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99Y1 -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99Y1
KR200170999Y1 KR2019960050903U KR19960050903U KR200170999Y1 KR 200170999 Y1 KR200170999 Y1 KR 200170999Y1 KR 2019960050903 U KR2019960050903 U KR 2019960050903U KR 19960050903 U KR19960050903 U KR 19960050903U KR 200170999 Y1 KR200170999 Y1 KR 200170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ear
amount
float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857U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0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남아 있는 잔류 연료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탱크에 남아 있는 연료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뜨게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 있는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의 양 끝단에 장착된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상기 뜨게가 부착되고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치합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뜨게가 상하 수직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와, 상기 제1기어 또는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포텐시오 미터와, 상기 포텐시오 미터의 저항치를 감지하여 잔류 연료량을 가시적으로 제시하는 지시계기로 구성된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를 제공하여, 지시계기가 잔류 연료량과 관계없이 항상 선형적으로 소비되는 연료량을 지시하기 때문에 지시계기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뜨게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뜨게의 크기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남아 있는 잔류 연료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은 연료 공급 장치, 윤활 장치 및 냉각 장치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한 연료 탱크에서 엔진으로 보내지는 연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에 연결됨과 아울러 연소실로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 펌프와, 공급된 연료를 기화시켜서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는 기화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에 장착되어 상기 연료 탱크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연료량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연료량 측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50) 내부의 연료에 의해 상, 하로 이동하는 뜨게(51)와, 상기 뜨게(51)에 연결되어 뜨게(51)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가변저항(52)과, 상기 가변저항(52)의 전기적인 신호를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계기판의 지시계기(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52)은 뜨게(51)가 상승하면 왼쪽으로 움직이고 하강하면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접촉아암(53)과, 저항체(54)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접촉아암(53)이 왼쪽으로 움직이면 저항 값이 커지고 상기 접촉아암(53)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저항 값이 작아진다.
또한, 상기 지시계기(60)는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가 적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E(empty)와 연료 탱크에 연료가 가득 찼음을 나타내는 F(full)가 기록된 기록판(61)과, 상기 기록판(61)의 E와 F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지침(62)과, 상기 가변저항(52)과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지침(62)을 F쪽으로 구동시키는 제1코일(L1)과, 상기 가변저항(52)과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지침(62)을 E쪽으로 구동시키는 제2코일(L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52)의 저항 값이 커지면 제1코일(L1)의 자장이 커져서 지시계기(60)의 지침(62)은 F(full) 쪽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변저항(52)의 저항 값이 작아지면 제2코일(L2)의 자장이 커져서 상기 지시계기(60)의 지침(62)은 E(empty) 쪽으로 회전함으로 운전자는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량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량 측정장치는 뜨게가 잔류 연료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고, 접촉아암은 상기 뜨게의 상하 이동량만을 감지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잔류 연료가 많을 때에는 실제 소비되는 연료량보다 지시되는 소비 연료량이 적게 나타나고, 잔류 연료이 적을 때에는 실제 소비되는 연료량보다 지시되는 소비 연료량에 많이 나타나게 되어 지시계기의 신뢰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뜨게의 회전 영역을 감안하면서 뜨게의 크기 및 설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뜨게가 연료 탱크의 연료에 의해 상하 수직 이동하기 때문에 설치가 자유롭고 간단하며, 연료량에 관계없이 실제 소비되는 연료량과 지시되는 소비 연료량이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뜨게2: 고정 지지대
3: 제1기어4: 제2기어
5: 벨트6: 포텐시오 미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 탱크에 남아 있는 연료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뜨게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 있는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의 양 끝단에 장착된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상기 뜨게가 부착되고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치합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뜨게가 상하 수직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와, 상기 제1기어 또는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포텐시오 미터와, 상기 포텐시오 미터의 저항치를 감지하여 잔류 연료량을 가시적으로 제시하는 지시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연료 탱크(50)에 남아 있는 연료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뜨게(1)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 있는 고정 지지대(2)와, 상기 고정 지지대(2)의 양 끝단에 장착된 제1기어(3) 및 제2기어(4)와, 상기 뜨게(1)가 부착되고 상기 제1기어(3) 및 제2기어(4)와 치합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뜨게(1)가 상하 수직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 상기 제1기어(3) 및 제2기어(4)가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5)와, 상기 제1기어(3)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포텐시오 미터(6)와, 상기 포텐시오 미터(6)의 저항치를 감지하여 잔류 연료량을 가시적으로 제시하는 지시계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시계기는 종래의 지시계기와 그 구성과 동작이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 탱크(50)에 연료가 가득 차 있으면, 뜨게(1)는 가장 높이 상승되어 있고 포텐시오 미터(6)는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포텐시오 미터(6)로부터 가장 큰 저항치가 출력된다. 상기 포텐시오 미터(6)의 저항치는 지시계기로 전달되어 상기 지시계기의 지침은 F(full)를 가리키게 된다.
자동차가 연료를 소비하여 연료 탱크(50)의 연료가 줄면 뜨게(1)는 하강하게 되는 바, 상기 뜨게(1)가 부착된 벨트(5)가 이에 연동하게 된다. 상기 벨트(5)가 상기 뜨게(1)와 연동하면 제1기어(3)와 제2기어(4)가 벨트(5)에 형성된 홈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 제1기어(3)와 함께 포텐시오 미터(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포텐시오 미터(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포텐시오 미터(6)에서 출력되는 저항치가 감소하게 되고 이 저항치는 지시계기로 전달되어 소비된 연료량만큼 지시계기의 지침이 F(full)에서 E(empty)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시계기가 잔류 연료량과 관계없이 항상 선형적으로 소비되는 연료량을 지시하기 때문에 지시계기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뜨게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뜨게의 크기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 탱크에 남아 있는 연료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뜨게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서 있는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의 양 끝단에 장착된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상기 뜨게가 부착되고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치합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뜨게가 상하 수직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와, 상기 제1기어 또는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포텐시오 미터와, 상기 포텐시오 미터의 저항치를 감지하여 잔류 연료량을 가시적으로 제시하는 지시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2019960050903U 1996-12-18 1996-12-18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200170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903U KR200170999Y1 (ko) 1996-12-18 1996-12-18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903U KR200170999Y1 (ko) 1996-12-18 1996-12-18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857U KR19980037857U (ko) 1998-09-15
KR200170999Y1 true KR200170999Y1 (ko) 2000-05-01

Family

ID=1948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903U KR200170999Y1 (ko) 1996-12-18 1996-12-18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857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743A2 (en) An apparatus for non-contact level sensing
CN101535783A (zh) 具有簧片开关和闭锁磁体的燃料发送器
KR200170999Y1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100251186B1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200171005Y1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구조
KR100251185B1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100233738B1 (ko) 연료량 계측 장치
KR200158604Y1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970000408Y1 (ko) 액화석유가스(lpg)자동차의 연료 측정장치
KR200162155Y1 (ko) 연료량 측정장치의 가변저항 구조
KR100412798B1 (ko) 연료유동에 따른 보상기능을 갖는 연료 량 측정장치
WO1991013322A1 (en)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liquid in a container
KR100239643B1 (ko) 연료계의 연결장치
KR100261895B1 (ko) 연료탱크의 액위 검출장치
KR19980082718A (ko) 차량의 연료측정장치
KR19980017342U (ko) 차량의 연료량 표시장치
KR100187128B1 (ko) 자동차 연료의 평균 유량 게이지
KR890004514Y1 (ko) 엔진용 오일팬의 유량 감지장치
KR100309413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량검출장치
KR100513880B1 (ko) 자동차의 비접촉식 연료량 측정장치
KR200141614Y1 (ko) 차량의 연료량 표시장치
KR20030006361A (ko) 자동차의 연료유량측정장치
KR19980026653A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0171328B1 (ko) 차량용 액량 감지장치
KR100250290B1 (ko) 자동차용 연료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