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292Y1 - 에어컨용 콘덴서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292Y1
KR200170292Y1 KR2019990020310U KR19990020310U KR200170292Y1 KR 200170292 Y1 KR200170292 Y1 KR 200170292Y1 KR 2019990020310 U KR2019990020310 U KR 2019990020310U KR 19990020310 U KR19990020310 U KR 19990020310U KR 200170292 Y1 KR200170292 Y1 KR 200170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er
air conditioner
present
inlet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길호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09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 이상의 냉매입구관으로 냉매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다수의 냉매입구관을 빠져나온 냉매들이 서로 간섭받지 않게 장착된 배플(baffle)에 의해서, 응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컨용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헤더부(6, 7, 60)와 냉매관(2, 3, 20, 21, 22)을 통하여 냉매를 응축시킨다. 이런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상기 헤더부(60)의 상부(61, 62)에 각각 배관된 다수의 냉매입구관(10, 11)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냉매입구관(10, 11)들을 통한 냉매의 유입시, 상대적으로 작은 냉매 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헤더부(60)의 상부(61, 62)에는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키기 위한 냉매 분리용 배플(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다수의 냉매입구관들을 통해서 많은 량의 냉매를 상대적으로 작은 냉매 압력으로 전달받기 때문에, 기대 이상으로 뛰어난 응축성능을 갖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다수의 냉매입구관들을 구분시키는 배플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와류 현상에 따른 압력 증가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콘덴서{Condenser for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용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외기에 장착되어 있는 콘덴서의 응축성능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낮추도록 구성한 에어컨용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모든 기후조건과 실내환경에 따라서 최적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는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를 비롯하여, 습도를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습장치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 등이 포함된다.
이중에서 냉방장치는 액체가 증발할 때의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냉방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냉방작용 이외에도, 제습작용을 함께 수행한다. 특히, 일반가정이나 음식점과 같이 냉방공간이 작은 곳에 주로 설치하는 에어컨은 실외기와 실내기로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런 실내기는 실외기에서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를 열교환기에서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소음 및 열방출로 인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베란다 외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실외기는 상자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탑재된 압축기와, 열교환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열교환기는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압축기의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게 배관된 콘덴서를 갖는다. 여기에서, 콘덴서는 통상적인 실외기에 탑재된 응축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PFC'(Parallel Flow Condenser) 또는 'S.C.COND'(Super Compact Condenser)를 의미한다.
이런 실외기의 콘덴서를 구비한 에어컨은 압축기에서 고온의 냉매가스를 토출시킨다. 그리고, 토출된 냉매가스는 콘덴서에서 열을 방출하면서 액상의 냉매가 된다. 이런 냉매는 팽창밸브를 거쳐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로 전달된다. 증발기에서의 냉매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므로써, 실내를 냉방시킨다. 그런 다음 냉매는 다시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용 콘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입구관(1)을 통해 전달되는 냉매를 효율적으로 응축시키도록, 다수의 방열판들을 구비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냉매관(2, 3)들과, 이런 냉매관(2, 3)들의 양 끝단부를 서로 관통하게 각각 연결시킨 헤더부(6, 7) 및, 이런 헤더부(6)의 하부에 관통하게 연결되어서 열교환한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출구관(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헤더부(6, 7)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냉매의 방향을 굴절형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배플(4, 5 : baffle)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종래의 에어컨용 콘덴서에서 냉매는 냉매입구관(1)을 통하여 제1헤더부(6)로 유동한다. 이때, 냉매는 제1헤더부(6)의 제1배플(4)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가로방향으로 배관된 냉매관(2)들을 통해서 제2헤더부(7)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제2헤더부(7)로 전달된 냉매는 제2배플(5)에 의해서, 상기 냉매관(2)들의 하부에 배열된 냉매관(3)들을 통하여 제2헤더부(6)로 유동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냉매는 상기 냉매관(2, 3)들을 굴절형으로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매출구관(8)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용 콘덴서는 각각 한 개의 냉매입구관과 냉매출구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큰 용량으로 형성된 에어컨용 콘덴서에서 상대적으로 큰 압력강하 및 냉매 정체 형상이 나타난다. 이로 인하여 냉매입구관에서 냉매가 정체되므로써, 전체 냉매 압력이 높아지고, 소비전력을 증가된다. 이런 이유들로 인하여, 종래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큰 용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응축 성능을 갖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 이상의 냉매입구관으로 냉매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다수의 냉매입구관을 빠져나온 냉매들이 서로 간섭받지 않게 장착된 배플에 의해서, 응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컨용 콘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덴서 에어컨용 콘덴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용 콘덴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컨용 콘덴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냉매입구관 20, 21, 22 : 냉매관
40 : 배플 60 : 헤더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더부와 냉매관을 통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에어컨용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의 상부에 각각 배관된 다수의 냉매입구관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냉매입구관들을 통한 냉매의 유입시, 상대적으로 작은 냉매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콘덴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헤더부의 상부에는 상기 냉매입구관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키는 냉매 분리용 배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냉매입구관들에는 냉매를 전달하기 위한 분기관이 부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용 콘덴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두 개 이상의 냉매입구관들과, 유입된 냉매의 와류 발생을 차단시키는 별도의 배플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용 콘덴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컨용 콘덴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두 개의 냉매입구관(10, 11)들과, 이런 냉매입구관(10, 11)들이 결합된 제1헤더부(60) 상부(61, 62)를 구분하는 칸막이와 같은 냉매 분리용 배플(40)을 갖는다.
먼저, 두 개의 냉매입구관(10, 11)들은 압축기의 분기관(도시 생략)에 관통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1헤더부(60)의 상부(61, 62)에 관통하게 각각 배관되어 있다. 이런 두 개의 냉매입구관(10, 11)들이 배관된 제1헤더부(60) 상부(61, 62)의 내부에는 냉매 분리용 배플(40)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위 아래로 구분하게 된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에는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두 개의 냉매입구관(10, 11)을 통해서 동시에 전달된다. 이런 냉매들은 제1헤더부(60) 상부(61, 62)에 각각 분리되어 유입되고, 제1냉매관(21)과 제2냉매관(22)을 통해서 제2헤더부(7)의 상부 쪽으로 각각 유동한다. 이렇게 유동된 냉매들은 제2헤더부(7)의 상부에 모여지고, 제3냉매관(23)을 통해 제1헤더부(60) 쪽으로 유동한다. 또한, 냉매는 다수의 배플(4, 5)들에 의해서 굴절형으로 제3냉매관(23)을 통과하면서, 저온의 액체상태로 응축된다. 그리고, 이렇게 응축된 냉매는 냉매출구관(8)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런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두 개의 냉매입구관(10, 11)들을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냉매를, 상대적으로 작은 냉매 압력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냉매 분리용 배플(40)에 의해서, 냉매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냉매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와류 현상에 따른 냉매 압력이 증가되지 않고, 냉매가 어느 한쪽의 냉매관(21, 22)으로만 과도하게 흐르지 않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다수의 냉매입구관들을 통해, 많은 량의 냉매를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으로 전달받기 때문에, 기대 이상으로 뛰어난 응축성능을 갖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는 다수의 냉매입구관들을 구분시키는 배플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와류 현상에 따른 냉매의 압력 증가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에는 다수의 냉매입구관들과 압축기를 서로 관통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분기관이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에어컨용 콘덴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헤더부(6, 7, 60)와 냉매관(2, 3, 20, 21, 22)을 통하여 냉매를 응축시키는 에어컨용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60)의 상부(61, 62)에 각각 배관된 다수의 냉매입구관(10, 11)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냉매입구관(10, 11)들을 통한 냉매의 유입시, 상대적으로 내부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60)의 상부(61, 62)에는 상기 냉매입구관(10, 11)들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키는 냉매 분리용 배플(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콘덴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입구관(10, 11)들에는 냉매를 전달하기 위한 분기관이 부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콘덴서.
KR2019990020310U 1999-09-20 1999-09-20 에어컨용 콘덴서 KR200170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310U KR200170292Y1 (ko) 1999-09-20 1999-09-20 에어컨용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310U KR200170292Y1 (ko) 1999-09-20 1999-09-20 에어컨용 콘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292Y1 true KR200170292Y1 (ko) 2000-02-15

Family

ID=1958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310U KR200170292Y1 (ko) 1999-09-20 1999-09-20 에어컨용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2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5633A (zh) * 2022-05-20 2022-11-18 西安交通大学 一种可变流程微通道换热器及其工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5633A (zh) * 2022-05-20 2022-11-18 西安交通大学 一种可变流程微通道换热器及其工作方法
CN115355633B (zh) * 2022-05-20 2023-08-08 西安交通大学 一种可变流程微通道换热器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2669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CN100501252C (zh) 一种移动式空调
KR100823653B1 (ko)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CN213395597U (zh) 一种空调器
KR20160020716A (ko) 공기 조화기
JPWO2017110220A1 (ja) 空気圧縮機
CN112378004B (zh) 空气调节装置
JP2006317012A (ja) エアコン
JP2005133976A (ja) 空気調和装置
KR200170292Y1 (ko) 에어컨용 콘덴서
KR101423137B1 (ko) 실외기 없는 난방장치
KR200291618Y1 (ko) 에어컨용 콘덴서의 냉매 유입 구조
KR100408779B1 (ko) 분리형 경전철의 냉방장치
JP3481818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および冷暖房システム
CN109737626A (zh) 室外型带补气增焓的低温涡旋并联风冷冷凝压缩机组
JPH10196984A (ja) 空気調和機
CN214501465U (zh) 一种具有分体式除湿装置的风机机组
CN213983795U (zh) 一种具有分体式除湿装置的风机机组
CN115540089B (zh) 空调室外机及空调
CN215723661U (zh) 空调器室内机
WO2022202837A1 (ja) 空調装置
KR102171997B1 (ko) 실내 열교환기
KR100244320B1 (ko) 공기조화기용실내열교환기의냉매패쓰라인구조
CN112728649A (zh) 一种具有分体式除湿装置的风机机组
KR200409742Y1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