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812Y1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Google Patents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2812Y1 KR200172812Y1 KR2019990020010U KR19990020010U KR200172812Y1 KR 200172812 Y1 KR200172812 Y1 KR 200172812Y1 KR 2019990020010 U KR2019990020010 U KR 2019990020010U KR 19990020010 U KR19990020010 U KR 19990020010U KR 200172812 Y1 KR200172812 Y1 KR 2001728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marine life
- fishing
- fishing net
- inflo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양생물이 다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를 이용하여 증기 터어빈을 냉각시키는 원자력 발전소의 취수구를 통하여 해양생물이 다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전소가 해양생물로 인하여 가동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해수가 유입되면서 해양생물이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발전을 정지시키는 것이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네트를 설치할 수 있으나 한번에 대량의 해양생물이 유입되면 무용지물이 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어망(1)을 서로 연결하여 취수구(6)의 해수를 구획하고, 어망(1)은 입구(3)는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진후 선단에 포집망(2)을 설치하여 해양생물이나 이물질이 포집망(2)에 포집되어 해양생물이 취수구(6)로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여 유입되는 것을 포집망에 포집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중단사태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해양생물이 다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를 이용하여 증기 터어빈을 냉각시키는 원자력 발전소의 취수구를 통하여 해양생물이 다량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전소가 해양생물로 인하여 가동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를 바닷가에 설치되며 그 이유는 원자력 발전시 수증기를 발생시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증기 터어빈을 회전시키게 되어 이때증기 터어빈이 회전되면서 고열이 발생되므로 해수를 취수하여 증기 터어빈을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닷가에서 설치되어 초당 수백톤의 물을 취수하여 사용하게 되나, 계절에 따라서 각종 해초류, 어류, 어패류 등 해양생물이 다량 유입되거나 쓰레기와 같은 다양한 해양오염 물질이 유입되므로 인하여 발전이 정지되는 사례가 수차례 발생되었다.
즉, 새우는 12 - 4월에 유입되며, 멸치는 7월에, 해파리는 8-10월에 다량 유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생물은 어느 시간대에 다량 유입될지 알 수 없어서 항상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으며, 네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양 오염물질이나 아주 소량의 해양생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나 일시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발전시설을 정지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새우와 멸치 같은 어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량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었으나, 해파리의 경우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도 퇴치가 불가능하므로 해파리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해파리와 새우등은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많아서 순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대량 유입을 방지할 수 없게된다.
특히, 발전시설이 한번 정지되면 필요한 전기를 공급할 수 없는 단점 외에도 그 손해가 상당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닷가의 취수구 전방에 설치되어 다량의 취수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일시에 해양생물 및 쓰레기가 다량 유입되는 경우에 이들의 유입을 방지하는 어망을 설치하여 발전시설에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유입되는 해양생물 등을 후방의 포집망에 모아서 포집망이 어망과 쉽게 분리되어 포집망에 포집된 다량의 해양생물 등을 짧은 시간내에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어망의 입구는 넓게 형성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게 성형하여 취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유입되는 해양생물 등이 내측의 포집망에 모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형의 입구를 갖는 어망이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하여 다량의 취수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유입되는 해양생물 등이 후방에 연결되는 포집망에 모이도록 하는 동시에, 포집망이 어망과 일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다량의 포집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어망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도 2 의 B-B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도 2 의 C-C선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도 2 의 D-D선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도 1 의 A부 확대도.
도 8 은 본 고안 도 1 의 B부 확대도.
도 9 는. 본 고안 도 1 의 C부 확대도.
도 10 은 본 고안 도 3 의 D부 확대도.
1 : 어망 2 : 포집망
3 : 입구 4 : 해수입구
5 : 방파재 6 : 취수구
7 : 사이드 네트 8 : 상부연결 로프
9 : 하부연결 로프 10, 11 : 어망로프
10' : 어망고정 로프 11' : 납추
12 : 고리 13 : 연결로프
14, 14a, 14b, 14c, 14d : 부유구
15, 15a, 15b, 15c, 15d : 로프
16 : 상부고정 로프 17 : 하부고정 로프
18 : 앙카 19 : 모래주머니
본 고안은 바닷가에 해수입구(4)를 설치하고 나머지는 방파재(5)에 의하여 구별되도록 하며, 넓이를 165m, 평균수심을 7m, 가 되도록 하며, 해수유입량을 480㎥/sec를 충족시키도록 설계함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해수입구(4)의 내측에서 취수구(6)의 전방에 한줄로 어망(1)을 설치하되 상측에는 상부연결 로프(8)를 이용하고 하측에는 하부연결 로프(9)를 이용하여 어망(1)의 고리(12)에서 연결고리(20)를 통하여 연결하여 어망(1)간의 공간이 없이 조밀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양측에서 남는 부분에는 사이드 네트(7)를 이용하여 일자형으로 양측이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어망(1)은 망이 4조각이 되도록 성형하여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하되 사면에서 어망로프(10)를 이용하여 어망고정 로프(10')로서 2겹으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되, 정면의 입구(3)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사면에 어망로프(11)를 연결하어망을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납추(11')를 상,하측에 연결시키며, 입구(3)의 사면 코너에서 고리(12)를 설치한다.
또한 어망(1)은 입구(3)는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그 길이는 20미터정도 되게하며, 입구(3)의 크기는 가로를 4미터 세로를 8미터 정되되게하고 선단에는 포집망(2)을 연결한다.
상기 어망(1)과 포집망(2)은 연결로프(13)를 연결선(13')으로 엮되 한쪽의 연결선(13')을 고정시키고 어망(1)에서 포집망(2)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연결선(13')을 잡아당기면 곧바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어망(1)과 포집망(2)의 연결부분에는 로프(5a)를 통하여 수면상의 부유구(14a)에 연결시켜 포집망(2)과 어망(1)의 후반부가 2/3정도는 물속에서 떠있도록 설치하여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포집망(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어망(1)의 하단에는 하부고정 로프(17)를 연결하고 상단에는 상부고정 로프(16)를 연결하여 로프(15b)의 하측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로프(15b)의 상측은 부유구(14b)에 의하여 수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부고정 로프(16)와 하부고정 로프(17)가 만나는 지점에서 전방으로 로프를 연결하여 지하에 박히는 앙카(18)에 연결되며 그 상측으로 로프(15c)를 통하여 수면상의 부유구(14c)에 연결된다.
또한 다수개의 어망(1)을 설치한후 중앙부분에서는 하부고정 로프(17)를 길게 연결한후 상,하부고정 로프(16)(17)가 만나는 지점에서 로프(15)를 이용하여 모래주머니(19)에 연결하고 로프(15d)를 이용하여 수면상의 부유구(14d)에 연결하며 모래주머니(19)의 내부에는 마대에 모래를 담아서 보관하면 해수에 의하여 바다의 모래가 밀려와 모래주머지(19)는 서서히 지하에 박혀서 어망(1)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어망(1)에 의해서 취수구(6)의 전체면에 해수가 구획되며, 취수구(6)를 통하여 해수를 취수하면 해수입구(4)를 통하여 입수되는 해수는 어망(1)을 통하여 입수되어진다.
이때 어망(1)은 입구(3)는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어서 해수의 이동에 장애를 주지않고 취수되는 해수를 통과시키게 된다.
만약, 해수입구(4)를 통하여 해파리나 새우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어망(1)의 입구(3)를 통하여 유입되며 해수는 그대로 통과되고 해파리 등은 좁아지는 어망(1)에 의하여 내측으로 안내되어진후 포집망(2)에 모이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런경우 해수면에서 포집망(2)이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일정량이 차게되면 포집망(2)을 들어올려서 연결선(13')을 풀어 잡아당기면 연결로프(13)에서 곧바로 해제되므로 포집망(2)만들 분리하여 내용물을 처리하며, 새로운 포집망(2)을 연결하여 연결선(13')으로 연결로프(13)를 통하여 엮어서 고정시킨후 다시 설치하게 된다.
한편 조수의 영향에 의하여 일시에 대량의 해파리나 새우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포집망(2)으로 유도되므로 포집망(2)을 분리하고 새로운 포집망으로 교체하면 되며, 본 고안의 설치방법을 통하여 포집망(2)하나에 1톤 이상의 처리능력이 있으므로 순간적으로 대량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처리능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서해수의 취수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유입되는 것을 모두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참고로 울진 원자력 발전소에서 어망(1)이 설치된후 새우의 최대 유입량은 45분간 40톤이 유입된 사례가 있으나 처리상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의 해수 취수구 전방에 설치되는 어망에 의하여 해수의 취수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해파리나 새우와 같은 해양생물이나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유입물로 인한 발전시설의 중단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해양생물의 대량 유입시에도 어망이 안으로 갈수로 좁아져서 포집망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서 포집망만 간단히 교체하는 방법에 의하여 대량의 유입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어망의 설치에 의하여 해수의 이동에 장애를 일으키지 않으며, 전방으로 로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해수의 이동에 의한 어망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3)
- 다수개의 어망(1)을 서로 연결하여 취수구(6)의 해수를 구획하고, 어망(1)은 입구(3)는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진후 선단에 포집망(2)을 설치하여 해양생물이나 이물질이 포집망(2)에 포집되어 해양생물이 취수구(6)로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제 1 항에서,어망(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어망로프(10)를 어망고정 로프(10')로 고정하며 입구(3)의 사면을 어망로프(11)로 연결하며 사면에 고리(1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제 1 항에서,어망(1)과 포집망(2)의 사이에 연결로프(13)로 연결한후 연결선(13')으로 역어서 연결선(13')을 당기면 해제되도록 하여 포집망(2)에 포집된 것을 처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7418 | 1999-05-03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7418 Division | 1999-05-03 | 1999-05-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2812Y1 true KR200172812Y1 (ko) | 2000-03-15 |
Family
ID=1957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0010U KR200172812Y1 (ko) | 1999-05-03 | 1999-09-16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281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8095B1 (ko) * | 2002-06-03 | 2004-09-13 | 하종근 | 취수구 해양생물 제거장치 |
KR100886012B1 (ko) | 2007-11-12 | 2009-03-03 | 배중수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의 구조 |
-
1999
- 1999-09-16 KR KR2019990020010U patent/KR2001728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8095B1 (ko) * | 2002-06-03 | 2004-09-13 | 하종근 | 취수구 해양생물 제거장치 |
KR100886012B1 (ko) | 2007-11-12 | 2009-03-03 | 배중수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의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5173B1 (ko) |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
US20030198516A1 (en) | Fish safe screened water diversion apparatus | |
KR100927474B1 (ko) |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 |
KR100878839B1 (ko) |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 |
KR20160107039A (ko) | 해파리 포획장치 | |
KR100886012B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의 구조 | |
JP4481251B2 (ja) |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 |
KR200436112Y1 (ko) |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 |
Pitlo Jr | Walleye spawning habitat in Pool 13 of the upper Mississippi River | |
KR20110001609U (ko) | 낙지 포획용 통발 | |
JP4484212B2 (ja) | 水位低下追い込み式定置網 | |
CN113615621B (zh) |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方法 | |
KR200172812Y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
KR101061838B1 (ko) | 해양생물 제어장치 | |
KR200172814Y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그물망 | |
KR20090116872A (ko)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 |
JP5752230B2 (ja) | 異物洋上処理システム | |
KR200324475Y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
KR200202705Y1 (ko) | 트롤형 자치어그물 | |
CN108651397A (zh) | 河口潮间带生物监测网及其构建方法 | |
KR100489206B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및 그 설치구조 | |
CN215602638U (zh) | 一种水产养殖用沉浮笼式兼养殖网箱的捕捞装置 | |
CN105766821B (zh) | 中华鲟仔鱼分层收集网的使用方法 | |
JP4202226B2 (ja) | 取水口への異物流入防止装置 | |
JP3075693B2 (ja) | 定置網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218 Effective date: 20091027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318 Effective date: 20100416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