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166Y1 -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3166Y1 KR200173166Y1 KR2019960027303U KR19960027303U KR200173166Y1 KR 200173166 Y1 KR200173166 Y1 KR 200173166Y1 KR 2019960027303 U KR2019960027303 U KR 2019960027303U KR 19960027303 U KR19960027303 U KR 19960027303U KR 200173166 Y1 KR200173166 Y1 KR 2001731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connection
- marking
- electrodes
- fp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88—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of electrodes or of electrode assemb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표시소자의 개선된 정합구조를 개시한다.
평판표시소자를 구동회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그 기판 외측으로 전극이 인출되어 구성된 전극패드에 접속구를 접합시키는데, 종래에는 그 정합을 위한 마아킹이 외측에 양각으로 형성되어 접속구의 폭이 커지고 정확한 정합과 접속상태의 유지가 곤란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전극패드측의 적어도 한 전극의 선단에 이 마아킹을 음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소자의 접속구조와 접속을 위한 정합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한 정합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원인의 동일자 접속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제3도의 접속구조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 기판
D : 전극패드
X : 전극
X' : (최외단) 전극
FPC : 접속구(Flexible Panel Connector)
E : 접속전극
M1 : (전극패드측의) 마아킹(marking)
M2 : (접속구측의 양각) 마아킹
M2' : (접속구측의 음각) 마아킹
4 : 인출부
본 고안은 평판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자를 접속구에 의해 접속할때 접속구와 소자를 정합(align)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 경향에 따라 평판표시장치의 활용영역이 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이미 휴대용 화상장치로 자리하고 있고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Plasma Display Panel)나 전계발광소자(FED, Field Emission Display)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소자는 일반적으로 두 기판에 전극을 교차 대향배열하여 양 기판을 봉합재(sealant)로 봉합하여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패널(panel)을 구성한다.
이때 각 기판(P)의 전극(X)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외측까지 인출되어 FPC(Flexible Panel Connector)등의 접속구(FPC)가 접속될 전극패드(D)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극(X)들은 기판(P)의 외단까지 똑바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어 16개나 32개씩 모여 전극패드(D)를 형성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전극(X)의 수가 많아질수록 다수의 전극(X)들을 한 접속구(FPC)에 의해 동시에 접속시키기 어려울 뿐아니라, 이 경우 부분적인 접속이상이 발생되는 신뢰성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극(X)을 16개나 32개의 전극패드(D)로 그루핑(grouping)하는 다른 이유는 접속구(FPC)의 타단이 연결될 구동회로기판의 커넥터(connector) 또는 데이타 전송에 사용될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등이 통상 16핀이나 32핀, 또는 64핀 등 2의 승수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판(P)의 외단에서 전극(X)들을 복수의 전극패드(D)를 형성하고 각 전극패드(D)는 각각 별도의 접속구(FPC)를 통해 구동회로기판과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에 있어서 복수의 접속구(FPC)의 접속시 인접 전극패드(D)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 전극패드(D)의 전극(X)들을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극패드(D)와 접속구(FPC)는 도전성 접착제등으로 접합되어 접속되는데, 이때 미세한 피치로 된 전극패드(D)의 각 전극(X)과 접속구(FPC)의 접속전극(E, 점선으로 표시)들이 정확히 1:1 대응하도록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전극패드(D)의 외측과 접속구(FPC)의 접속전극(E) 외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마아킹(marking, M, M')이 형성된다.
이 마아킹(M, M')은 일반적으로 최외단의 전극(X) 외단에 인쇄등 전극(X)의 형성시 이와 함께 양각(陽刻)으로 형성되어, 접속구(FPC)의 접속시 시감(視感)이나 투영등의 방법으로 양 마아킹(M, M')의 접속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접속구(FPC)를 전극패드(D)에 정합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정합구조에 있어서는 마아킹(M, M')이 최외단 전극(X)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전극패드(D)와 접속구(FPC)의 폭이 상당히 커지게 될 뿐아니라, 특히 접속구(FPC) 구성에도 여러가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즉 양측 마아킹(M, M')이 모두 양각이므로 접착되지 않는 양자의 접촉시 들뜨기 쉬우므로 외측 전극(X)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질 위험성이 크며, 접속구(FPC)의 접속전극(E) 양단에 마아킹(M)이 형성되므로 전극패드(D)에 따라 각각 전용의 접속구(FPC)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후자의 문제는 한 패널상에 전극(X)수가 서로다른 복수종류의 전극패드(D)가 형성되는 경우, 각 전극패드(D)별로 별도의 접속구(FPC)를 제작하여 구분사용해야 하는 제조원가와 공수상의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구와 전극패드의 폭이 증가되지 않으며 여러 전극패드에 접속구가 공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속구의 접속상태를 해치지 않으며 정확한 정합이 가능한 정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정합구조는 전극패드의 전극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단에 마아킹을 음각(陰刻)으로형성하고, 이 전극패드에 연결될 접속구의 대응부분에 이에 대응하는 다른 마아킹을 형성하여, 양 마아킹을 정합시킴으로써 전극패드에 대해 접속구를 정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전극패드의 마아킹은 최외단전극의 외측으로 인출부를 연장하여 이 인출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 인출부는 보조전극을 커먼접속하는 접속패턴의 외측에 연장되는 접속단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에서, 소자의 기판(P)의 일측으로 전극(X, X')들이 인출되어 형성된 전극패드(D)에는, 두 절연시이트(11, 12)사이에 접속전극(E)들이 배열되어 구성된 접속구(FPC)가 접속되어 도시되지 않은 구동회로와 소자를 연결하게 된다.
본 고안 특징에 따라 전극패드(D)의 적어도 어느 한 전극, 바람직하기로 전극패드(D) 양단의 두 전극(X')의 선단에는 소정형태의 마아킹(M1)이 음각으로 형성된다.
접속구(FPC)의 대응위치에는 이 마아킹(M1)에 대응하는 다른 마아킹(M2)이 형성되는데, 마아킹(M1)이 전극(X')선단에 형성되면 대응 마아킹(M2)도 접속전극(E)의 선단에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접속구(FPC)의 접속전극(E)은 동박(銅薄)등의 식각(etching)으로 구성되므로 접속전극(E) 선단에 마아킹(M2)을 형성하려면 역시 음각으로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전극패드(D)와 접속구(FPC)의 대응 전극(X', E)들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도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극(X')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인출부(4)를 연장하여 이 인출부(4)에 마아킹(M1)을 형성하면, 접속구(FPC)의 대응 마아킹(M2)은 최외단 접속전극(E)의 외측에 동박의 잔류에 의해 양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최외단전극(X', E)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지 않을 뿐아니라, 접속구(FPC)측의 양각의 마아킹(M2)이 전극패드(D)측의 음각의 마아킹(M1)에 대해 기구적으로 상호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신속하고 정확한 정합이 가능할 뿐아니라, 열접착등 접속구(FPC)의 접합과정이나 이동과정에서 접속구(FPC)는 전극패드(D)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3도에는 전극(X)이 선택전극(Y)의 사이에 보조전극(S)을 배열하여 구성된 경우, 보조전극(S)을 커먼(common) 접속시키는 접속구조를 개시하고 있는바, 이는 본원인에 의해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라는 명칭하에 동일자로 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추후보정)되는 구성이다.
제3도에서, 보조전극(S)들의 선단을 연결하는 접속패턴(K)의 양단에는 연장부(3)와 접속부(2)로 된 ㄱ자형의 접속단(1)이 형성되어 접속구(FPC)의 최외단 접속전극(E1)이 이 접속단(1)에 접촉함으로써 보조전극(S)들을 소정의 공통전압으로 커먼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접속구조에 특히 유효하게 결합사용될 수 있는 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P)측에서는 접속단(1)의 접속부(2) 선단에 마아킹(M1)을 형성하고, 접속구(FPC)측에서는 최외단 전극(E1)의 선단에 대응마아킹(M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ㄱ자형의 접속단(1)이 제2도의 인출부(4)를 구성하게 되고, 양 마아킹(M1, M2')은 각각 음각으로 형성된다.
즉 제4도의 실시예는 제3도의 접속구조를 보조전극(S)을의 커먼접속과 동시에 접속구(FPC)를 정합시키는 정합구조로서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속구의 폭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게 되어, 큰 폭의 접속구를 전극패드별로 절단하여 구성함으로써 접속구의 제작과 사용이 용이하고, 전극패드측의 마아킹이 음각으로 형성되므로 접속구와의 접속상태를해치지 않게 되며, 접속구를 전극패드에 정확히 정합시켜 그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4)
- 평판표시소자의 복수의 전극이 선단이 기판 외측으로 인출되어 전극패드를 형성하고 이 전극패드에 복수의 접속전극을 가지는 접속구를 접합하여 접속할때, 상기 전극패드와 접속구에 각각 마아킹을 형성하여 양 마아킹을 정합시킴으로써 상기 전극패드에 상기 접속구를 정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D)의 전극(X, X', Y, S)중의 적어도 어느 한 전극(X')의 선단에 한 마아킹(M1)을 음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속구(FPC)의 대응부분에 상기 마아킹(M1)에 대응하는 다른 마아킹(M2, M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FPC)의 마아킹(M2')이 상기 접속전극(E, E1)중의 어느 한 접속전극(E1)의 선단에 음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D)의 최외단 전극(X')의 외측으로 인출부(4)를 연장하고 이 인출부(4)에 상기 마아킹(M1)을 음각으로 형성하며, 상기 접속구(FPC)의 대응부분에 대응마아킹(M2)을 양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제1항 또는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X)이 선택전극(Y)과 보조전극(S)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전극(S)의 선단을 접속패턴(K)으로 연결하며, 상기 접속패턴(K)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ㄱ자형태의 접속단(1)을 형성하여 상기 접속단(1)이 상기 인출부(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7303U KR200173166Y1 (ko) | 1996-08-31 | 1996-08-31 |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7303U KR200173166Y1 (ko) | 1996-08-31 | 1996-08-31 |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3702U KR19980013702U (ko) | 1998-06-05 |
KR200173166Y1 true KR200173166Y1 (ko) | 2000-03-02 |
Family
ID=1946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7303U KR200173166Y1 (ko) | 1996-08-31 | 1996-08-31 |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3166Y1 (ko) |
-
1996
- 1996-08-31 KR KR2019960027303U patent/KR2001731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3702U (ko) | 1998-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23466A1 (en) | Flexible substrate and electric circuit structure | |
US7342180B2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100266892B1 (ko) | 표시 장치용 전기 회로 기판 | |
JPH10209581A (ja) | プリント配線板、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KR200173166Y1 (ko) | 평판표시소자의 정합구조 | |
JP2978684B2 (ja) | 液晶表示装置 | |
KR10052267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
JP2001056477A (ja) |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 |
JP2001135896A (ja) | Cof基板 | |
JPH09146680A (ja) | タブレット | |
JP2000194278A (ja) | 電気回路装置 | |
JP2882967B2 (ja) | 液晶表示装置 | |
JPS60237431A (ja) | 表示セルの位置合せ方法 | |
KR100521656B1 (ko) |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 | |
JPH11218778A (ja) | 液晶表示装置の実装方法 | |
JP3554215B2 (ja) | 液晶装置 | |
KR0170428B1 (ko) | 평판표시패널의 접속구조 | |
KR100395814B1 (ko) | 단선 방지형 유연성 프린트 회로 | |
JPH1073838A (ja) |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JP3999844B2 (ja) | 液晶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173165Y1 (ko) |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 |
JPH0613175U (ja) | 回路基板の接続構造 | |
JP2001176407A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2258771A (ja) | 平面表示装置、及びこの製造方法 | |
JPS591247Y2 (ja) | 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