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456Y1 - 재배용 패널 - Google Patents

재배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456Y1
KR200170456Y1 KR2019990019925U KR19990019925U KR200170456Y1 KR 200170456 Y1 KR200170456 Y1 KR 200170456Y1 KR 2019990019925 U KR2019990019925 U KR 2019990019925U KR 19990019925 U KR19990019925 U KR 19990019925U KR 200170456 Y1 KR200170456 Y1 KR 200170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panel
cultivation panel
container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코헤이
Original Assignee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재배용 패널(10)은 원통형상을 한 재배용기(11)를 착탈 가능하게 보지하는 개구부(12)가 다수 형성되어, 재배용 패널(10) 내에서 인접하는 개구부(12)끼리의 간격(13)이 모두 동일해 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2)에는 배토(14)가 충전된 재배용기(11)를 삽입·보지할 수가 있다. 단위면적 당의 재배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수확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배용 패널{The panel for the plant cultivation}
본 고안은 야채, 과일, 화초 등의 재배용기를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보지하기 위한 재배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딸기 등의 농작물의 재배는 종래부터 재배지의 지면에 형성된 밭이랑을 따라 모종을 심어 재배하는 소위 토경재배가 행하여지고 있지만, 육묘로부터 수확에 이르는 일련의 작업은, 엉거주춤한 자세나 웅크리고 앉은 자세에서의 작업이 많고, 또한 모종의 운반 등의 육체적 부담이 큰 노동을 동반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육묘 용기의 개선이 행하여지거나, 또는 재배용기를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보지하여 재배를 행하는 고설(高設)재배 등이 채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딸기 등의 육묘용 용기로서, 배토사용량이 적어도 되고, 뿌리의 성장이 좋은 육묘용 용기를 개발하여, 일본국 실개평6-34437호 공보 등에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육묘용 용기를 보지하는 재배용 패널 등을 개발하여, 일본국 실공평6-16495호 공보 등에 개시하고 있다. 이들의 육묘용 용기와 재배용 패널 등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도6에 도시하는 것 같은 재배장치를 형성할 수가 있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배장치(60)에 있어서는 지면에 입설(立設)된 지주(61)에 프레임(62)이 취부되고 프레임(62)에 재배용 패널(63)이 장착되고 재배용 패널(63)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67)(도7참조)에 원통형상의 육묘용 용기 (65)가 삽입·보지되어 있다.
또한, 재배용 패널(63)은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계지부재(64)에 의해서 프레임(62)에 계지되게 되어 있고, 재배용 패널(63)의 전면에 걸쳐 바둑판의 눈금형상으로 배열된 개구부(67)의 각각에 육묘용 용기 (65)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개구부(67)의 주위는 사각형상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개구부(67)를 향한 하향 깔때기형상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육묘용 용기(65)에 충전된 배토(66)중에 있어 딸기모종의 육묘 등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엉거주춤한 자세나 웅크리고 앉은 자세에서의 작업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딸기 등의 재배기간 동안에 있어서의 육체적 부담이 경감되어,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도6에 도시하는 재배장치(60)의 경우 재배용 패널(63)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67)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이 동일간격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의 개구부(67)에 삽입·보지된 육묘용 용기(65)에 있어서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육묘용 용기(65)의 세로방향간격(68)및 가로방향간격(69)은 서로 동일이지만 기울기 방향간격(70)은 세로방향간격(68)및 가로방향간격(69)보다 크게 되어있다.
따라서, 1개의 육묘용 용기(65)에 착목한 경우, 그 주위에 인접하는 8개의 육묘용 용기(65)와의 간격은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것 때문에, 육묘용 용기(65)로 육묘되는 딸기모종 등의 줄기나 잎 등의 생육방향에 관해서, 인접하는 모종과의 관계에 의해서 기울기가 생기는 일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모종끼리는 일조 확보를 위해 상호차폐를 회피하는 성질이 있어 서로의 간섭이 적은 방향으로 성장하고자 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모종과의 간격이 이격된 방향으로 성장이 왕성해져, 육묘용 용기(65)로 재배되는 모종의 생육방향으로 기울기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생육방향의 기울기가 생기면 모종전체의 성장을 둔화시키는 원인이 되어 수확량감소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재배장치(60)의 경우 단위면적 당의 재배개수를 증대시킨다는 것이 중요한 테마의 하나이지만, 재배용 패널(63)의 경우 복수의 개구부 (67)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이 동일간격이 되도록 바둑판의 눈금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면적 당 배열 가능한 최대개수를 실현하는 것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위면적 당의 재배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수확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재배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인 재배용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재배용 패널의 부분확대도.
도3은 도1의 A-A 선단면도.
도4는 도1의 재배용 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5는 도4에 도시하는 재배용 패널의 부분단면도.
도6은 종래의 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도6의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재배용 패널의 평면도.
도8은 도7에 도시하는 재배용 패널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재배용 패널 11. 재배용기(육묘용 용기) 12. 개구부
13. 개구부들의 간격 14. 배토 20. 가상원 21. 모종
21. 뿌리 22, 23. 지주 24. 지면 25. 프레임
26. 통로 27. 계지부재 28. 작업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재배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보지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재배용 패널이고, 재배용 패널 내에서 인접하는 개구부끼리의 간격이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재배용기끼리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도록 복수의 재배용기를 배열,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각각의 재배용기로 재배되는 식물모종의 생육방향은 그 주위에 인접하는 다른 식물모종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 방향에 걸쳐 균등해져, 생육방향의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생육 상태가 향상하여 수확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개구부끼리의 간격이 모두 동일해지도록 개구부를 배열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3개의 개구부는 각각 정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는 배열이 되기 때문에, 소위 벌집형상의 배열이 되어 단위면적 당 최대 개수의 개구부를 배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단위면적 당의 재배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수확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배용 패널의 개구부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할 수 있다. 재배용 패널의 개구부를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 등에 응해서 개발된 다각 통 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재배용기에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재배용 패널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재배용기의 보지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재배용 패널 전체를 경사상태로 보지하여 식물재배를 하는 경우 재배용기의 보지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게 되기 때문에, 재배용기를 경사상태로 보지하여 식물모종의 뿌리의 활착을 좋게 하거나, 수직상태로 보지하여 줄기, 잎, 꽃 등의 직립상태를 좋게 하는 등, 재배식물에 최적의 각도로 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확량증대 또는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고안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실시의 형태인 재배용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는 상기 재배용 패널의 부분확대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딸기의 육묘용 용기를 보지하기 위한 재배용 패널의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부터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재배용 패널(10)에 있어서는 원통형상을 한 재배용기(육묘용 용기)(11)를 착탈 가능하게 보지하는 개구부(12)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재배용 패널(10) 내에서 인접하는 개구부(12)끼리의 간격(13)이 모두 동일해 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모든 개구부 (12)는 배토(14)가 충전된 재배용기(11)를 삽입·보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각각의 개구부(12)의 주위는 육각형상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개구부(12)를 향한 하향 사면이 형성되어, 깔때기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재배용 패널(10)에 보지된 복수의 재배용기(11)에 관해서는 인접하는 재배용기(11)끼리의 간격(13)이 모두 동일해지기 때문에, 각각의 재배용기(11)에서 육묘되는 모종(21)의 생육방향은 그 주위에 인접하는 다른 모종(21)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全)방향에 걸쳐 균등해진다. 이것 때문에, 도6에 도시하는 종래의 재배장치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었던 모종의 생육방향의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생육상태가 향상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재배용 패널(10)에서는 인접하는 개구부(12)끼리의 간격(13)이 모두 동일해 지도록 개구부(12)를 배열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3개의 개구부(12)가 각각 정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는 배열이 되기 때문에, 소위 벌집형상의 배열로 되어, 개구부(12)의 배열개수는 단위면적 당 최대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재배용 패널(63)보다 단위면적 당 육묘 가능한 모종(21)의 개수가 증가한다. 더욱이, 각각의 개구부(12)의 주위는 육각형상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개구부(12)를 향한 하향 사면이 형성되어, 깔때기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용 패널(10)에 뿌려진 물이나 액비가 빠짐 없이 재배용기(11)에 흘러들어 와, 물이나 액비가 쓸데없이 소비되는 일이 없다.
여기서, 도2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재배용 패널(10)과 종래의 재배용 패널(63)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배열개수의 상위에 관해서 설명한다.
재배용 패널(10)의 개구부(12)의 주위의 육각형 구획 및 재배용 패널(63)의 개구부(67)의 주위의 사각형 구획이 각각 지름12cm의 가상원(20)이 내접 가능한 크기라고 하면, 재배용 패널(63)의 사각형 구획의 경우의 1구획의 면적은 144cm2가 되고, 재배용 패널(10)의 육각형 구획의 경우의 1구획의 면적은 108cm2가 되기 때문에, 재배용 패널(10)의 1구획의 면적은 재배용 패널(63)의 1구획의 면적의 3/4이 된다. 즉, 지름12cm의 가상원(20)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면적은 재배용 패널(10)쪽이 1구획 당 25% 작아도 되게 된다.
다음에, 1장의 패널사이즈가 현행의 120cm×90cm 전후라고 상정한 경우, 재배용 패널(63)에 배열 가능한 지름12cm의 가상원(20)의 개수는, 10개×7개= 70개(120cm×84cm)가 되고, 재배용 패널(10)에 배열 가능한 지름12cm의 가상원(20)의 개수는 11개×7개= 77개(117.8cm×90cm)가 되기 때문에, 재배용 패널(10)쪽이 10% 정도 배열개수가 많아진다.
또한, 상기 사이즈의 패널을 각각 100장씩 병설한 경우, 재배용 패널(63)의 경우의 총면적은 1.2m×84m=100.8m2(7000개)가 되고, 재배용 패널(10)의 경우의 총면적은 1.178m×84.6m≒ 99.66m2(7700개)가 되기 때문에, 재배용 패널(10)쪽이 작은 면적으로 700개가 많이 배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7000주의 모종을 육묘하는 데 필요한 재배용 패널의 매수를 산출하면, 재배용 패널(63)의 경우는 7000÷70=100장이 되고, 재배용 패널(10)의 경우는 7000÷77≒91장이 된다.
이와 같이, 재배용 패널(10)을 사용한 경우, 종래의 재배용 패널(63)보다 단위면적 당의 육묘개수를 10%정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같은 육묘개수라면, 재배용 패널(10) 쪽이 종래의 재배용 패널(63)보다 적은 면적으로 육묘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단위면적 당 같은 개수의 모종을 육묘하는 것이면, 재배용 패널(10)은 종래의 재배용 패널(63)보다 1구획의 면적을 크게할 수 있다. 예컨대, 7000개의 모종을 육묘하는 경우, 재배용 패널(63)의 1구획은 지름12cm의 가상원(20)이 내접 가능한 면적이라고 하고, 그 총면적은 1.2m×84 m=100.8m2(7000개)이지만, 재배용 패널(10)의 1구획은 지름12.65cm의 가상원이 내접 가능한 면적을 확보하면서, 그 총면적은 1.24 m×80.64 m= 100.1 m2(7007개)가 된다.
이와 같이, 재배용 패널(10)은, 재배용 패널(63)보다, 1구획 당에 내접가능한 가상원의 지름을 64mm만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고, 환언하면, 재배용 패널(10)은 재배용 패널(63)보다 인접하는 모종끼리의 간격을 크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상호차폐가 개선되고, 모종이 지나치게 신장함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재배용 패널(10)의 경우, 전체적으로 벌집형상의 구조이며, 격자상의 구조인 재배용 패널(63)보다, 강성이 크기 때문에, 지면상에 재배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의 지지부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배용 패널(10)에 재배용기(11)를 세트한 채로의 이동도 용이하다.
더욱이, 재배용 패널(10)은, 재배용 패널(63)보다, 단위면적 당 다수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1장 당의 중량이 가볍고, 반송작업이나 조립. 철수작업 등도 용이하다.
다음에, 도4, 도5를 참조하여, 재배용 패널(10)의 사용상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4는 재배용 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5는 상기 재배용 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재배용 패널(10)은, 수평상태에 보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보다 30도 경사진 상태로 보지하여 모종(21)의 육묘를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길이가 다른 지주(22, 23)를 지면(24)에 입설하여, 이것들의 지주(22, 23)에 취부된 프레임(25)에 재배용 패널(10)의 주위에 형성된 계지부재(27)를 계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재배용 패널(10)을 경사상태로 보지한다.
이와 같이, 재배용 패널(10)을 30도 경사상태로 보지하여 모종(21)의 육묘를 행하는 것에 의해, 재배지에서의 재배용 패널(10)의 점유면적은 재배용 패널(10)을 수평상태로 보지하여 육묘하는 경우보다 약13% 저감한다.
또한, 재배용 패널(10)을 경사상태로 보지하는 것에 의해 통로(2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재배용기(11)에도 작업자(28)의 손이 닿게 되기 때문에, 육묘기간 중에 있어서의 각종 관리작업이 행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종래의 재배장치에 있어서 작업자의 요부부근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던 박출(迫出)부분이, 재배용 패널(10)을 경사상태로 보지함으로써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통로(26)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배지의 면적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재배용 패널(10)을 경사상태로 보지한 경우, 재배용기(11)도 경사상태로 되기 때문에, 배토(14)중에 있어서 모종(21)의 뿌리(21r)의 활착이 양호해져 생육상태가 향상한다. 또, 재배용 패널(10)의 경우, 개구부(12)에 있어서 재배용기(11)의 보지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종의 생육상태나 작업상태에 응해서 적당한 보지각도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1)재배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보지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재배용 패널에 있어서, 패널 내에서 인접하는 개구부끼리의 간격을 모두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재배용기끼리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재배용기를 배열,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각각의 재배용기로 재배되는 식물모종의 생육방향은 그 주위에 인접하는 다른 식물모종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되어 생육방향의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생육 상태가 향상하여 수확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2)인접하는 개구부끼리의 간격이 모두 동일해 지도록 개구부를 배열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3개의 개구부는 각각 정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는 배열이 되기 때문에 소위 벌집형상의 배열로 되어 단위면적 당 최대개수의 개구부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위면적 당의 재배개수를 증가시켜, 수확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3)재배용 패널의 개구부를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 등에 응해서 개발된 다각 통 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재배용기에 대응할 수가 있다.
(4)재배용 패널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재배용기의 보지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재배용 패널 전체를 경사상태로 보지하여 식물재배를 하는 경우 재배용기의 보지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게 되기 때문에 재배용기를 경사상태로 보지하여 식물모종의 뿌리의 활착을 좋게 하거나, 수직상태에 보지하여 줄기, 잎, 꽃 등의 직립상태를 좋게 하는 등 재배식물에 알맞는 각도로 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확량증대 또는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재배용기를 착탈가능하게 재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재배용 패널에 있어서, 패널내에서 인접하는 개구부의 중심점끼리의 간격이 전부 같은 간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다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재배용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주위는 상기 개구부를 향한 하향 사면(斜面)이 형성된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패널.
KR2019990019925U 1998-10-09 1999-09-16 재배용 패널 KR2001704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88505 1998-10-09
JP10288505A JP2000116240A (ja) 1998-10-09 1998-10-09 栽培用パネ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456Y1 true KR200170456Y1 (ko) 2000-02-15

Family

ID=1773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925U KR200170456Y1 (ko) 1998-10-09 1999-09-16 재배용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116240A (ko)
KR (1) KR200170456Y1 (ko)
CN (1) CN2394427Y (ko)
TW (1) TW4669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77B1 (ko) 2003-05-20 2013-05-15 홀 앤드 손 코포레이션 피티와이 리미티드 식물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584B2 (ja) * 2005-10-18 2011-03-30 アンリツ株式会社 デジタル変調信号発生装置
CN110073850A (zh) * 2019-06-10 2019-08-02 查泰山 种植韭黄的深井式地下工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77B1 (ko) 2003-05-20 2013-05-15 홀 앤드 손 코포레이션 피티와이 리미티드 식물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16240A (ja) 2000-04-25
TW466901U (en) 2001-12-01
CN2394427Y (zh) 200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786A (en) Planting tray
US4658542A (en) Portable growing system
JP6388349B2 (ja) イチゴ栽培装置及びイチゴ栽培方法
KR101262677B1 (ko) 식물재배장치
JP3320707B2 (ja) 超高密度植物垂直ミスト水耕システム及び育成パネル
KR200170456Y1 (ko) 재배용 패널
JP3398628B2 (ja) 栽培装置
JPH10309130A (ja) 高設栽培装置
JP4299861B2 (ja) 作物栽培装置及び栽培ポット
JP3514713B2 (ja) 栽培用容器
KR20210052643A (ko) 육묘 트레이
KR200461604Y1 (ko) 육묘상자
TWI795314B (zh) 植株端盤
US20240197089A1 (en) Horticulture Tray Support System
KR101243711B1 (ko) 4립 파종이 가능한 양파 육묘용 4분할 트레이
KR20000000712A (ko)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KR20110101545A (ko)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KR20220053105A (ko) 육묘용 포트를 그대로 이용하는 식물 재배 방법
KR20230077155A (ko) 뿌리식물 재배 용기
JP3128164U (ja) 水耕栽培容器。
JP3397631B2 (ja) 藺草用のマット苗生育容器
GB2625535A (en) Plant training screen and apparatus
KR200477085Y1 (ko) 수목 채소용 컨테이너
JP2024021169A (ja) 培地シート
RU2040893C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