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666Y1 - 커넥터소켓 - Google Patents

커넥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666Y1
KR200171666Y1 KR2019940039502U KR19940039502U KR200171666Y1 KR 200171666 Y1 KR200171666 Y1 KR 200171666Y1 KR 2019940039502 U KR2019940039502 U KR 2019940039502U KR 19940039502 U KR19940039502 U KR 19940039502U KR 200171666 Y1 KR200171666 Y1 KR 200171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socket
support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622U (ko
Inventor
홍성학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40039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666Y1/ko
Publication of KR960025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소켓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설치하여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소켓의 전면 양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바는 커넥터에 당접되는 헤드부와, 스프링 수장박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지는 목부와, 스프링의 탄발력을 제공받는 바텀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커넥터 소켓에서 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착탈의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성을 향상시켜 준다.

Description

커넥터 소켓
제 1 도는 일반적인 커넥터 소켓의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소켓 2 : 핀부
3 : 수장박스 4 : 지지바
5 : 스프링
본 고안은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 소켓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설치하여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프린터, 컴퓨터, 단말기 등에서 전송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한 커넥터 연결 장치인 소켓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커넥터 소켓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 전면 양측에 나사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소켓에 끼워진 커넥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나사를 상기 소켓(10)의 나사공(11)에 맞춰 조여서 고정시키도록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커넥터의 조립시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를 빠른 시간내에 착탈할 수 업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커넥터를 소켓에 끼운후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의 양단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도 널리 쓰이는데, 이는 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반면에 장기간 사용시에는 와이어의 피로로 인하여 커넥터가 잘 빠지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커넥터 소켓의 전면 양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지지바는 커넥터에 당접되는 헤드부와 스프링 수장박스에 슬라이등 가능토록 끼워지는 목부와 스프링의 탄발력을 제공받는 바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커넥터가 소켓에 끼워졌을때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지지바의 헤드부가 커넥터의 외면을 당접 밀착시켜 주므로 커넥터가 소켓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 소켓(1)의 전면 핀부(2) 양측에 스프링을 수장한 수장박스(3)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수장박스(3)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지며 스프링의 탄발력을 제공받아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바(4)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A-A 선 단면도로, 커넥터 소켓(1) 핀부(2) 양측에 있는 수장박스(3) 내에 스프링(5)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지바(4)의 바텀부가 상기 스프링(5)과 당접되어 탄발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헤드부는 커넥터 외면과 당접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지지바(4)의 목부가 상기 수장박스(3)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홀(3-1)에 끼워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지지바(4)의 바텀부가 상기 스프링(5)의 탄발력을 받으며 이 탄발력을 수장박스(3)에 끼워져 있는 목부가 안내홀(3-1)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커넥터에 당접되는 헤드부에 탄발력을 전달하여 주므로 상기 헤드부가 커넥터의 외면에 당접 밀착되어 커넥터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준다.
본 고안 커넥터 소켓을 사용시에는, 커넥터 소켓(1)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바(4)를 양측으로 밀어서 스프링을 압축시킨 다음 커넥터를 연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지지바(4)가 원위치 되어 지지바(4)의 헤드부가 커넥터의 외면에 밀착 당접하므로 커넥터가 소켓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며, 또한 반대로 커넥터를 소켓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좌우 양측으로 지지바(4)를 밀면서 커넥터를 분리하면 지지바(4)는 좌우 양측으로 밀려갔다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커넥터 소켓에서 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착탈의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성을 향상시켜 준다.

Claims (2)

  1. 전자기기의 커넥터 소켓에 있어서, 커넥터 소켓의 전면 양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커넥터에 당접되는 헤드부와, 스프링 수장박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지는 목부와, 스프링의 탄발력을 제공받는 바텀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소켓.
KR2019940039502U 1994-12-31 1994-12-31 커넥터소켓 KR200171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502U KR200171666Y1 (ko) 1994-12-31 1994-12-31 커넥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502U KR200171666Y1 (ko) 1994-12-31 1994-12-31 커넥터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22U KR960025622U (ko) 1996-07-22
KR200171666Y1 true KR200171666Y1 (ko) 2000-03-02

Family

ID=1940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502U KR200171666Y1 (ko) 1994-12-31 1994-12-31 커넥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6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22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31838A (ja) コネクタ
US20050287860A1 (en) Interlocking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07147170A (ja) プラグ係止機構付きコンセント
KR960028721A (ko) 카드수납 커넥터용 만능 접지 클립
JP2004039622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H0419744Y2 (ko)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KR900005847A (ko)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KR200171666Y1 (ko) 커넥터소켓
CA2031899C (en) Ejector mechanism
JP2000252020A (ja) コネクタ
US2003023602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711678A (en) High pin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US7182648B2 (en) Optical-electric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having coil spring
US6094357A (en) Product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which is held in a mechanically stable manner and is easy to remove
KR200158830Y1 (ko)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JPH07153526A (ja) インレットコネクタ
EP1487062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mating contact and a connection object
KR20000015116U (ko) 보조 접속기
KR20050106723A (ko) 콘센트
EP0976180A1 (en) Surface mount connector assembly for docking-style connector applications
CN214374912U (zh) 连接器及具有其的测试装置
JPH10134859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KR0112409Y1 (ko) 어스용 단자 결합장치
KR900005024Y1 (ko) 정류자 모우터의 브러시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