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843Y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843Y1
KR200171843Y1 KR2019990020179U KR19990020179U KR200171843Y1 KR 200171843 Y1 KR200171843 Y1 KR 200171843Y1 KR 2019990020179 U KR2019990020179 U KR 2019990020179U KR 19990020179 U KR19990020179 U KR 19990020179U KR 200171843 Y1 KR200171843 Y1 KR 200171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soft
out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기중
김현수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20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 하단의 입수구측에 냉.온 원수관을 직접 설치한 다음, 연수기의 하단의 출수구측에 수도밸브 및 샤워기를 설치하므로서 연수기 설치에 따른 타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수탱크의 하단에 수도밸브 및 샤워기를 설치하여 물의 낭비를 최소화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된 연수탱크(11)의 하단 일측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11)의 내부에 입수구(12)와 연결된 입수연장관(13)이 상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연수탱크(11)의 또 다른 하단 일측에 연수화된 물이 샤워기(16) 또는 수도밸브(60)를 통해 토출되는 출수구(15)가 형성되며, 상기 연수탱크(11)의 상단 중앙에는 개폐뚜껑(16a)을 구비한 소금주입구 (16)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수기를 냉.온 원수관에 직접 설치한 다음, 연수기의 하단에 수도밸브 및 샤워기를 설치하므로서 연수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수기를 벽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연수기는 수돗물, 자연수 등의 원수에 포함된 경수성분인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등과 반응하여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므로서 생활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작용은 연수기내에 다량 충진된 이온교환수지가 수행하며, 이 이온교환수지는 합성수지와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이 원수속에 포함된 동일한 부호의 이온과 교환된다.
한편, 상기한 연수기의 구조를 보면, 도 1과 같이 상,하 메쉬망에 의해 격리되는 이온교환수지(2)가 다량 충진된 연수탱크(1)의 상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구(1a)가 형성되고, 연수탱크(1)의 하단에 연수화된 물이 샤워기(3)를 통해 토출되는 출수구(1b)가 형성되며, 상기 연수탱크(1)의 상단 중앙에는 개폐뚜껑(1d)을 구비한 소금주입구(1c)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1)의 상단 일측에는 이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1e)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수기는 먼저 욕실의 벽면에 못을 박은 다음, 이 못에 연수탱크(1) 상단의 고정브라켓(1e)을 걸어 고정하고, 입수구(1a)측에 수도밸브(4)와 연결된 원수공급호스(5)를 연결한 다음, 상기 출수구(1b)측에 샤워기(3)를 연결한다.
따라서, 연수탱크(1)의 입수구(1a)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그 내부에 충진된 이온교환수지(2)에 의해 마그네슘 이온 및 칼슘 이온이 흡착,제거되어 연수화된 다음, 연수탱크(1) 하단의 출수구(1b)를 통해 이와 연결된 샤워기(3)로 출수된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수지(2)에 마그네슘 이온 및 칼슘 이온이 다량 흡착되어 재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시에는 연수탱크(1) 상단의 소금주입구(1c)를 통해 소정량의 소금을 주입하여 이온교환수지(2)에 흡착된 마그네슘 이온 및 칼슘 이온을 탈락시키므로서 소망하는 연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수기는 욕실의 벽면에 못을 박은 다음 이 못에 연수탱크(1) 상단의 고정브라켓(1e)을 걸어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못으로 인한 욕실 벽면의 타일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수도밸브(4)에 다소 긴 원수공급호스(5)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밸브(4)를 차단시키더라도 많은 량의 연수된 물이 불필요하게 배출되므로서 물의 낭비는 물론이고 이온교환수지(2)의 사용기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수기 하단의 입수구측에 냉.온 원수관을 직접 설치한 다음, 연수기의 하단의 출수구측에 수도밸브 및 샤워기를 설치하므로서 연수기 설치에 따른 타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수탱크의 하단에 수도밸브 및 샤워기를 설치하여 물의 낭비를 최소화한 연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연수탱크 12:입수구
13:입수연장관 14:메쉬망
15:출수구 16:소금주입구
16a:개폐뚜껑 17:메쉬망
18:수직격벽 19,19':격실
20:이온교환수지 50:냉.온수관
60:수도밸브 61:샤워노즐
62:연수 배출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의 하단 일측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의 내부에 입수구와 연결된 입수연장관이 상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연수탱크의 또 다른 하단 일측에 연수화된 물이 샤워기 또는 수도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수탱크의 상단 중앙에는 개폐뚜껑을 구비한 소금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입수연장관의 단부와 출수구에 메쉬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냉.온 원수관에 두 연수탱크의 입수구를 각각 연결하고, 두 연수탱크의 각 출수구에 냉.온 조절이 가능하면서 샤워기 및 연수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밸브를 설치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연수탱크 내부에 상부가 유통되게 수직격벽을 형성한 다음, 상기 연수탱크 하단의 상호 배치되는 양측에 메쉬망이 구비된 입수구 및 출수구를 각각 형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소정길이의 연수탱크(11)를 형성한 다음, 상기 연수탱크(11)의 내부에 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되고, 상기 연수탱크(11)의 하단 일측에 냉.온 원수관(50) 과 연결된 연결밸브(51)가 결합되는 입수구(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수탱크(11)의 내부에 입수구(12)와 연결된 입수연장관(13)이 상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입수연장관(13)의 상단에는 이온교환수지(20)의 유입을 방지하는 메쉬망(14)이 설치된다.
상기 연수탱크(11)의 또 다른 하단 일측에 연수화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11)의 상단 중앙에는 개폐뚜껑(16a)을 구비한 소금주입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온 원수관(50)에 두 연수탱크(11)의 입수구(12)를 각각 연결하고, 냉.온 연수탱크(11)의 각 출수구(15)에 이온교환수지(20)의 유입을 방지하는 메쉬망(17)이 설치되며, 상기 출수구(15)의 단부에 냉.온 조절이 가능하면서 샤워기(61) 및 연수 배출구(62)가 구비된 수도밸브(60)를 설치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수탱크(11) 내부에 상부가 유통되게 수직격벽(18)이 형성된 다음, 상기 연수탱크(11) 하단의 상호 배치되는 양측에 메쉬망(14)(17)이 구비된 입수구(12) 및 출수구(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격벽(18)으로 형성된 각 격실(19)(19')에 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되며, 상기 연수탱크(11)의 상단 중앙에는 개폐뚜껑(16a)을 구비한 소금주입구(1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냉.온 원수관(50)과 연결된 연결밸브(51)에 두 연수탱크 (11)의 입수구(12)를 각각 결합시킨 다음, 상기 두 연수탱크(11)의 각 출수구(15) 단부에 냉.온 조절이 가능하면서 샤워기(61) 및 연수 배출구(62)가 구비된 수도밸브(60)를 연결,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도밸브(60)를 개방시키게 되면, 냉.온 원수관(50)에서 입수구(12)를 통해 연수탱크(11)로 원수가 유입되는데, 입수구(12)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입수연장관(13)의 상단에서 연수탱크(11) 내부로 토출되며, 이렇게 토출된 원수는 연수탱크(11) 내부의 이온교환수지(20)와 접촉하면서 원수속의 마그네슘 이온과 칼슘 이온이 이온교환수지(20)의 표면에 흡착,제거되므로서 연수화가 진행되고, 연수화된 물은 출수구(15)를 통해 샤워기(61) 또는 연수 배출구(62)로 배출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수도밸브(60)를 개방시키게 되면, 냉.온 원수관(50) 에서 입수구(12)를 통해 연수탱크(11)로 원수가 유입되는데, 입수구(12)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일측 격실(19)을 따라 상승한 다음, 그 일측의 격실(19')을 따라 하강하여 출수구(15)를 통해 수도밸브(60)의 샤워기(61) 또는 연수 배출구(62)로 배출되는데, 이때 각 격실(19)에 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되어 있어 원수가 연수된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수지(20)에 마그네슘 이온 및 칼슘 이온이 다량 흡착되어 재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시에는 연수탱크(11) 상단의 소금주입구(16)를 통해 소정량의 소금을 주입하여 이온교환수지(20)에 흡착된 마그네슘 이온 및 칼슘 이온을 탈락시키므로서 소망하는 연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수기 하단의 입수구(12)측에 냉.온 원수관(50)을 직접 설치한 다음, 연수기의 하단의 출수구(15)측에 수도밸브(60)를 설치하므로서 연수기 설치에 따른 타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수탱크(11)의 하단에 수도밸브(60)를 설치하여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된 연수탱크(11)의 하단 일측에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11)의 내부에 입수구(12)와 연결된 입수연장관(13)이 상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연수탱크(11)의 또 다른 하단 일측에 연수화된 물이 샤워기(61) 또는 수도밸브(60)를 통해 토출되는 출수구(15)가 형성되며, 상기 연수탱크(11)의 상단에는 개폐뚜껑(16a)을 구비한 소금주입구(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연장관(13)의 단부와 출수구(15)에 메쉬망(14)(17)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냉.온 원수관에 두 연수탱크(11)의 입수구(12)를 각각 연결하고, 두 연수탱크(11)의 각 출수구(15)에 냉.온 조절이 가능하면서 샤워기(61) 및 연수 배출구 (62)가 구비된 수도밸브(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탱크(11) 내부에 상부가 유통되게 수직격벽(18)을 설치하여 격실(19)(19')을 형성한 다음, 상기 연수탱크(11) 하단의 상호 반대되는 양측에 격실(19)(19')과 연통되게 메쉬망(14)(17)이 구비된 입수구(12) 및 출수구(15)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2019990020179U 1999-09-18 1999-09-18 연수기 KR200171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179U KR200171843Y1 (ko) 1999-09-18 1999-09-18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179U KR200171843Y1 (ko) 1999-09-18 1999-09-18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843Y1 true KR200171843Y1 (ko) 2000-03-15

Family

ID=1958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179U KR200171843Y1 (ko) 1999-09-18 1999-09-18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8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JP2004124853A (ja) 両出し吐出口を有する流路切替機能付きエアポンプ
KR100343516B1 (ko) 연수기
KR200171843Y1 (ko) 연수기
KR100947986B1 (ko)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WO2021006481A1 (ko) 잔수배출장치
KR20090009359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200262862Y1 (ko)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KR20090009360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200240602Y1 (ko) 이온자화 연수기
CN218757843U (zh) 一种水封结构及水封地漏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CN109431412B (zh) 集成式洗碗机
KR0131678Y1 (ko) 분뇨 정화조
KR100700401B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KR200429299Y1 (ko)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KR200195584Y1 (ko) 세면기 팝업식 트랩용 중간 몸통
KR200266046Y1 (ko) 연수기용 급수 분배기
KR200189747Y1 (ko) 절수용 자동급수 장치
JPH10337404A (ja) 油水分離槽
JP2004156527A (ja) 吐出口を別に設けた流路切替機能付きエアポンプ
KR200305382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호스연결구조
KR200370283Y1 (ko) 상수도 침전지 바닥의 블록구조
KR20130085087A (ko) 배출선택관이 구비된 변기
KR19990003670A (ko) 연수재생장치가 내장된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