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99Y1 -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 Google Patents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99Y1
KR200429299Y1 KR2020060020625U KR20060020625U KR200429299Y1 KR 200429299 Y1 KR200429299 Y1 KR 200429299Y1 KR 2020060020625 U KR2020060020625 U KR 2020060020625U KR 20060020625 U KR20060020625 U KR 20060020625U KR 200429299 Y1 KR200429299 Y1 KR 200429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eration
diffuser
aeration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인숙
Original Assignee
염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인숙 filed Critical 염인숙
Priority to KR2020060020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촉폭기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기조(101)내부로 폭기실(1)과 침전실(2)을 격벽(3)으로 분리구성한 다음 상기 폭기실(1) 상부로 유입구(11)를 마련하고 상기 침전실(2) 상부로는 배출구(21)를 각각 마련하되, 상기 폭기실(1) 내부에 미생물을 포집하는 미생물접촉재(1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하부위치로 다수개의 분사공(41)을 가진 산기관(4)을 마련하여 상기 산기관(4)을 연결관(42)으로 폭기조(101) 외부에 마련된 공기주입장치(5)와 연결구성한 통상의 접촉폭기조에 있어서,상기 폭기조(101)의 폭기실(1)과 침전실(2) 사이에 보조정화실(6)을 별도 마련하여 보조정화실(6)의 하부는 폭기실(1)과 연통되게 하고 보조정화실(6) 상부는 침전실(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보조정화실(6) 내부로 자갈이 저장되는 자갈실(61)과 모래가 저장되는 모래실(62) 그리고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실(63)을 순차적으로 마련하고, 상기 폭기실(1) 내부에 설치된 산기관(4)은 그 일측면으로만 다수개의 분사공(41)을 형성함과 동시에 산기관(4)과 연결관(42)의 일측단으로 각각 결합돌기(43)와 결합홈(44)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상의 폭기조에 있어 상기 폭기조의 폭기실 하부 일정위치로 산기관을 설치하되, 상기 산기관을 공기의 분사력을 이용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 폭기실 내부로 공기가 보다 고르게 공급되어 미생물의 증식을 도모하고 나 아가 상기 폭기조내의 폭기실과 침전실 사이에 보조정화실을 별도 마련하여 생활오수의 정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되게 하였다.
폭기조, 미생물, 자갈, 모래, 산기관

Description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AERATION TANK}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산기관의 실시상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폭기실 11 : 유입구
12 : 미생물접촉재 13 : 로프
13' : 실 101 : 폭기조
2 : 침전실 21 : 배출구
3 : 격벽 4 : 산기관
41 : 분사공 42 : 연결관
43 : 결합돌기 44 : 결합홈
45 : 망 5 : 공기주입장치
6 : 보조정화실 61 : 자갈실
62 : 모래실 63 : 미생물실
본 고안은 접촉폭기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접촉폭기조를 이용한 각종 생활폐수의 정화 작업시 접촉폭기조 내로 공기가 보다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폭기조 내에 보조 정화실을 마련하여 그 정화 효율을 보다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접촉폭기조는 일반 주택이나 건물 등에 시공되어 사용되는 정화장치이다 .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접촉폭기조는 통상 폭기조내부로 폭기실과 침전실을 격벽으로 분리구성한 다음 상기 폭기실 상부로 유입구를 마련하고 상기 침전실 상부로는 배출구를 마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폭기실 내부에는 미생물을 포집하는 미생물접촉재가 설치되어짐과 동시에 그 하부위치로 다수개의 분사공을 가진 산기관이 마련되어 폭기조 외부에 마련된 공기주입장치와 연결되어져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미생물접촉재는 통상 내심로프 외부로 다량의 가는 실을 연결하여 미생물이 포집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폭기조는 통상 주택이나 건물에 시공되어 상기 폭기실의 유입구로 주택 또는 건물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수가 유입되어 폭기조의 폭기실에 저장되면 미생물접촉재에 의해 미생물반응으로 오수가 정화되는데, 이때 상기 정화효율의 상승을 위하여 미생물접촉재 하측부에 마련된 산기관으로 다량의 공기를 분출시켜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켜 준다.
또한 상기에 의해 정화된 오수는 폭기실에서 침전실로 자연배출되어 침전실 상부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폭기조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폭기조는 상기 오수의 정화를 보다 도모하기 위하여 폭기실 내부로 산기관을 통해 다량의 공기를 주입시 상기 산기관이 폭기실 하부 위치에 제한적으로 고정설치되어져 있어 폭기조 전체에 공기를 고르게 공급하여 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 폭기실 내에 마련된 미생물접촉재로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공기를 고르게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산기관을 폭기조 하부 일정위치에 고정설치하고 있어 공기가 미생물접촉재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지 않아 미생물이 편중되게 증식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또 이로 인해 폭기실 내부의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폐단을 가지게 되었던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통상의 폭기조에 있어 상기 폭기조의 폭기실 하부 일정위치로 산기관을 설치하되, 상기 산기관을 공기의 분사력을 이용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 폭기실 내부로 공기가 보다 고르게 공급되어 미생물의 증식을 도모하고 나아가 상기 폭기조내의 폭기실과 침전실 사이에 보조정화실을 별도 마련하여 생활오수의 정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토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폭기조(101)내부로 폭기실(1)과 침전실(2)을 격벽(3)으로 분리구성한 다음 상기 폭기실(1) 상부로 유입구(11)를 마련하고 상기 침전실(2) 상부로는 배출구(21)를 각각 마련하되,
상기 폭기실(1) 내부에 미생물을 포집하는 미생물접촉재(1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하부위치로 다수개의 분사공(41)을 가진 산기관(4)을 마련하여 상기 산기관(4)을 연결관(42)으로 폭기조(101) 외부에 마련된 공기주입장치(5)와 연결구성한 통상의 접촉폭기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1)의 폭기실(1)과 침전실(2) 사이에 보조정화실(6)을 별도 마련하여 보조정화실(6)의 하부는 폭기실(1)과 연통되게 하고 보조정화실(6) 상부는 침전실(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보조정화실(6) 내부로 자갈이 저장되는 자갈실(61)과 모래가 저장되는 모래실(62) 그리고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실(63)을 순차적으로 마련하고,
상기 폭기실(1) 내부에 설치된 산기관(4)은 그 일측면으로만 다수개의 분사공(41)을 형성함과 동시에 산기관(4)과 연결관(42)의 일측단으로 각각 결합돌기(43)와 결합홈(44)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폭기조(101)의 폭기실(1) 내로 다량의 생활오수가 저장되면 폭기실(1) 내부에 마련된 미생물접촉재(12)에 의해 오수가 정화되어지고 그와 동시에 정화된 오수가 보조정화실(6)을 경유하여 침전실(2)에 자연적으로 유입,저장되면서, 그 상부의 배출구(21)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폭기실(1)에서 정화된 오수가 보조정화실(6)을 경유하여 침전실(2)로 유입될 때에 상기 보조정화실(6)에 마련된 자갈실(61)과 모래실(62) 그리고 미생물실(6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다시 한번 오수가 정화되어 진다.
즉, 폭기조(101) 내에 저장된 오수는 폭기실(1) 내의 미생물접촉재(12)에 의해 먼저 미생물반응으로 정화된 다음 보조정화실(6)의 자갈실(61)과 모래실(62) 그리고 미생물실(63)을 경유하면서 부유물질들이 걸러짐과 동시에 다시 한번 정화되어 상등수만이 침전실(2)로 유입,저장되어 그 상부의 배출구(21)를 통해 폭기조(10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정화실(6) 내부에 마련된 자갈실(61)과 모래실(62) 그리고 미생물실(63)은 각각 해당저장물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구멍을 가지는 망(45)으로 각각 개별구성토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폭기실(1)에는 미생물접촉재(12)로 미생물의 증식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하여 산기관(4)이 설치되어져 있는데,
이때, 상기 산기관(4)은 그 일측단으로 연결관(42)이 연결구성됨과 동시에 산기관(4) 일측면으로 다수개의 분사공(41)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산기관(4)과 연결관(42)은 그 일측단으로 각각 결합돌기(43)와 결합홈(44)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결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산기관(4)으로 공기의 분사시 공기주입장치(5)와 연결된 연결관(42)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는 산기관(4)의 분사공(41)을 통해 분사되고 그와 동시에 산기관(4)이 공기의 분사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폭기실(1) 내부 전체에 고르게 공기를 분사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산기관(4)이 연결관(42) 끝단으로 끼움결합되어져 있음과 동시에 산기관(4) 일측면으로만 분사공(41)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산기관(4)의 분사공(41)으로 공기가 분사될 때에 그 분사력에 의해 산기관(4)이 연결관(4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산기관(4)이 공기의 분사력에 회전하게 되면 폭기실(1) 내부 전체에 고르게 공기를 공급시켜 줄 수 있어, 그 내부에 구성된 미생물접촉재(12)로 미생물의 증식을 보다 더 촉진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폭기실에 마련된 미생물접촉재로 공기를 보다 고르게 공급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켜 오수의 정화효율을 보다 향상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폭기실과 침전실 사이에 보조정화실을 추가 마련하여 폭기실에서 정화된 오수가 다시 한번 보조정화실에서 추가정화되어 상등수만이 침전실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

  1. 폭기조(101)내부로 폭기실(1)과 침전실(2)을 격벽(3)으로 분리구성한 다음 상기 폭기실(1) 상부로 유입구(11)를 마련하고 상기 침전실(2) 상부로는 배출구(21)를 각각 마련하되, 상기 폭기실(1) 내부에 미생물을 포집하는 미생물접촉재(1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하부위치로 다수개의 분사공(41)을 가진 산기관(4)을 마련하여 상기 산기관(4)을 연결관(42)으로 폭기조(101) 외부에 마련된 공기주입장치(5)와 연결구성한 통상의 접촉폭기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1)의 폭기실(1)과 침전실(2) 사이에 보조정화실(6)을 별도 마련하여 보조정화실(6)의 하부는 폭기실(1)과 연통되게 하고 보조정화실(6) 상부는 침전실(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보조정화실(6) 내부로 자갈이 저장되는 자갈실(61)과 모래가 저장되는 모래실(62) 그리고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실(63)을 순차적으로 마련하고,
    상기 폭기실(1) 내부에 설치된 산기관(4)은 그 일측면으로만 다수개의 분사공(41)을 형성함과 동시에 산기관(4)과 연결관(42)의 일측단으로 각각 결합돌기(43)와 결합홈(44)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KR2020060020625U 2006-08-01 2006-08-01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KR200429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25U KR200429299Y1 (ko) 2006-08-01 2006-08-01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25U KR200429299Y1 (ko) 2006-08-01 2006-08-01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99Y1 true KR200429299Y1 (ko) 2006-10-19

Family

ID=4177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25U KR200429299Y1 (ko) 2006-08-01 2006-08-01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27328Y (zh) 一体化自动节水设备
CN108726678A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2224070U (zh) 一种抛弃型组合式膜组件
KR200429299Y1 (ko) 수질개선효과가 뛰어난 정화조용 접촉폭기조
CN104291519B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CN201338980Y (zh) 玻璃钢化粪池
KR200420493Y1 (ko) 콘크리트 정화조
CN201080462Y (zh) 软连接组合式化粪池
CN208732727U (zh) 一种一体化小型污水处理装置
KR20019622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CN215975196U (zh) 一种自均衡气量功能无堵塞穿孔曝气管装置
CN108408908A (zh) 一种一体化小型污水处理装置和污水处理方法
KR100974488B1 (ko) 정화조의 칸막이
KR100313426B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N205024042U (zh) 一种一体化分散式污水生化处理装置
CN102302899A (zh) 一种抛弃型组合式膜组件
CN214734851U (zh) 一种具有气提清洗曝气结构的农村污水处理设备
KR200188805Y1 (ko)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KR100285798B1 (ko) 접촉폭기식 합병정화조
KR20017281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N207418372U (zh) 一种圆形膜池
CN212403881U (zh) 一种管式反硝化生物过滤反应器
CN211774184U (zh) 家用净水器废水循环利用装置
CN210216645U (zh) 一种给排水管道的连接装置
CN202248231U (zh) 排水汇流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