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97Y1 - 공냉식 인터 쿨러 - Google Patents

공냉식 인터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97Y1
KR200170997Y1 KR2019960047449U KR19960047449U KR200170997Y1 KR 200170997 Y1 KR200170997 Y1 KR 200170997Y1 KR 2019960047449 U KR2019960047449 U KR 2019960047449U KR 19960047449 U KR19960047449 U KR 19960047449U KR 200170997 Y1 KR200170997 Y1 KR 200170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inlet pipe
intercooler
co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503U (ko
Inventor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7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25Air cooled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에 흡입되는 과압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냉식 인터 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그릴 간격을 공기가 유입되는 쪽으로 갈수록 좁게 배열함으로써 인터 쿨러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엔진의 출력 향상 및 배기 가스의 저감을 도모토록 한 공냉식 인터 쿨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컴프레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52)과, 상기 유입관(5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로 유출되는 유출관(54)과, 상기 유입관(52)과 유출관(54)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에어 그릴(56)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 그릴(56) 사이의 배열 간격은 냉각 효율이 상승되도록 공기의 유속이 빠르고 온도가 높은 상기 유입관(52)의 입구(52a) 쪽으로 갈수록 좁게 배열되고 입구(52a)에서 먼쪽으로 갈수록 넓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냉식 인터 쿨러
본 고안은 엔진에 흡입되는 과압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냉식 인터 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의 그릴 간격을 공기가 유입되는 쪽으로 갈수록 좁게 배열함으로써 인터 쿨러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엔진의 출력 향상 및 배기 가스의 저감을 도모토록 한 공냉식 인터 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의 흡기 계통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가스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 차저(1)를 이용하여 엔진(2)의 연소실 내에 다량의 공기를 충전하고, 이것에 따라 연료의 분사량을 증가시키면서 엔진(2)의 출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보 차저(1)에서 공기를 과급하게 되면 과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 정도 상승되므로 엔진의 연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과급된 공기를 냉각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
즉, 상기 엔진(2)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상기 터보 차저(1)의 터빈(1a)을 회전시키고, 상기 터빈(1a)의 회전으로 컴프레서(1b)가 작동된다. 상기 컴프레서(1b)는 에어 크리너(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과급하여 흡기 매니폴드(4)와 연소실에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컴프레서(1b)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배기 가스와 압축에 의해 일정 정도 상승되므로 중간에 인터 쿨러(10)를 설치하여 차가운 공기로 만들어 연소실에 보내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공냉식 인터 쿨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2)과, 상기 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로 유출되는 유출관(14)과, 상기 유입관(12)과 유출관(14) 사이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에어 그릴(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 그릴(16)은 상기 유입관(12)과 유출관(14)을 연통시키는 중공의 얇은 튜브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통과될 때 외부와 열교환 면적을 넓힘으로서 공냉식으로 냉각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냉식 인터 쿨러(10)는 터보 차저(1)의 컴프레서(1b)에서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다수의 에어 그릴(16)을 통과하면서 일정 정도 냉각되어 흡기 매니폴드(4)에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컴프레서(1b)에서 상기 유입관(12)으로 송입된 공기가 균등하게 배열된 다수의 에어 그릴(16)의 내부를 통과하여 일정 정도 냉각된 후, 상기 유출관(14)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4)로 보내져서 연소실에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실에 과급되는 공기는 저온 고밀도의 상태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연소 효율이 상승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공냉식 인터 쿨러는 상기 유입관(12)의 입구(12a) 쪽으로 갈수록 에어 그릴(16)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르고 공기량도 많아 충분히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출관(14)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14)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에 충분히 냉각되지 않은 상태의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연소실의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배기 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터 쿨러의 유입관의 입구쪽에 에어 그릴을 집중적으로 배열하고 유입관 내의 형상을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함으로써 인터 쿨러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연소 효율을 상승시켜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도록 한 공냉식 인터 쿨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터보 차저 엔진의 흡배기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공냉식 인터 쿨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냉식 인터 쿨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인터 쿨러 52 : 유입관
54 : 유출관 56 : 에어 그릴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냉식 인터 쿨러는, 컴프레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로 유출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에어 그릴로 구성된 공냉식 인터 쿨러에 있어서, 상기 에어 그릴 사이의 상호 간격은 냉각 효율이 상승되도록 공기의 유속이 빠르고 온도가 높은 상기 유입관의 입구 쪽으로 갈수록 좁게 배열되고 입구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넓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공냉식 인터 쿨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52)과, 상기 유입관(5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로 유출되는 유출관(54)과, 상기 유입관(52)과 유출관(54) 사이에 통과되는 공기가 냉각되도록 다수 배열된 에어 그릴(5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그릴(56) 사이의 배열 간격은 냉각 효율이 상승되도록 공기의 유속이 빠르고 온도가 높은 상기 유입관(52)의 입구(52a) 쪽으로 갈수록 좁게 배열되고 입구(52a)에서 먼쪽으로 갈수록 넓게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52)은 상기 에어 그릴(56)로 유입되는 공기 저항이 저감되도록 입구(52a) 쪽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52a)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공냉식 인터 쿨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공냉식 인터 쿨러(50)는 터보 차저의 컴프레서에서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다수의 에어 그릴(56)을 통과하면서 충분히 냉각되어 흡기 매니폴드에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컴프레서에서 송입된 공기가 유입관(52)의 내경이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측방향의 에어 그릴(56)로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유입관(52)의 입구(52a) 쪽에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에어 그릴(56a) 쪽으로 다량의 공기가 통과되고 나머지 공기는 상대적으로 간격이 넓은 입구(52a)에서 먼쪽의 에어 그릴(52b)을 통과하여 유출관(54)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그릴(56)은 상측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유속이 빠른 다량의 공기가 통과되어도 외부와의 열교환 면적이 확대되어 충분한 냉각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상기 유출관(54)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보내져서 연소실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에 과급되는 공기는 저온 고밀도의 상태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연소 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의한 공냉식 인터 쿨러는 유입관(52)을 통해 에어 그릴(56)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량과 흐름에 따라 에어 그릴의 배열 간격을 좁게 또는 넓게 함으로써 인터 쿨러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어 엔진의 출력이 상승되고 더불어 배기 가스도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컴프레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로 유출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에어 그릴로 구성된 공냉식 인터 쿨러에 있어서,
    상기 에어 그릴 사이의 상호 간격은 냉각 효율이 상승되도록 공기의 유속이 빠르고 온도가 높은 상기 유입관의 입구 쪽으로 갈수록 좁게 배열되고 입구에서 먼쪽으로 갈수록 넓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인터 쿨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에어 그릴로 유입되는 공기 저항이 저감되도록 입구 쪽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인터 쿨러.
KR2019960047449U 1996-12-10 1996-12-10 공냉식 인터 쿨러 KR200170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449U KR200170997Y1 (ko) 1996-12-10 1996-12-10 공냉식 인터 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449U KR200170997Y1 (ko) 1996-12-10 1996-12-10 공냉식 인터 쿨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503U KR19980034503U (ko) 1998-09-15
KR200170997Y1 true KR200170997Y1 (ko) 2000-04-01

Family

ID=1947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449U KR200170997Y1 (ko) 1996-12-10 1996-12-10 공냉식 인터 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50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2079A (en) Air-cooled type intercooler for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28892A (en) Turbocharged two-cycle engine with positive blower and internally mounted aftercooler
JP2000186639A (ja) ビルトイン中間冷却機を有するエンジン空気の吸気マニホ―ルド
JP2001248448A (ja) 内燃機関の給気冷却装置
JP2002188526A (ja) Egr装置
CN104121123A (zh) 具有脉冲抑制的专用排气再循环的发动机
CA10800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oling the charge air of a pressure-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34726B1 (ko) 터보차저를 갖는 엔진시스템
KR200170997Y1 (ko) 공냉식 인터 쿨러
EP0312229B1 (en) Air-cooling mechanism for the internal centre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H10220305A (ja) インタークーラー付きegr装置
WO2019153498A1 (zh) 大功率v型多缸柴油机系统
KR20120067020A (ko) 차량용 엔진 냉각 시스템
JP6399041B2 (ja) ターボ過給機付エンジン
CA1334570C (en)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78311B2 (ja) 多気筒エンジン
JP5310437B2 (ja) Egr拡散ユニット
KR101362181B1 (ko) 인터쿨러
JP4165730B2 (ja) 多シリンダ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2012127266A (ja) 多気筒エンジンのegr装置
CN215444167U (zh) 一种涡轮发电机组内部散热结构
KR100387424B1 (ko) 공냉과수냉을겸한인터쿨러
CN215444250U (zh) 废气再循环装置及发动机
JP5477484B2 (ja) Egr拡散ユニット
JP3453928B2 (ja) 内燃機関のインタク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