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172Y1 -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172Y1
KR200171172Y1 KR2019990021004U KR19990021004U KR200171172Y1 KR 200171172 Y1 KR200171172 Y1 KR 200171172Y1 KR 2019990021004 U KR2019990021004 U KR 2019990021004U KR 19990021004 U KR19990021004 U KR 19990021004U KR 200171172 Y1 KR200171172 Y1 KR 200171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nt circuit
evaporator
vehicl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곤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90021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5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safety arrangements, e.g. compressor anti-seizure means or by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60H2001/32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t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냉방을 도모하는 에어컨에 있어서, 이 에어컨에 설치되는 압축기에 멀티형 압력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압축기와 냉매회로의 이상 고,저압이 발생하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매부족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와 냉매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축기(1)가 설치되고 이에 콘덴서팬(3)이 설치되는 콘덴서(2)와 리시버 드라이어(4)를 연결설치하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4)에 증발기용 밸브(6)를 통한 증발기(5)가 설치되며 이 증발기(5)는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하여 냉매회로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에 멀티형의 삼중 압력스위치(7)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Coolant circuit protecting apparatus of aircondition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냉방을 도모하는 에어컨에 있어서, 이 에어컨에 설치되는 압축기에 멀티형 압력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압축기와 냉매회로의 이상 고,저압이 발생하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매부족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와 냉매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차량등에는 차량 내부의 냉방을 위하여 냉방장치인 에어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에어컨은 도 1에서와 같이 압축기(1)가 설치되고 이에 콘덴서팬(3)이 설치되는 콘덴서(2)와 리시버 드라이어(4)를 연결설치하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4)에 증발기용 밸브(6)를 통한 증발기(5)가 설치되며 이 증발기(5)는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하여 냉매회로를 구성하고 있었다.
또,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4)와 증발기 밸브(6) 사이에는 이중 압력스위치(701)을 설치하고 상기 압축기(1)에는 릴리프 밸브(702)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것은 상기 이중 압력스위치(701)가 배관에 장착되어 냉매회로의 이상 고압이 발생될 경우 상기 압축기(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또, 냉매가 부족하거나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냉매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냉매의 부족상태가 과할 경우(2.0k/㎠이 넘는 상태)에는 냉매회로의 압축기가 작동하게 되고 이 압축기가 작동하면서도 냉매의 부족으로 인한 냉동유 순환부족으로 상기 압축기가 소착될 우려가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냉방을 도모하는 에어컨에 있어서, 이 에어컨에 설치되는 압축기에 멀티형 압력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압축기와 냉매회로의 이상 고,저압이 발생하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매부족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와 냉매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냉매회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냉매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콘덴서
3 : 콘덴서팬
4 : 리시버 드라이어
5 : 증발기
6 : 증발기 밸브
7 : 멀티형 삼중 압력스위치
압축기(1)가 설치되고 이에 콘덴서팬(3)이 설치되는 콘덴서(2)와 리시버 드라이어(4)를 연결설치하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4)에 증발기용 밸브(6)를 통한 증발기(5)가 설치되며 이 증발기(5)는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하여 냉매회로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에 멀티형의 삼중 압력스위치(7)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압축기(1)가 설치되고 이에 콘덴서팬(3)이 설치되는 콘덴서(2)와 리시버 드라이어(4)를 연결설치하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4)에 증발기용 밸브(6)를 통한 증발기(5)가 설치되며 이 증발기(5)는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하여 냉매회로를 구성하면, 상기 압축기(1)에서 압축작용을하여 냉매를 콘덴서(2)로 보내게 되고 이 콘덴서(2)에서는 응축작용을 하여 응축된 냉매를 리시버 드라이어(4)를 거쳐 증발기(5)로 보내게 되며 이 증발기(5)에서 증발작용을 하여 저온의 냉방작용을 하면서 이 저온의 공기를 차량 등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압축기(1)와 냉매회로에서 이상고압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상기 압축기(1)에 설치된 멀티형의 삼중 압력스위치(7)에서 감지하여 상기 냉매회로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또, 냉매 과부족 시(2.0k/㎠ 이하) 상기 압축기(1)를 정지시키게 되어 상기 냉매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또, 중압제어 13k/㎠ 이하 일 때는 상기 콘덴서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콘덴서(2)가 응축작용을 하지 않도록 하고, 중,저압에 따라 상기 냉매회로내에 냉매가 과부족한 상태일 때 상기 압축기(1)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멀티형의 삼중 압력스위치(7)를 냉매회로의 압축기(1)에 설치하고 이 삼중 압력스위치(7)가 냉매회로의 냉매과부족 상태와, 이상 고압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냉매회로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또, 중압제어 압력일 경우에는 콘덴서팬(3)의 구동을 정지시켜 응축작용을 하지 않도록 하고 냉매의 과부족 시 상기 압축기(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므로서 상기 냉매회로와 압축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압축기(1)가 설치되고 이에 콘덴서팬(3)이 설치되는 콘덴서(2)와 리시버 드라이어(4)를 연결설치하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4)에 증발기용 밸브(6)를 통한 증발기(5)가 설치되며 이 증발기(5)는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하여 냉매회로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에 멀티형의 삼중 압력스위치(7)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KR2019990021004U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KR200171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004U KR200171172Y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004U KR200171172Y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172Y1 true KR200171172Y1 (ko) 2000-03-15

Family

ID=1959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004U KR200171172Y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1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8093B2 (ja) 空気調和機
JP2009299974A (ja) 空気調和機
JP200914495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195543B2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KR200171172Y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회로 보호장치
JP2005061736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EP373085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33617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9431661B2 (en) Compressor
KR20020094659A (ko) 에어컨의 실외기 송풍팬 작동방법
KR20150056034A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442796B1 (ko) 에어컨의 이슬방지 구조
KR100241434B1 (ko) 고외기온 대응 분리형 에어컨
KR100449205B1 (ko) 에어콘의 냉매순환회로
KR200195875Y1 (ko) 냉매회로의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보조콘덴서
KR100424103B1 (ko) 과냉 방지기능을 갖는 에어컨
KR100358835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0333172B1 (ko) 차량용 에어컨의 압축기 보호장치
KR19990031031A (ko) 자동차의 에어컨장치
KR20010058432A (ko) 콘덴서 냉각용 보조증발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0252243B1 (ko) 에어콘용 콤프레서의 고착 방지장치
KR100442792B1 (ko) 에어컨의 전력 제어장치
KR2005007418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팬제어방법
JP306364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388123B1 (ko) 중장비용 압축기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