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083Y1 - 배전용 박스 - Google Patents

배전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083Y1
KR200173083Y1 KR2019990020264U KR19990020264U KR200173083Y1 KR 200173083 Y1 KR200173083 Y1 KR 200173083Y1 KR 2019990020264 U KR2019990020264 U KR 2019990020264U KR 19990020264 U KR19990020264 U KR 19990020264U KR 200173083 Y1 KR200173083 Y1 KR 200173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s
flange
bent
main plate
rear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현
Original Assignee
박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현 filed Critical 박호현
Priority to KR2019990020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고하고, 콤팩트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이물질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박스를 제공한다.
그 배전용 박스는 전,후방플랜지(12a;12b) 및 연장플랜지(12c)가 굽힘형성된 상부면(12)과, 전,후방플랜지(14a;14b)가 굽힘형성된 제 1측면(14)과, 전,후방플랜지(16a;16b)가 굽힘형성된 하부면(16)과, 전,후방플랜지(18a;18b) 및 상기 상부면(12)의 연장플랜지(12c)가 안착되어 리벳(36)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곡형성된 고정플랜지(18c)를 갖는 제 2측면(18)을 일체로 구비한 메인플레이트(10);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각각의 면들(12;14;16;18)의 전방플랜지(12a;14a;16a;18a)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24);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각각의 면들(12;14;16;18)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중앙부가 안착되어 리벳(36)에 의해 고정되도록 각각의 측부에 절곡형성된 고정플랜지(30a;30b;30c;30d)와, 각각의 코너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중 이웃하는 2개의 후방플랜지의 양측부가 동시에 접촉고정되는 고정편(34)을 일체로 구비한 후방플레이트(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전용 박스{DISTRIBUTION BOX}
본 고안은 배전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하고, 외관이 콤팩트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내부로 콘크리트와 같은 이물질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 그 건축물 내의 전기 및 통신 라인의 배선을 위하여 벽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선용 배관을 매설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배선용 배관의 설치방향은 그것의 단부에 설치되는 콘센트 또는 스위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주 전원공급선, 또는 다른 본선 이나 분기선에 연결된 각각의 분기배선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분기 및 배선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그 내측에 또는 외측에 일명 풀박스라 칭하는 배전용 박스를 매설하고 있다.
종래의 배전용 박스는 일반적으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박스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배전용 박스는,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금속편들의 모서리들을 상호 용접함으로써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다수의 금속편들을 용접하여 제조함으로 인해 작업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용접기술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맞대기, 겹치기 또는 끼워맞춤 등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된 배전용 박스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용 박스는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상부면(1), 제 1측면(2), 하부면(3) 및 제 2측면(4)을 포함한다. 각각의 면(1;2;3;4)의 전후방 측부에는 각각 플랜지(1a,1b;2a,2b;3a,3b;4a,4b)가 굽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면(1)의 측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편(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측부의 측변에는 상기 상부면(1)의 각각의 고정편(1c)이 삽입되어 굽힘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공(4c)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면(1,2,3,4)에 의해 형성된 반제품의 박스의 후방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배면(5)을 포함한다. 그 배면(5)의 상하부측 및 양측부에는 각각의 면(1,2,3,4)들의 플랜지들중 일측의 플랜지(1a,2a,3a,4a)들이 삽설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체결편(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물론, 배전용 박스의 전방부에는 그 박스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의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커버(6)가, 예컨대 나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용 박스에서는 다소의 문제점이 나타났는 바, 먼저, 각각의 면에는 다수의 플랜지들 뿐 아니라 특히, 상부면 과 제 1측면의 상호간의 연결을 위해 다수의 고정편 및 고정구멍을 별도로 절취 또는 천공형성해야 하며, 또한 각각의 면의 일측의 플랜지를 후면에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로 다수의 체결편을 형성해야함은 물론, 각각의 플랜지와 고정편 및 체결편의 상호간의 결합 및 체결이 곤란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조립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면들의 플랜지와 배면간의 복잡한 끼워맞춤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가 많음으로써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공차로 인한 상부면의 고정편과 제 2측면의 고정공간의 틈새 및 각각의 면의 플랜지와 배면의 체결편간의 틈새로 콘크리트와 같은 이물질이 배전용 박스의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작업이 용이하고, 조립이 견고하고 간단하며, 외관이 콤팩트한 배전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합부 또는 조립부들에서의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와 같은 이물질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용 박스의 전개도.
도 2는 도 1의 배전용 박스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박스의 전개도.
도 4a, 4b 및 4c는 도 3의 선 A-A, 선 B-B 및 선 C-C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 및 6b는 도 5의 선 A-A 및 선 B-B에 의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플레이트 12: 상부면
14: 제 1측면 16: 하부면
18: 제 2측면 20: 고정구멍
24: 커버 28: 나사
30: 후방플레이트 34: 고정편
이 같은 목적들은, 콘크리트 건축물에 내설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내장하거나 각종의 배선을 여러방향으로 분배시키기 위한 배전용 박스에 있어서, 전,후방플랜지 및 연장플랜지가 굽힘형성된 상부면과, 전,후방플랜지가 굽힘형성된 제 1측면과, 전,후방플랜지가 굽힘형성된 하부면과, 전,후방플랜지 및 상기 상부면의 연장플랜지가 리벳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곡형성된 고정플랜지를 갖는 제 2측면을 일체로 구비한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각각의 면들의 전방플랜지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각각의 면들의 후방플랜지의 중앙부가 안착되어 리벳에 의해 고정되도록 각각의 측부에 절곡형성된 고정플랜지와, 각각의 코너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후방플랜지중 이웃하는 2개의 후방플랜지의 양측부가 동시에 접촉고정되는 고정편을 일체로 구비한 후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박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에 표시된 방향성 용어들은 본 고안을 단지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첨부도면을 정면에서 투시할 때 설정된 용어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와 같은 방향성 용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6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박스는 배전용 박스의 조립시 전,후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메인플레이트(10)는 전방플랜지(12a) 및 후방플랜지(12b)가 일체로 굽힘형성된 상부면(12)과, 전방플랜지(14a) 및 후방플랜지(14b)가 굽힘형성된 제 1측면(14)과, 전방플랜지(16a) 및 후방플랜지(16b)가 굽힘형성된 하부면(16)과, 전방플랜지(18a) 및 후방플랜지(18b)가 굽힘형성된 제 2측면(48)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특히, 상부면(12)의 일측에는 그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플랜지(12c)가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게, 조립시 상부면(12)에 연결되는 제 1측면(18)의 일측에는 연장플랜지(12c)가 안착되는 고정플랜지(12d)가 형성된다. 고정플랜지(12d)는, 도 4a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플랜지(12d)의 실제적인 절곡높이, 즉 단차(段差)(t)는 상기 연장플랜지(12c)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면들(12;14;16;18)의 전방플랜지(12a;14a;16a;18a)는 조립시 상호 대향 및 연접하여 전방 개구부(도시않됨)를 형성한다. 물론, 각각의 전방플랜지(12a,14a,16a,18a)에는 고정구멍(20)이 천공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고정구멍(20)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24)의 각각의 측부에 형성된 나사구멍(26)에 대응하며, 각각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 연통구멍에는 나사(28)가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면들(12;14;16;18)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배면이 리벳고정될 수 있도록 완전히 천공되거나 또는 리벳작업시 천공될 위치를 표시하도록 형성된 리벳구멍(22)이 제공된다.
메인플레이트(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는 커버(24)에 의해 개폐되지만, 후방개구부는 후방플레이트(3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특히, 후방플레이트(30)의 각각의 측부에는 고정플랜지가 절곡 형성된다. 즉, 그 후방플레이트(30)에는 메인플레이트(10)의 상부면(12)의 후방플랜지(12b)가 안착되는 제 1고정플랜지(30a), 메인플레이트(10)의 제 1측면(14)의 후방플랜지(14b)가 안착되는 제 2고정플랜지(30b), 메인플레이트(10)의 하부면(16)의 후방플랜지(16b)가 안착되는 제 3고정플랜지(30c), 및 메인플레이트(10)의 제 2측면(18)의 후방플랜지(18b)가 안착되는 제 4고정플랜지(30d)가 절곡형성된다. 각각의 고정플랜지(30a,30b,30c,30d)의 절곡높이, 즉 단차(t')는 그들 각각의 고정플랜지에 안착되는 각각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방플레이트(30)에 각각의 고정플랜지(30a,30b,30c,30d)가 절곡형성됨으로써, 이웃하는 각각의 고정플랜지들 사이, 즉, 후방플레이트(30)의 각각의 코너에는 고정편(34)이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박스의 조립방법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메인플레이트(10)의 각각의 면(12;14;16;18)을 굽히면서 그들 각각의 면에 형성된 후방플랜지(12b;14b;16b;18b)를 후방 플레이트(30)의 각각의 고정플랜지(30a;30b;30c;30d)와 이웃하는 고정편(34)사이에 끼워맞춘다. 이에 따라, 각각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중앙의 내측면은 상응하는 각각의 고정플랜지(30a;30b;30c;30d)에 접하는 반면, 그 후방플랜지의 각각의 양측의 외측면은 해당하는 고정편(34)에 접촉된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메인플레이트(10)의 제 2측면(18)의 고정플랜지(18c)에는 상부면(12)의 연장플랜지(12c)가 굽혀져 안착된다.
이후, 각각의 면들(12;14;16;18)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각각의 리벳구멍(22)과, 후방플레이트(30)의 각각의 고정플랜지(30a;30b;30c;30d)의 각각의 리벳구멍(32)이 일치한 상태에서 리벳(36)으로 리벳팅한다. 또한, 동시에 상부면(12)의 연장플랜지(12c)에 형성된 리벳구멍(22)과 제 2측면(18)에 형성된 리벳구멍(22)에 의해 이루어진 연통구멍에 역시 리벳(36)으로 리벳팅함으로써 박스의 본체를 완전하게 형성한다.
이후, 조립된 박스의 전방 개구부에 나사(28)를 이용하여 커버(24)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최종의 배전용 박스가 완성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시에는 커버(24)를 해제하여 작업한 후, 다시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모든 조립공정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박스는 복잡한 용접공정 없이 끼워맞춤 및 리벳팅방식으로 메인플레이트와 후방 플레이트를 조립할 수 있어, 간단하게 배전용 박스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박스에 의하면, 복잡하고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용접작업, 및 다수의 고정편 및 체결편을 형성하거나 이를 이용한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간단하고 견고하게 리벳팅 작업만으로 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각각의 조립부 또는 결합부에서 틈새의 발생이 방지되어 콘크리트와 같은 이물질의 침입이 완전히 방지됨으로써 제품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콘크리트 건축물에 내설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내장하거나 각종의 배선을 여러방향으로 분배시키기 위한 배전용 박스에 있어서,
    전,후방플랜지(12a;12b) 및 연장플랜지(12c)가 굽힘형성된 상부면(12)과, 전,후방플랜지(14a;14b)가 굽힘형성된 제 1측면(14)과, 전,후방플랜지(16a;16b)가 굽힘형성된 하부면(16)과, 전,후방플랜지(18a;18b) 및 상기 상부면(12)의 연장플랜지(12c)가 안착되어 리벳(36)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곡형성된 고정플랜지(18c)를 갖는 제 2측면(18)을 일체로 구비한 메인플레이트(10);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각각의 면들(12;14;16;18)의 전방플랜지(12a;14a;16a;18a)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24);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각각의 면들(12;14;16;18)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중앙부가 안착되어 리벳(36)에 의해 고정되도록 각각의 측부에 절곡형성된 고정플랜지(30a;30b;30c;30d)와, 각각의 코너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중 이웃하는 2개의 후방플랜지의 양측부가 동시에 접촉고정되는 고정편(34)을 일체로 구비한 후방플레이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고정플랜지(18c)의 단차(t)는 연장플랜지(12c)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후방플레이트(30)의 각각의 고정플랜지(30a;30b;30c;30d)의 단차(t')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각각의 후방플랜지(12b;14b;16b;18b)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박스.
KR2019990020264U 1999-09-20 1999-09-20 배전용 박스 KR200173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64U KR200173083Y1 (ko) 1999-09-20 1999-09-20 배전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64U KR200173083Y1 (ko) 1999-09-20 1999-09-20 배전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083Y1 true KR200173083Y1 (ko) 2000-03-15

Family

ID=1958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264U KR200173083Y1 (ko) 1999-09-20 1999-09-20 배전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0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17Y1 (ko) * 2019-03-06 2019-12-20 주식회사 진명이앤씨 조립형 풀 박스
KR20220165618A (ko) * 2021-06-08 2022-12-15 강성만 건축물 매설용 접이식 스위치 박스 또는 전선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17Y1 (ko) * 2019-03-06 2019-12-20 주식회사 진명이앤씨 조립형 풀 박스
KR20220165618A (ko) * 2021-06-08 2022-12-15 강성만 건축물 매설용 접이식 스위치 박스 또는 전선 박스
KR102605072B1 (ko) 2021-06-08 2023-11-24 강성만 건축물 매설용 접이식 스위치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23925A1 (en) Electrical box with deflectable side walls
US6254207B1 (en) Enclosure, in particular cabinet, especially for electrical equipment
KR200173083Y1 (ko) 배전용 박스
JP4465317B2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US20070111593A1 (en) Terminal box
KR200497502Y1 (ko) 다용도 브라켓 장치
EP0860922B1 (en) Duct junction
KR200208442Y1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판넬 조립구조
JPH09215122A (ja) Hpb形キュービクル
JP2946408B2 (ja) 入口枠装置及び入口部の施工方法
JP3044171B2 (ja) ゲート
KR200163581Y1 (ko) 문틀조립장치
JP2001275228A (ja) 配線用ボックス
JPH0833160A (ja) コンクリート埋設用ボックス
KR200358286Y1 (ko) 단자함
US20060157264A1 (en) Electrical box with deflectable side walls
KR0152840B1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구조
JP3279386B2 (ja) 分電盤の施工方法および分電盤の取付構造
JPH11124945A (ja) スパンドレル
JPH034118Y2 (ko)
KR200224096Y1 (ko) 플로어힌지의 커어버
KR200408167Y1 (ko) 지하철 게이트용 케이블 덕트
JP2554089Y2 (ja) 設備用ボックス
JPH11236740A (ja) ユニットルームの壁パネル連結構造
JPH03410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