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339Y1 -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339Y1
KR200171339Y1 KR2019990019825U KR19990019825U KR200171339Y1 KR 200171339 Y1 KR200171339 Y1 KR 200171339Y1 KR 2019990019825 U KR2019990019825 U KR 2019990019825U KR 19990019825 U KR19990019825 U KR 19990019825U KR 200171339 Y1 KR200171339 Y1 KR 200171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output
motor
operational amplifier
singl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 H02H3/25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for multiphase applications, e.g. phase interru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류 전동기의 보호를 위한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3상 전원선(R.S.T)중 R-S상을 묶어서 설치하고, S-T상을 묶어서 설치한 2개의 호울시티(21a,21b); 상기 2개의 호울시티(21a.21b)에 의한 검출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정저항(23a,23b);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3상의 전원선의 각 전원선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표시하며,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단상을 검출하여 전동기의 전원선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하여, 전동기 운전중 단상이 걸릴 경우를 감지하여 이를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전동기를 즉시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TWO PHASE OF MOTOR}
본 고안은 교류 전동기의 보호를 위한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기 운전중 단상이 걸릴 경우를 감지하여 이를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전동기를 즉시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R.S.T)으로 구동되는 전동기에 단상이 걸린다는 것은 3상 교류 전동기에 있어서, 전동기 운전중 세개의 상(R.S.T)중 전자접촉기 혹은 단자부의 불량으로 한개의 상이 끊어져 전동기에 2개의 상만 연결되어 가동되는 경우를 '전동기에 단상이 걸린다' 혹은 '전동기에 결상이 발생하였다'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전동기가 3상 전원을 받지 못하고 단상 전원을 받는다는 의미로서, 한상의 결상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전동기에 단상이 걸리는 현상은 전동기를 소손시키는 원인이 되는 주요한 고장 형태이며, 이러한 현상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단상이 걸리는 원인의 대부분은 전동기에 전원을 전달 혹은 차단시켜 주는 전자접촉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와같은 전동기의 단상을 검출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함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기의 단상 검출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교류 전동기의 운전 회로는 동력선에 차단기 혹은 노휴즈 브레이크(1)를 설치하고, 그 후단에 전자접촉기(2)를 설치하며, 이 전자접촉기(2)의 후단에 전동기(4)를 결선하는 동력회로에 의해서 운전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전동기 보호회로는 동력선에 서머 릴레이를 연결하여 과전류에 의해 서머 릴레이가 열이 올라가면 이와 연결된 접점이 동작하여 전자접촉기(2)를 오프시켜 전동기를 정지시켜주거나 혹은 호울시티를 연결하여 보호계전기에 연결하여 전동기가 과전류를 먹을 때, 보호 계전기의 유사코일이 동작하여 이에 보조접점을 이용하여 전동기를 정지시켜주는 회로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 도 2b는 일반적인 전동기의 단상발생 원인설명을 위한 전자접촉기의 개략도로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접촉기는 전자석이 구비된 베이스측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고정팁(6)과 상부 유동팁(5)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전자접촉기(2)의 팁은 모두 12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아아크에 의하여 팁(8)이 마모되게 되며,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적인 팁(7)일 때에는 R.S.T 모두가 접촉되어 전동기에 전원을 전달하지만,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모된 팁(8)일 경우에는 상하의 유동 및 고정팁(5,6)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단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를 정비하는 사람들은 이를 주기적으로 사상(팁을 수평이 되게 갈아주는 작업)을 해주게 되는데, 이 사상의 적당한 시기를 놓칠 경우, 전동기가 단상이 걸리게 되며, 또한, 전동기의 단상이 걸리는 원인으로는 노휴즈 브레이크(1)의 결상 전동기의 단자함에서 접촉불량으로 결상이 발생할 경우등이 있다
만약, 전동기가 어떠한 장치를 회전시켜 주는 도중에, 단상이 걸리게 되면 전동기는 정상적인 토오크를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전류가 천천히 상승하게 되어 전동기의 권선에 열화를 가져오고 마침내는 전동기의 권선이 타버리는 고장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같이 단상이 걸린 전동기는 일단 회전을 하고 있으면 그 회전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계속 돌아가는 특징이 있는데, 교류 전동기의 속도는 하기 수학식1에 보인 바와같다.
상기 수학식1에 보인 속도를 동일하게 계속 유지하여 교류 전동기가 돌아가려고 하지만, 만약 단상이 걸리면 토오크가 떨어져 전동기는 더 많은 전류를 소모시키며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동기가 단상이 걸리면 전동기가 돌아가기 때문에 이를 정비하는 작업자는 원인을 체크하기가 난이 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계전기 타입의 보호장치는 가격이 고가임에 따라 공장 내에 주요 전동기 혹은 고압 전동기에만 설치함에 따라, 일반적인 전동기에는 상술한 서머 릴레이 (열전대 방식)등으로 보호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이외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호울시티(20)를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전류를 검출하고 제어판넬의 전면에 전류계(3)를 설치하여 현재 전동기가 사용하는 전류를 디스플레이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같이 구동선마다 호울시티를 사용하는 것은 그 만큼 호울시티가 많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서머 릴레이 혹은 계전기에도 전동기가 단상이 걸릴 경우에 이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이나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류 전동기의 3상 전원선중 2상을 묶어 호울시티를 설치하고, 이 호울시티에 의해 단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단상이 걸린 원인의 상을 판단하여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전동기를 즉시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기 단상검출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a),2(b)는 일반적인 전동기의 단상발생 원인설명을 위한 전자접촉기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종래 호울시티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호울시티에 검출되는 파형 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호울시티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b의 호울시티에 검출되는 파형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노휴즈 브레이크 2 : 전자접촉기
3 : 전류계 4 : 전동기
5 : 전자접촉기의 상부 유동팁 6 : 전자접촉기의 하부 고정 팁
7 : 정상적인 팁 8 : 마모된 팁
20 : 호울 시티 21a : R-S상 호울 시티
21b : S-T상 호울 시티 22a,22b : 접지탭
23a,23b : 레벨조정저항 30 : 제어부
32 : 적분회로부 34 : 판별부
34-1 : 3상 검출부 34-2 : 유지회로부
34-3 : 표시부 35 : 단상검출부
36 : 플립플롭 37 : 리세트스위치
38 : 릴레이 40 : 릴레이의 b접점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의 장치는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에 있어서, 3상 전원선(R.S.T)중 R-S상을 묶어서 설치하고, S-T상을 묶어서 설치한 2개의 호울시티; 상기 2개의 호울시티에 의한 검출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정저항; 상기 레벨조정저항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3상의 전원선의 각 전원선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표시하며, 상기 레벨조정저항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단상을 검출하여 전동기의 전원선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호울시티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b의 호울시티에 검출되는 파형 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는 3상 전원선(R.S.T)중 R-S상을 묶어서 설치하고, S-T상을 묶어서 설치한 2개의 호울시티(21a,21b)와, 상기 2개의 호울시티(21a.21b)에 의한 검출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정저항(23a,23b)과,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3상의 전원선의 각 전원선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표시하며,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단상을 검출하여 전동기의 전원선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상을 공통으로 R.S상을 관통한 호울 시티(4)와 S.T상을 관통한 호울 시티(22)의 신호선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선을 한다.
도 6은 도 5의 상세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검출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부(32)와, 3상 전원선의 각상에 대한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하는 판별부(34)와,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과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단상을 검출하는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진 단상검출부(35)와, 상기 단상검출부(35)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플립플롭(36)과, 상기 플립플롭(36)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여 3상 전원과 전동기(4)간의 전원선에 설치된 b접점을 오픈(OPEN)시키는 릴레이(38)와, 상기 유지회로부(34-2)와 플립플롭(36)을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스위치(37)를 포함한다.
상기 적분회로부(32)는 상기 레벨조정저항(23a)을 통한 검출신호를 적분하는 제1 연산증폭기(32a)와, 상기 레벨조정저항(23b)을 통한 검출신호를 적분하는 제2 연산증폭기(32b)를 포함한다.
상기 판별부(34)는 상기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이 제1 인버터(NOT1)에 의해 반전된후, 이 반전출력과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R-앤드게이트(RA),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이 제2 인버터(NOT2)에 의해 반전된후, 이 반전출력과 상기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T-앤드게이트(TA),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과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S-앤드게이트(RA)로 이루어진 3상검출부(34-1)와, 이 3상검출부(34-1)의 각 출력을 각각 유지시키는 3개의 플립플롭(RFF,TFF,SFF)으로 이루어진 유지회로부(34-2)와, 이 유지회로부(34-2)의 각 출력에 의해 각각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RLED,TLED,SLED)로 이루어진 표시부(34-3)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은 2개의 호울 시티(21a,21b)의 검출신호 레벨을 맞추기 위한 저항으로서, 이 레벨조정저항(23a,23b)에 의해 레벨조정된 검출신호는 전자접촉기(2)의 미세한 언밸런스에 의해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적분회로부(32)의 적분기능의 연산증폭기(32a,32b)에 각각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호울시티(20)에 하나의 도선에 끼워 넣는 종래의 설치방식과 달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호울시티에 2개의 도선을 끼워넣는 설치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이와같이 호울시티를 설치하면, 60Hz 주파수의 교류전원인 3상(각상은 서로 120°위상차가 있음)중 2상, 즉 2개의 도선을 호울시티에 관통시키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1개의 도선에서 발생하는 자장의 반대극성으로 다른 1개의 도선에 발생하는 자장과 대부분이 쇄교해버리기 때문에, 1개의 호울시티에 2개의 도선을 관통시키면 도선에 아무리 큰 전류가 흘러도 호울시티에 전류가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2개의 도선을 관통하고 있는 호울시티(21a,21b)에는 평소에는 전류의 쇄교로 인하여 전류가 검출되지 않다가, 2개의 도선중 1개의 도선이 전자접촉기(2)등에 의해서 끊어질 경우, 즉 호울시티내의 2개의 도선중 1개의 도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상기한 전류의 쇄교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나머지 한개의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검출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이 두개의 호울 시티에는 전류가 검출되지 않고, 3개의 R.S.T상중 한개의 상이 결손 되어 단상이 걸릴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검출된 신호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제어부(30)와 판별부(34)로 입력되고, 이때 제어부는 전동기를 정지시켜 주고, 판별부는 어느 상이 결손 되어 전동기에 단상이 걸렸는지를 판별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 제어부(30) 및 판별부(34)에 대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전자접촉기(2) 혹은 단자부등에 이상이 없는 경우, 즉 정상적으로 전동기가 돌아가고 있을 때에는 상술한 원리대로 자장의 쇄교에 의해서 상기 호울 시티(21a,21b)에는 어떠한 전류도 감지가 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R.S.T 3상중 어느 한상의 결손이 발생할 경우, 즉 단상이 걸릴 경우에 호울시티에 신호가 감지되며, 이후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3상중 R상의 결손에 의한 단상이 걸릴 경우, 이를 검출 및 표시하고,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3상중 R.S 2개의 도선이 관통된 호울 시티(21a)에 S상에 의한 전류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의 적분회로부(32)의 연산증폭기(32a)의 출력점(a)에는 하이('H')가 나타나고, 반면 S.T상의 도선은 결손상이 없음으로 호울시티(21b)에 의해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적분회로부(32)의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점(b)에는 로우('L')가 나타난다. 이에따라 상기 적분회로부(32)의 출력점(a)은 하이가 되고 출력점(b)은 로우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0)의 판별부(34)내 3상검출부(34-1)에 포함된 R-앤드게이트(RA)에는 상기 출력점(a)의 하이와, 출력점(b)의 로우가 제1 인버터(NOT1)에 의해 반전되어 하이가 입력되므로, 상기 판별부(34)의 3상검출부(34-1)에 포함된 앤드게이트중 R-앤드게이트(RA)만 하이를 출력하게 되어, 이 R-앤드게이트(RA)의 출력이 후단의 유지회로부(34-2)내 R-플립플롭(RFF)을 세트시켜 R상에 의한 단상이 걸려 있음을 발광 다이오드(RLED)를 점등시켜 표시해주고, 이와동시에 제어부(30)에 단상검출부(35)는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출력점(a) 혹은 출력점(b)중 어느 것이라도 하이가 되면 하이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후단 플립플롭(36)을 세트시켜 이후 연결된 릴레이(38)를 온시켜 이 릴레이의 보조접점(상시 닫혀있는 b접점)을 오픈시켜 전동기를 정지시켜 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T상이 결손되어 단상이 걸릴 경우, 이를 검출 및 표시하고,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3상중 S.T 2개의 도선이 관통된 호울 시티(21b)에 T상에 의한 전류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의 적분회로부(32)의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점(b)에는 하이('H')가 나타나고, 반면 R.S상의 도선은 결손상이 없음으로 호울시티(21a)에 의해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적분회로부(32)의 연산증폭기(32a)의 출력점(a)에는 로우('L')가 나타난다. 이에따라 상기 적분회로부(32)의 출력점(b)은 하이가 되고 출력점(a)은 로우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0)의 판별부(34)내 3상검출부(34-1)에 포함된 T-앤드게이트(TA)에는 상기 출력점(b)의 하이와, 출력점(a)의 로우가 제2 인버터(NOT2)에 의해 반전되어 하이가 입력되므로, 상기 판별부(34)의 3상검출부(34-1)에 포함된 앤드게이트중 T-앤드게이트(TA)만 하이를 출력하게 되어, 이 T-앤드게이트(TA)의 출력이 후단의 유지회로부(34-2)내 T-플립플롭(TFF)을 세트시켜 T상에 의한 단상이 걸려 있음을 발광 다이오드(TLED)를 점등시켜 표시해준다.
이와동시에, 상기한 바와같이 제어부(30)에 단상검출부(35)는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출력점(a) 혹은 출력점(b)중 어느 것이라도 하이가 되면 하이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후단 플립플롭(36)을 세트시켜 이후 연결된 릴레이(38)를 온시켜 이 릴레이의 보조접점(상시 닫혀있는 b접점)을 오픈시켜 전동기를 정지시켜 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S상에 의해 단상이 걸릴 경우, 이를 검출 및 표시하고,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3상중 S.T 2개의 도선이 관통된 호울 시티(21b)에 S상에 의한 전류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의 적분회로부(32)의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점(b)에는 하이('H')가 나타나고, 또한, R.S 2개의 도선이 관통된 호울 시티(21a)에 S상에 의한 전류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의 적분회로부(32)의 연산증폭기(32a)의 출력점(a)에는 하이('H')가 나타난다. 이에따라 상기 적분회로부(32)의 출력점(b)과 출력점(a)은 모두 하이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0)의 판별부(34)내 3상검출부(34-1)에 포함된 S-앤드게이트(SA)에는 상기 출력점(b)(a)의 하이가 입력되므로, 상기 판별부(34)의 3상검출부(34-1)에 포함된 앤드게이트중 S-앤드게이트(SA)만 하이를 출력하게 되어, 이 S-앤드게이트(SA)의 출력이 후단의 유지회로부(34-2)내 S-플립플롭(SFF)을 세트시켜 S상에 의한 단상이 걸려 있음을 발광 다이오드(SLED)를 점등시켜 표시해준다.
이와동시에, 상기한 바와같이 제어부(30)에 단상검출부(35)는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출력점(a) 혹은 출력점(b)중 어느 것이라도 하이가 되면 하이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후단 플립플롭(36)을 세트시켜 이후 연결된 릴레이(38)를 온시켜 이 릴레이의 보조접점(상시 닫혀있는 b접점)을 오픈시켜 전동기를 정지시켜 주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교류 전동기의 운전중, 전자접촉기 혹은 단자함등의 접촉불량으로 단상이 걸릴 경우에 전동기를 즉시에 정지시키도록 하여, 정비하는 사람이 조치를 한 후에 가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전동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시켜 주고, 또한 어떠한 상이 원인이 되어 단상이 걸리게 되었는지를 나타내어줌으로서, 정비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중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효과는 결상에 의한 느리게 상승하는 전류증가에 의한 전동기의 동력 케이블의 발열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측면으로 볼 때 케이블 발열에 의한 공장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에 있어서,
    3상 전원선(R.S.T)중 R-S상을 묶어서 설치하고, S-T상을 묶어서 설치한 2개의 호울시티(21a,21b);
    상기 2개의 호울시티(21a.21b)에 의한 검출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정저항(23a,23b);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3상의 전원선의 각 전원선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표시하며, 상기 레벨조정저항(23a,23b)을 통한 두 개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단상을 검출하여 전동기의 전원선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레벨조정저항(23a)을 통한 검출신호를 적분하는 제1 연산증폭기(32a)와, 상기 레벨조정저항(23b)을 통한 검출신호를 적분하는 제2 연산증폭기(32b)를 포함하는 적분회로부(32);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과 제2 연산증폭기(32b)의 반전출력을 논리곱하는 R-앤드게이트(RA),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반전출력과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T-앤드게이트(TA),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과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S-앤드게이트(RA)로 이루어진 3상검출부(34-1)와, 이 3상검출부(34-1)의 각 출력을 각각 유지시키는 3개의 플립플롭(RFF,TFF,SFF)으로 이루어진 유지회로부(34-2)와, 이 유지회로부(34-2)의 각 출력에 의해 각각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RLED,TLED,SLED)로 이루어진 표시부(34-3)를 포함하는 판별부(34);
    상기 제1 연산증폭기(32a)의 출력과 제2 연산증폭기(32b)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단상을 검출하는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진 단상검출부(35);
    상기 단상검출부(35)의 출력을 유지시키는 플립플롭(36);
    상기 플립플롭(36)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여 3상전원과 전동기(4)간의 전원선에 설치된 b접점을 오픈시키는 릴레이(38);
    상기 유지회로부(34-2)와 플립플롭(36)을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스위치(3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KR2019990019825U 1999-09-15 1999-09-15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KR200171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825U KR200171339Y1 (ko) 1999-09-15 1999-09-15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825U KR200171339Y1 (ko) 1999-09-15 1999-09-15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339Y1 true KR200171339Y1 (ko) 2000-03-15

Family

ID=1958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825U KR200171339Y1 (ko) 1999-09-15 1999-09-15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3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530A (ko) * 2010-08-02 2012-02-1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530A (ko) * 2010-08-02 2012-02-1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8376C (en) Load testing apparatus
KR101683926B1 (ko) 코일상태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모터보호 계전기
JP5225314B2 (ja) モータ制御装置とその故障検出方法
KR200171339Y1 (ko) 전동기 단상검출 및 표시장치
US4176350A (en) Indicator to show whether a switch has opened
KR101541163B1 (ko) 부스바 지지대를 이용한 배전반용 결상감지장치
KR100330254B1 (ko) 전원의 전압가변 시험 장치 및 방법
KR20090062919A (ko)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73342B1 (ko) 재폐로 차단기용 계전기의 시험장치
JP2005010066A (ja) 3相欠相検出回路及びこの3相欠相検出回路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9059607A (ja) 三相漏電遮断器
JP2007333623A (ja) 故障検知機能付交流出力回路
JPH09308083A (ja) 欠相検出回路
JPH10160167A (ja) 加熱調理器
JP2002305897A (ja) 電動昇降装置用制御回路
CN210608521U (zh) 三相电源相序保护器
KR970008197B1 (ko)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JP4786142B2 (ja) 建設機械
KR20040037811A (ko) 자기진단형 안전 계전기
KR200240565Y1 (ko) 누전방지형램프용안정기의작동표시장치
JP2011130568A (ja) 高周波モータ作動装置
JP2836118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KR910007046Y1 (ko) 전원 단락시 ac입력 차단 회로
KR0144709B1 (ko) 리크로져의 개폐 및 제어함 전용시험기
KR20100011751U (ko) 배전선로 상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