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530Y1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530Y1
KR200171530Y1 KR2019990018935U KR19990018935U KR200171530Y1 KR 200171530 Y1 KR200171530 Y1 KR 200171530Y1 KR 2019990018935 U KR2019990018935 U KR 2019990018935U KR 19990018935 U KR19990018935 U KR 19990018935U KR 200171530 Y1 KR200171530 Y1 KR 200171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section
weight
distribu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준
Original Assignee
노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준 filed Critical 노승준
Priority to KR2019990018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530Y1/ko
Priority to JP2000229882A priority patent/JP2001079110A/ja
Priority to US09/654,983 priority patent/US6431939B1/en
Priority to DE10043886A priority patent/DE10043886A1/de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3Fluid-like particles, e.g. gun shot or s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체, 조립이 용이하고 중량을 자유로이 가감할 수 있도록 하며 몸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복부 및 허리등의 인체부위에 강약이 반복되는 맛사지 또는 지압의 효과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유희성도 가일층 향상시킨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동일크기로 연속반복되어 꽃모양의 고리를 이루는 호형상의 배부를 내부가 중공되고 외향만곡지게 형성하고, 상기 배부가 연결되는 마디부의 돌출된 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마디부에 이와 대응되는 개수로 고무패드를 끼워고정하며, 상기 배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외부에서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하고, 상기 배부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해체,조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각 사용자마다 원하는 최적의 중량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중공된 내부에 소금물이나 소형의 쇠구슬, 고체미립자 등을 충전하여 무게조절이 가능하며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여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훌라후프 {HULAHOOP}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체, 조립이 용이하고 충전물의 양에 따라 중량을 자유로이 가감할 수 있으며 몸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복부 및 허리등의 인체부위에 강약이 반복되는 맛사지 또는 지압효과를 극대화시킨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남녀노소 구별없이 신체단련을 겸하여 오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훌라후프는 단순히 수지관으로 구성된 일정크기의 원형링 형태의 것으로서 체조 또는 간단한 허리운동의 보조기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무게가 비교적 가벼워 초보자인 경우에는 돌리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돌린다 하더라도 단순히 가벼운 원형링을 회전시킨다는 의미밖에 없기 때문에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므로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훌라후프의 유희성을 배가시키고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형예들이 제안되었다.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공개 제97-467호에는 [무게조정이 가능한 훌라후프]가 개시되어 있는 바, 개시된 바에 따르면 훌라후프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훌라후프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허리의 맛사지 효과를 배가시키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개시된 훌라후프는 기존의 원형링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단순히 무게 조절이 가능한 나사를 체결한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훌라후프의 유희성을 증진시키지 못하며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다수의 나사가 돌출되어 있어 안전성이 배제된 단점을 가진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실용공개 제99-3801호에는 [코일링으로 구성된 유희용 훌라후프]가 개시되어 있는 바, 개시된 바에 따르면 훌라후프를 코일링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훌라후프를 사용할 때에 회전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코일로된 훌라후프의 직경에 변화를 꾀함으로써 그 유희성을 배가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훌라후프의 경우에는 단순히 그 유희성만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써 훌라후프를 통한 맛사지나 지압효과가 경감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다른 일예는, 대한민국 실용공개 제99-33378호에는 [지압구가 결합된 훌라후프]가 공개되어 있는 바, 여기에는 별도의 지압구를 훌라후프의 주연 일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훌라후프의 회전시 지압구에 의한 사용자 신체의 지압효과를 배가시킨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실용공개 제97-467호에 기재된 바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일한 단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기존과 같은 단순한 원형링 형상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유희성을 증진시키고 동시에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하며 중량(무게)을 자유로이 가감할 수 있도록 하여 지압 및 맛사지 효과를 배가시키도록 한 훌라후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중량조절을 위해 충전된 충전물의 요동에 의해 훌라후프의 회전시 자연스럽게 진동을 유발토록 함으로써 이러한 진동을 전달받은 인체부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동일크기로 연속반복되어 꽃모양의 고리를 이루는 호형상의 배부를 내부가 중공되고 외향만곡지게 형성하고, 상기 배부가 연결되는 마디부의 돌출된 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마디부에 이와 대응되는 개수로 고무패드를 끼워고정하며, 상기 배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외부에서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하고, 상기 배부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해체,조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사용시 충전물의 운동관계를 설명하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체결부, 11 : 제1절부,
12 : 제2절부, 13 : 걸림턱,
14 : 유니언너트, 15 : 씰링수단,
20 : 배부, 30 : 마디부,
40 : 투시부, 50 : 고무패드,
52 : 삽입홀.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예시적인 방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훌라후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훌라후프는 외향만곡진 호형상의 배부(20)가 다수개 연결되어 대략 원형의 고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배부(20)가 연결되는 단부 양측에는 상기 훌라후프의 내측을 향하여 다소 뾰족하게 돌출된 마디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부(20)는 관상체인 훌라후프의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투명하게 형성한 투시부(4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3개 정도를 투명하게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투시부(40)는 중공된 훌라후프의 내부에 무게조절을 위해 장입한 충전물, 이를테면 물, 특히 소금물과 같은 액체나 혹은 작은 쇠구슬, 모래와 같은 고체미립자와 같은 것이 충전된 상태를 용이하게 가늠하거나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훌라후프의 배부(20)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훌라후프의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3 ∼4 개 형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10)는 관상체인 훌라후프의 중공부로 상기 충전물을 용이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도 2는 체결부인 도 1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체결부(10)는 제1절부(11)와, 제2절부(12)와, 이들을 연결하는 유니언너트(14)와, 상기 제1절부(11) 및 제2절부(12) 사이에 개재되는 씰링수단(15)으로 구성된다.
제1절부(11)는 배부(20)의 대략 중간부분이 절단된 상태에서 그 단면이 대략 'ㄴ'형상을 갖고 그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상을 이루게된다.
제2절부(12)는 상기 배부(20)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상기 제1절부(11)의 대향단으로서 그 단부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니언너트(1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2절부(12)의 걸림턱(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절부(11)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그 내주연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씰링수단(15)은 상기 너트(14)에 의해 상호 체결된 제1절부(11) 및 제2절부(12)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훌라후프 내부의 빈 공간에 채워진 충전물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씰링수단(15)으로는 예컨대, 고무와 같은 연질의 밀봉재이면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제1절부(11)와 유니언너트(14)가 맞닿는 부분에는 고무패킹과 같은 별도의 씰링수단(16)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유이언너트(14)의 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체결부(10)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에 의해 대략 꽃모양의 훌라후프가 형성되는 바, 그 조립순서를 보면 먼저 제1절부(11) 및 너트(14)가 아이들(idle)하게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2절부(12)를 맞대어 조립하되 그 접촉단면 사이에 씰링수단(15)을 개재시킨 후 상기 유니언너트(14)를 수회 회전시켜 제1절부(1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유니언너트(14)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몇개의 체결부(10)가 더 구비되어 있다면, 각 체결부(10)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용이하게 훌라후프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훌라후프의 내측을 향해 다소 뾰족하게 돌출된 마디부(30)에는 각각 대응되는 개수의 고무패드(50)가 끼워진다.
상기 고무패드(50)는 훌라후프의 회전운동시 상기 마디부(30)가 인체에 해를 입힐지도 모를 불측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와 마디부(30)가 접촉시 완충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50)의 일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원통형의 삽입홀(5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52)은 상기 마디부(30)의 돌출부분, 즉 훌라후프의 회전운동시 인체와 접촉되는 돌출부분에 형성하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52)에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원적외선이나 혹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재질, 예컨대 세라믹, 옥, 마그네트와 같은 재질의 물체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최대한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훌라후프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훌라후프의 임의부위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밀면서 허리부위를 전후좌우로 흔들어주게 되면 상기 훌라후프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훌라후프의 중공된 내부에는 물, 특히 소금물, 작은 쇠구슬 혹은 분말상, 과립상의 고체미립자가 체결부(10)를 통해 충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훌라후프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물의 종류와 충전되는 양에 따라서 훌라후프의 무게(중량)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훌라후프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중 어느 한 방향,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훌라후프가 반시계방향인 (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충전물은 원심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시계방향인 (나)방향으로 강한 이동성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물은 지속적인 원심력을 받고 있으므로 훌라후프의 회전중심축의 대향측, 즉 중공된 공간중 내측벽보다는 외측벽쪽으로 치우쳐 훌라후프의 바깥쪽으로 강하게 튕겨나가려고 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충전물은 마디부(30)에서 집중적인 하중을 가하게 되고 점자 배부(20)를 따라 하중이 경감된 후 서서히 증가되면서 이동되다가 다시 마디부(30)와 접하면서 강한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에 의한 운동량의 변화는 빗금친 부분(U)에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면, 훌라후프 내에서 (나)방향으로 이동되는 충전물에 의해 상기 후프는 (다)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충전물은 관성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지속적인 직선운동을 하려고 하지만 마디부(30)에 부딪히면서 이동하려는 관성에 방해를 받게 되므로 후프는 진동하게 되고 각 마디부(30)는 사용자의 인체와 접촉하면서 이러한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프는 기존과 같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약,강을 반복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발생된 진동이나 혹은 충격을 가하는 마디부(30)는 인체와 접촉되면서 자연스런 맛사지 기능 혹은 지압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마디부(30)에는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이나 자력을 말하는 물질, 상술한 바와 같은 세라믹, 옥, 마그네트 등을 별도로 내장시켜 마디부(30)의 인체 접촉시 이들의 작용이 부가됨으로써 혈액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투시부(40)를 통해 충전된 내용물 및 충전된 양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중량을 가진 훌라후프의 운동을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훌라후프가 일정하게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강약을 간헐적으로 반복하면서 회전되기 때문에 맛사지, 지압효과가 해당 부위에 집중되며 사용시 유희성을 촉발시키는 장점도 구유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훌라후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훌라후프의 내부에 충전물을 용이하게 충전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훌라후프의 무게(중량)를 용이하게 조절토록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훌라후프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충전물의 유동성에 의해 간헐적인 회전운동 유발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과 인체와 접촉되는 마디부의 충격에 의해 지압 및 맛사지 효능이 극대화되며 혈액순환이 촉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장의 연동운동이 활발해지고 장기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배변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세째, 충전물의 요동에 의해 훌라후프가 강약을 간헐적으로 반복하며 회전되기 때문에 특히 배, 허리부분의 피하지방층에 집중적인 운동효과를 제공하여 지방제거효능이 있게 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자석, 세라믹, 옥 등을 삽입하여 사용가능하므로 요통 및 여성의 생리통 등의 개선효과도 제공한다.
네째, 특히 마디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무패드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훌라후프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운동효과를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동일크기로 연속반복되어 꽃모양의 고리를 이루는 내부가 중공되고 외향만곡진 호형상의 배부(20)와,
    상기 배부(20)가 연결되는 마디부(30)의 돌출된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마디부(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끼워지는 고무패드(50)와,
    상기 배부(2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투명하게 형성된 투시부(40)와,
    상기 배부(20)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해체,조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50)는 상기 마디부(30)의 돌출된 부위측과 접촉되는 외면에 종방향을 따라 세라믹, 옥, 마그네트 등이 삽입설치될 수 있는 환형의 삽입홀(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는 상기 배부(20)의 중간부분이 절단된 상태에서 그 단면이 대략 'ㄴ'형상을 갖고 그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1절부(11)와,
    상기 제1절부(11)의 대향단으로서 그 단부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된 제2절부(12)와,
    일단부는 상기 제2절부(12)의 걸림턱(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절부(11)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그 내주연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유니언너트(14)와,
    상기 유니언너트(14)에 의해 상호 체결된 제1절부(11) 및 제2절부(12)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도록 개재되는 씰링수단(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KR2019990018935U 1999-09-07 1999-09-07 훌라후프 KR200171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35U KR200171530Y1 (ko) 1999-09-07 1999-09-07 훌라후프
JP2000229882A JP2001079110A (ja) 1999-09-07 2000-07-28 フラフープ
US09/654,983 US6431939B1 (en) 1999-09-07 2000-09-05 Hula hoop
DE10043886A DE10043886A1 (de) 1999-09-07 2000-09-06 Hula-Hoop-Reif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35U KR200171530Y1 (ko) 1999-09-07 1999-09-07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530Y1 true KR200171530Y1 (ko) 2000-03-15

Family

ID=1958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935U KR200171530Y1 (ko) 1999-09-07 1999-09-07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5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61Y1 (ko) 2010-06-30 2012-05-15 엄신영 원형 스트레칭 운동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61Y1 (ko) 2010-06-30 2012-05-15 엄신영 원형 스트레칭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79110A (ja) フラフープ
JP3753695B2 (ja) フープ
KR200171530Y1 (ko) 훌라후프
KR100289032B1 (ko) 훌라후프
US6379288B1 (en) Variably-weighted exercise hoop
US11298629B2 (en) Ball toy
US2979858A (en) Toy
US10905625B2 (en) Massage toy with integrated moveable balls
KR100639806B1 (ko) 골프연습용 벨트
KR19990016073A (ko) 허리운동기구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KR200173072Y1 (ko) 훌라후프
KR200463355Y1 (ko) 신축성이 있는 훌라후프
KR20000059433A (ko) 두 개의 공을 한 개의 봉으로 연결된 공
KR200171589Y1 (ko) 탄성고리 훌라후프
KR900006227Y1 (ko) 안마기 겸용 씨트카바
JP2002011112A (ja) 健康腰振り回転フープ式運動遊戯具
KR200184405Y1 (ko) 무게가변형 운동용후프
KR200306477Y1 (ko) 착탈식 탄성 타격 지압볼이 형성된 훌라후프
KR200176756Y1 (ko) 중량물을 갖는 훌라우프
KR100443207B1 (ko) 지압 기능을 구비한 훌라후프
JP2005230244A (ja) 健康器具
KR200187844Y1 (ko) 훌라후프
CN2857989Y (zh) 呼拉球圈
WO2002102468A9 (fr) Cerceau 'top' gonfl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