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205Y1 -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205Y1
KR200174205Y1 KR2019990019277U KR19990019277U KR200174205Y1 KR 200174205 Y1 KR200174205 Y1 KR 200174205Y1 KR 2019990019277 U KR2019990019277 U KR 2019990019277U KR 19990019277 U KR19990019277 U KR 19990019277U KR 200174205 Y1 KR200174205 Y1 KR 200174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cylindrical portion
spool shaft
spinning reel
dra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아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아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아스포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29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shaft and 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닝 릴 본체의 후부에 마련되며,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드래그 기구와, 상기 드래그력을 대략적으로 조정하는 제2 드래그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드래그 기구는 릴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에 수납되며, 판스프링,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마찰판과 제동판,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제2 드래그 기구는 중공 원통부의 제2 부분에 수납되며,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마찰판과 제동판,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일부를 수납하고, 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 외주면에는 제1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와 당접하는 제1 조정 기구가 배치되며,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2 부분의 개방 단부에는 제2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와 당접하는 제2 조정 기구가 배치되는 드래그력 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SPINNING REEL HAVING A DEVICE FOR ADJUSTING DRAG FORCE}
본 고안은 낚시용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스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회전 저항력)을 조정하는 제1 및 제2 드래그 기구로 구성된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로서, 릴 본체의 후부에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드래그 기구와, 그 드래그력을 대략적으로 조정하는 제2 드래그 기구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드래그 기구에 의하여 스풀 샤프트, 즉 그 스풀 샤프트에 결합된 스풀의 제동력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의 후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지 원통부가 설치된다. 그 지지 원통부의 나사부에는 제1 드래그 기구를 구성하는 조정 레버와, 제2 드래그 기구를 구성하는 조정 너브(knob)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 원통부 내부에는 너브의 조정에 의하여 가압 조작되는 제2 드래그 기구의 마찰판과, 상기 조정 레버에 의하여 가압 조작되는 제1 드래그 기구의 마찰판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정 레버는 지지 원통부의 나사부상 에서 나사 회동 조작에 의하여 그 지지 원통부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드래그 기구의 마찰판을 가압하여 스풀 샤프트의 제동력을 미세 조정한다. 또한, 상기 조정 너브는 지지 원통부의 나사부상에서 나사 회동 조작에 의하여 그 지지 원통부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 드래그 기구의 마찰판을 가압하여, 스풀 샤프트의 제동력을 대략적으로 조정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는, 지지 원통부의 나사부상에 제1 드래그 기구의 조정 레버와 제2 드래그 기구의 조정 너브를 각각 나사 결합시키고, 그 조정 너브와 조정 레버를 지지 원통부의 나사부상에서 나사 회동 조작에 의하여, 지지 원통부에 대하여 상호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풀 샤프트의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는 관계로 인하여, 조정 너브와 조정 레버의 원통형 보스부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조정 너브와 조정 레버의 보스부와의 사이에 소정 폭의 간극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정 너브와 조정 레버의 보스부와의 사이에 간섭 방지용의 간극을 형성하면, 그 간극이 지나치게 커져서 조정 너브와 조정 레버의 나사 결합부에 마련된 간극으로부터 먼지, 모래 등이 침입하기 쉽고, 그 침입된 먼지, 모래 등에 의해 조정 너브와 조정 레버의 회전 저항이 증대하고, 조작성이 나쁘게될 뿐만 아니라, 나사 결합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드래그 기구용 조정 부재와 제2 드래그 기구용 조정 부재 사이에 간극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중공 원통부와 그 내부에 마련된 드래그력 조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통형 본체
12 : 중공 원통부
14 : 스풀 샤프트
16 : 샤프트 부싱
21, 22 : 제1 및 제2 원통부
50 : 제1 드래그 기구
53, 55, 71, 73, 75 : 와셔
52 : 고정판
54, 74 : 제동판
60 : 제1 조정 부재
70 : 제2 드래그 기구
90 : 제2 조정 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피닝 릴 본체의 후부에 마련되며,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드래그 기구와, 상기 드래그력을 대략적으로 조정하는 제2 드래그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래그 기구는 릴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에 수납되며,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마찰판과 제동판,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드래그 기구는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에 수납되며,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마찰판과 제동판,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일부를 수납하고, 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 외주면에는 제1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와 당접하는 제1 조정 기구가 배치되며,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2 부분의 개방 단부에는 제2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와 당접하는 제2 조정 기구가 배치되는 드래그력 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드래그 기구는 중공 원통부 내부에 마련된 샤프트 부싱 상에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샤프트 부싱은 그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가지며, 그 중심 구멍은 비원형이다. 상기 제1 및 제2 드래그 기구의 제동판은 샤프트 부싱의 외주면의 단면 형상과 거의 상응하는 중심 구멍을 갖는다.
상기 제1 조정 부재는 제1 및 제2 내주면, 그 제1 및 제2 내주면 사이에 형 성된 단차부, 그리고 그 제2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스는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에 끼워진다. 상기 나선형 홈은 제1 부분의 외주면 절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는 제1 원통부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제1 조정 부재의 단차면과 당접한다.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2 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제2 조정 부재는 제2 부분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되도록 그 내주면에 암나사를 갖는다. 상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낚시용 스피닝 릴은 원통형 본체의 전면에 각각 장착된 로우터와 스풀을 구비하며, 그 로우터는 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핸들에 의하여 회전되고, 스풀은 축선 방향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한다.
원통형 본체(10)의 후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샤프트(14)를 전후방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부싱(1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원통형 본체(10)의 후부로부터 그 본체의 후벽(10a)에 의하여 구획된 중공 원통부(12)가 돌출 형성된다. 그 본체(10)와 중공 원통부(12)를 구획하는 후벽(10a)과, 중공 원통부(12) 내부를 2개의 챔버로 구획하는 격벽(26)에 각각 구멍(21, 26a)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샤프트(14)는 후벽(10a)에 형성된 구멍(21)을 통해 중공 원통부(12) 내부까지 연장한다.
중공 원통부(12)는 본체(10)에 인접한 제1 원통부(21)와, 이 제1 원통부(21)에 연속하고, 단차부를 형성하여 개방부측에 형성된 제2 원통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원통부(21)는 후술된 제1 드래그 기구(50)를 수납하기 위하여 원주면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원통부(21)는 제1 조정 부재(60)가 그 외주면 상에서 회동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또 그 원주면에는 가압 부재(56)의 한 쌍의 아암(56a)이 그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관통 슬릿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원통부(22)는 그 원주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후술된 제2 드래그력 조정 부재(90)가 나사 결합된다.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제1 조정 부재(60)는 제1 및 제2 내주면(61, 62), 상기 제1 및 제2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63), 그리고 상기 제2 내주면(6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스(65)를 포함한다.
샤프트 부싱(16)의 한 단부는 중공 원통부(12)의 중앙 구멍(23a)을 통해 샤프트 부싱(16)의 멈춤판(16a)이 원통부의 격벽(23)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 부싱(16)은 본체(10)의 후벽(10a)에 형성된 구멍(10b)까지 삽입되기 때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샤프트 부싱(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16c)을 형성함으로써 비원형 종단면으로 형성되고, 또 그 중심 구멍(16a)도 그 내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형성함으로써 비원형 종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 구멍(16a)에는 그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스풀 샤프트(14)의 단부(14a)가 삽입된다. 스풀 샤프트(14)의 평탄면(14b)이 형성된 단부 부분만이 샤프트 부싱(16)에 삽입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스피닝 릴의 본체 전방측으로부터 삽입된 스풀 샤프트(14)는 샤프트 부싱(16)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지만 회동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 스풀 샤프트(14)는 샤프트 부싱(16)과 함께 회전한다.
중공 원통부(12)에는 샤프트 부싱의 회전을 제어하는 드래그 기구(50, 70)가 제공된다. 즉, 중공 원통부(12)의 제1 원통부(21)에는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제1 드래그 기구(50)가 내장되며, 제2 원통부(22)에는 드래그력을 대략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제2 드래그 기구(70)가 내장된다.
이하, 제1 및 제2 드래그 기구(50, 7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드래그 기구(50)는 중공 원통부(12)의 제1 원통부(21)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중공 원통부(12)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샤프트 부싱(16)에 의하여 적소에서 유지된다. 제1 드래그 기구(50)는 판스프링(51), 복수 개의 라이닝 와셔(53, 55), 이 탄성 와셔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판(52)과 드래그 제동판(54), 그리고 제1 드래그력 조정 기구(60)의 회전에 의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5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52), 드래그 제동판(54) 그리고 가압 부재(56)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래그 제동판(54)은 샤프트 부싱(16)과 동반 회전하도록 그 샤프트 부싱의 단면 형상과 외경에 거의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 드래그 제동판(54)은 필요에 따라 클릭 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 복수 개의 톱니를 구비할 수도 있다. 드래그 제동판(54)과 달리, 판스프링(51), 와셔(53, 55), 고정판(52), 그리고 가압 부재(56)는 샤프트 부싱(54)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지만, 그 샤프트 부싱의 회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56)는 외주면의 개구(비도시)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아암(56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아암(56a)은 중공 원통부(12)의 제1 원통부(21) 외측에 배치된 제1 조정 부재(60)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63)와 당접한다. 제1 조정 부재(60)가 제1 원통부(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 홈(25)을 따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가압 부재(56)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드래그 기구(70)는 복수 개의 라이닝 와셔(71, 73, 75), 이들 라이닝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 마찰판(72)과 드래그 제동판(74), 라이닝 와셔(75)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마찰판(76), 상기 제2 마찰판(76)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압축 스프링(77), 그리고 이 압축 스프링(77)의 일부를 수납하는 가압 부재(78)를 포함한다. 라이닝 와셔(71, 73, 75), 제1 및 제2 마찰판(72, 76), 그리고 드래그 제동판(74)은 중공 원통부(12)의 제2 원통부(22) 내부에 삽입된 샤프트 부싱(16) 상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 마찰판(72, 76)은 그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스(72a 및 76a)를 각각 구비한다. 이들 보스(72a, 76a)는 중공 원통부(12)의 제2 원통부(22) 내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비도시)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제2 원통부 내부에서 회전할 수 없다. 그러나, 드래그 제동판(74)은 샤프트 부싱(16)의 단면 형상과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 부싱과 동반 회전한다.
상기 가압 부재(78)는 한 측면에 스프링(77)을 수납할 수 있는 원통 부분(78a)과, 제2 조정 부재(90)의 내측 홈에 끼워지는 플러그 부분(78c, 78d)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부분(78c, 78c)의 중앙 보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나사에 의하여 제2 조정 부재(90)에 체결된다.
도 1은 제1 및 제2 조정 부재가 모두 스풀 샤프트의 회전력에 최대의 저항력을 부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풀 샤프트(14)에 대한 회전력 저항은 스풀 샤프트(14)와 동반 회전하는 드래그 제동판(54; 74) 각각이 또는 모두가 라이닝 와셔(54, 55; 73, 75)와의 접촉 세기에 종속한다. 즉, 드래그 제동판(54; 74)의 회전력은 가압 부재(56; 78)의 축선 방향 이동에 따라 그 측면의 라이닝 와셔와의 마찰 접촉 세기의 증감에 따라 변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는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조정 기구와 대략적으로 조정하는 제2 조정 기구로 분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제1 조정 기구는 제2 조정 기구의 조정 상태와 무관하게 확실하게 작동할 수있다. 게다가, 제1 조정 기구는 미세 조절 뿐만 아니라 일회의 조작으로 제동력을 단번에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스피닝 릴 본체의 후부에 마련되며,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드래그 기구와, 상기 드래그력을 대략적으로 조정하는 제2 드래그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래그 기구는 릴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에 수납되며, 판스프링,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마찰판과 제동판,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드래그 기구는 중공 원통부의 제2 부분에 수납되며, 복수 개의 와셔, 상기 와셔 사이에 각각 개재된 마찰판과 제동판,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일부를 수납하고, 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 외주면에는 제1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와 당접하는 제1 조정 기구가 배치되며,
    상기 중공 원통부의 제2 부분의 개방 단부에는 제2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와 당접하는 제2 조정 기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래그 기구는 중공 원통부 내부에 마련된 샤프트 부싱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 그력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싱은 그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가지며, 그 중심 구멍은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래그 기구의 제동판은 샤프트 부싱의 외주면의 단면 형상과 거의 상응하는 중심 구멍을 가지며, 제1 드래그 기구의 제동판은 그 외주면에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부재는 제1 및 제2 내주면, 그 제1 및 제2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 그리고 그 제2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스는 중공 원통부의 제1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제1 부분의 외주면 절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래그 기구의 가압 부재는 제1 원통부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제1 조정 부재의 단차면과 당접하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스풀 샤프트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KR2019990019277U 1999-06-24 1999-09-10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KR2001742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321 1999-06-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321 Division 1999-06-24 1999-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205Y1 true KR200174205Y1 (ko) 2000-03-15

Family

ID=1957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277U KR200174205Y1 (ko) 1999-06-24 1999-09-10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2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66B1 (ko) 2012-02-22 2014-04-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드래그파워 정밀 조절이 가능한 낚시릴
KR20200051186A (ko) * 2018-11-05 2020-05-13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텐션 너트의 거리 조정이 용이한 낚시 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66B1 (ko) 2012-02-22 2014-04-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드래그파워 정밀 조절이 가능한 낚시릴
KR20200051186A (ko) * 2018-11-05 2020-05-13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텐션 너트의 거리 조정이 용이한 낚시 릴
KR102139520B1 (ko) * 2018-11-05 2020-07-3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텐션 너트의 거리 조정이 용이한 낚시 릴
US11013223B2 (en) 2018-11-05 2021-05-25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for easy distance adjustment of tension n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6365B1 (en) Original cover closer
US5030172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134663B2 (en) Fishing reel with movable magnet brake
KR200174205Y1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력 조정 장치
EP0533662A1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920002022A (ko) 스피닝 릴
KR20040023842A (ko)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JP2001178333A (ja) 釣り用リールのためのブレーキ装置
EP1645937A2 (en)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nge unit
WO2000019814A1 (en) Fishing reel
US4394991A (en) Double bearing fishing reel
KR100223578B1 (ko) 힌지구조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US5605299A (en)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having a disconnectible free-wheeling hub
KR100652843B1 (ko) 베이트 케스팅 릴의 원심브레이크장치
US5991149A (en) Operation shaft receiving-type electric
JP6235446B2 (ja) 魚釣用リール
JPS6316232Y2 (ko)
US5991936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estern style toilet seat and seat cover
KR920006128Y1 (ko) 낚시용 스피닝릴의 회전음 발생장치
KR100331090B1 (ko) 스피닝 릴
US6354525B1 (en)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CN216686977U (zh) 一种转动装置及绞车
KR200171047Y1 (ko) 플라이릴의 드랙장치
JP315055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