수공급펌프(40)를 통해 용수공급부(50)로 공급되는 용수가 일시에 공급되더라도 용수가 상기 용수공급부(50)의 어느 한 지점으로 편중되지 아니하고 용수공급부(50)의 전반에 걸쳐 골고루 공급되게 되며 이와함께 용수공급부(50)로 공급된 용수는 길이방향의 양측 즉, 하부 재배상자(20)의 각 중앙에 위치하는 부위로 연장, 결합된 분무관(51)의 미세공(21)을 통한 자연스러운 하향 용수공급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 문에 용수의 살수면적이 저부로 점차 확대되어 각 재배상자(20)의 상면에 용수를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양측 결합관(30')에 의해 재배장치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지지,결합된 지붕(30)은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우천시 빗물이 지붕(30)의 중앙으로 집중되어 지붕(30)의 전,후방 저부에 결합된 집수관(31)을 통해 하방 용수공급부(5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집수됨으로써 상기 집수된 빗물을 농작물 재배용 용수로 유용하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 지붕(30)은 그 재질을 열축적이 우수한 광물성의 잠열재로 제작됨으로써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재배실(11) 내부의 온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농작물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며 별도의 보온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농작물의 보온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 재배장치본체(10)는 이동시 재배실(11)의 내측 저부에 수용된 용수를 재배장치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켜주어야 하는데 상기 용수의 배출은 재배실(11) 일측 바닥에 형성된 배수공(13)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공(13)을 폐쇄하고 있는 개폐편(14)의 당김조작에 의해 배출되는 바, 재배장치본체(10)의 이동을 위한 용수배출은 상기 개폐편(14)을 재배장치본체(10)의 외방으로 서서히 당겨줌으로써 개폐편(14)에 상면에 밀착되어 밀폐된 상태의 배수공(13)이 서서히 개방되면서 재배실(11)의 용수가 재배장치본체(10)의 저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되며 이동 후 상기 개폐판(14)을 삽입하여 상기 배수공(13)을 원상태로 간단히 밀폐시켜주게 되면 재배실(11)의 내측 저부는 다시 완벽히 폐쇄된 상태가 되어 재배실(11)의 내측 저부에 용수를 다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수공급관(41)에서 분기된 용수공급라인이 재배실(11)의 저부 즉, 용수가 수용된 부위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부 용수공급부(50) 및 재배실(11)의 저부 내측으로 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며 재배실(11)의 저부에 수용된 용수를 상기 용수공급펌프(40)의 작동에 의해 용수를 용수공급부(41)로 용이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붕(30)의 양쪽 날개가 중앙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지붕(30)의 양쪽 날개가 힌지축(32)을 기준으로 상,하로 자유로이 회동됨에 따라 빗물의 집수가 요구되지 아니한 상황이나 동절기 보온을 위한 보온재를 얹어 주기 편리한 상태로 지붕(30)의 형태를 간단히 변형시켜주기 위한 것이며 변형시 내측 지지대(33)가 지붕(30)의 하중을 견고지 지지시켜 줌으로써 지붕(30)의 변형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배장치본체(10)의 양측 출입문(15) 중앙 삽입공(16')에는 용수공급관(41)과 연결된 급수관(70)이 횡설되어 상부 용수공급관(41)을 통한 하향 분무 또는 급수관(70)을 통한 용수의 선택적인 분무가 가능하며 저부에 무수히 형성된 분무공(71)을 통해 용수의 분무를 간편히 그리고 신속히하게 되고 또 분무 후 급수관(70)의 분리시에도 출입문(15)의 삽입공(15')에서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유사시 용수공급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재배장치본체(10)의 바닥을 용수저장을 위한 용수조(80)로 구성하여 이동시 용수의 출렁임에 의한 용수의 외부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주게 되며 재배시 용수조(80)의 상면에 요입,형성된 설치공간부(81)의 내측에 재배상자(20)를 안착하게 되면 내부 양쪽에 형성된 용수순환공(83)으로 소량의 용수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와 재배상자(20)의 저부 미세공(21)으로 조금씩 유입되게 되며 일측 통공(82)이 용수공급펌프(40)의 용수공급관(41)과 연결되어 이를 통해 용수조(80)의 내측으로 용수를 공급하거나 이를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재배시에는 재배실(11)의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해 재배상자(20)를 순차 적층하여 재배할 수 도 있다.
또 바닥 전체가 용수의 수용,저장을 위한 밀폐된 장방형의 용수조(8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용수조(80)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줌은 물론 용수를 수용한 상태에서 재배장치본체(10) 안정된 이동을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재배장치본체(10)는 그 저부에 이동바퀴(18)가 설치되어 일측 저부에 고정된 견인후크(60)를 차량의 견인고리와 연결하여 이를 편리하게 견인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배장치본체(10)를 농가와 인접한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켜 농작물의 재배,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농작물의 편리한 재배구조 그리고 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 써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농가와 인접한 장소에 간단히 설치하여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배장치의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용수를 간편하게 공급하고 재배상자를 통한 농작물재배로 여러 가지 다양한 농작물을 선택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농작물 관리에 따르는 인력소모를 최소화하여 농가의 수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내부 재배실(11)의 바닥에 다수의 지지구(12)를 고정, 설치하여 이에 내측 바닥에 미세공(21)이 다수로 형성된 복수개의 재배상자(20)를 안착, 고정하고 재배실(11)의 바닥 일측에 용수배출을 위한 배수공(13) 및 그 저부에 상기 배수공(13) 개폐를 위한 개폐편(14) 그리고 양쪽에 결합관(16')이 용접,고정된 물받이(16)가 상부 양측에 결합된 재배장치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물받이(16)의 결합관(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30') 및 양쪽에 집수관(31)이 저부로 연장 결합된 지붕(30)을 구비하여 상기 지붕(30)의 결합관(30')을 물받이(16)의 결합관(16')에 끼워 결합하는 한편, 상기 집수관(31)의 저부 선단을 상기 양쪽 물받이(16)와 연통되고 양측에 분무관(51)이 결합된 용수공급부(41) 내측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용수공급부(41) 및 재배실(11)의 저부 내측을 용수공급펌프(40)의 용수공급관(41)으로 연결하며 재배장치본체(10)의 양쪽에 출입문(15) 및 일측에 견인후크(60) 그리고 저부에 이동바퀴(1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붕(30)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힌지축(32)을 결합하여 그 양측이 상기 중앙 힌지축(32)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재배장치본체(10)의 양측 출입문(15)중앙에는 삽입공(15')을 천공하여 이에 용수공급관(41)과 연통된 급수관(70)을 횡설하는 한편, 재배장치본체(10)의 바닥은 일측 통공(82) 및 상면에 재배상자(20)의 안착,수용을 위한 다수의 설치공간부(81)를 요입,형성하여 내부 양 측면에 용수순환공(83)을 형성한 장방형의 용수조(83)로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KR2019990022610U 1999-10-20 1999-10-20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KR200174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10U KR200174594Y1 (ko) 1999-10-20 1999-10-20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10U KR200174594Y1 (ko) 1999-10-20 1999-10-20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594Y1 true KR200174594Y1 (ko) 2000-03-15

Family

ID=1959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610U KR200174594Y1 (ko) 1999-10-20 1999-10-20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5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97B1 (ko) * 2009-05-15 2010-04-09 이인하 루프 어셈블리를 구비한 화분
KR101436261B1 (ko) * 2013-08-29 2014-08-29 신창민 태양에너지 저장기능을 가진 반음지 식물 재배용 에코하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97B1 (ko) * 2009-05-15 2010-04-09 이인하 루프 어셈블리를 구비한 화분
KR101436261B1 (ko) * 2013-08-29 2014-08-29 신창민 태양에너지 저장기능을 가진 반음지 식물 재배용 에코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5202B2 (ja) 植物栽培システム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US20080313960A1 (en) Mobile planter
KR101362020B1 (ko) 수경 재배 장치
JPH10309136A (ja) 高設栽培装置
KR200174594Y1 (ko) 이동식 농작물 재배장치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1576724B1 (ko) 주머니형 식물 재배기
KR101989449B1 (ko) 식물 재배기
KR100676692B1 (ko) 저수조를 겸한 식물재배용기
US20110232185A1 (en) Collapsible rack and row planters
CN209824613U (zh) 蔬菜育苗柜
CN214413611U (zh) 一种市政园林环保育苗辅助装置
JP3077159U (ja) 移動式農作物栽培装置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JP2014023433A (ja) 野菜栽培設備、野菜栽培方法及び野菜栽培用ラック
CN211020163U (zh) 一种阳台楼顶有机仿大田栽培设备
CN210157803U (zh) 一种垂直水耕栽培设备
CN202551816U (zh) 全自动保湿透气槽孔无土栽培系统
RU173971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или наклон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CN216701090U (zh) 一种农业种植用育苗装置
CN220654192U (zh) 一种油茶种植用育苗装置
KR0139530Y1 (ko) 재배장치
JPH065449U (ja) 着生植物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