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892Y1 -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 Google Patents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892Y1
KR200169892Y1 KR2019990019013U KR19990019013U KR200169892Y1 KR 200169892 Y1 KR200169892 Y1 KR 200169892Y1 KR 2019990019013 U KR2019990019013 U KR 2019990019013U KR 19990019013 U KR19990019013 U KR 19990019013U KR 200169892 Y1 KR200169892 Y1 KR 200169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hole
rotary knob
spring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함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함일
Priority to KR2019990019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glazing
    • E04F21/30Putty squeezers or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Foam) 분사용 건(Gun)에 관한 것으로, 건에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용기를 원터치식으로 조립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상기 폼의 분출량 조절이 편리함과 아울러 상기 폼의 누출현상이 없어지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일액형 폴리우레탄 분사용 건(Gun)에 있어서,
안으로 나사구멍 13이 형성된 채, 바디 110에 고정된 연결체 120 안으로 삽입되며 하기의 볼 30이 접촉되는 반원홈 12가 형성된 돌출관부 11을 가지는 회전노브 10과;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구멍 안으로 조립되는 나사부 21 형성되고 연결체 120의 구멍 122에 형성된 직선부 121에 접촉되는 절취부 23이 형성되며, 안으로는 하기의 스프링 40이 조립되는 구멍 22가 형성되어서, 회전노브를 돌리면 회전노브 안에서 전진 혹은 후진하도록 한 스프링지지관 20과; 상기 돌출관부 11과 연결체 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다수의 볼 30들과; 상기 스프링지지관의 전진 또는 후진 작용에 의해 압축강도가 변화하면서 축 140을 지지하는 스프링 40과; 상기의 스프링지지관이 삽입되는 직선부 121과 구멍 122가 형성되며 안쪽에는 상기의 볼 30들이 삽입되는 반원홈 123이 형성된 연결체 120과; 바디 110의 상측에 조립된 채 용기 20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안내물 60이 조립되도록 하는 링형 바디 51의 안쪽에는 3방향으로 균등히 분할되어 돌출된 나사턱 52들이 형성된 주입안내물 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1-COMPONENT POLYURETHAN SPRAY GUN}
본 고안은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Foam) 분사용 건(Gun)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 등의 마감작업에 있어서 문틀이나 창문틀을 건축물에 조립시킬 때 문틀 또는 창문틀과 건축물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기 마련이다. 이때 상기의 틈새를 메꾸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이다. 이는 틈새의 구석구석까지 침투하여 빈 공간을 메꾸어 주기 때문에 단열효과와 방풍효과 및 방진효과 등이 좋게 하고 벌레 등의 침투를 방지한다. 그리고 건축물에 구멍이 뚫린 곳이나 균열이 생긴 곳에도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은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분사용 건(Gun)이 사용되는데, 이는 도 1과 다소 다른 구조를 가진다. 즉,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이하 건이라 약칭한다) 1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있는 주입안내물 50에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이 고압으로 충진되어 있는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용기 200을 조립시킨 후 노브 150을 당기면 상술한 용기 200 안의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이하 폼이라 약칭한다)은 바디 110의 내부를 관통함과 아울러 노즐 130의 공간 A와 공간 B를 통해 노즐 130의 끝 부분을 통해 외부로 분사가 된다. 이때 축끝 141이 노즐 130의 끝 부분을 막아주고 있는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용기(이하 용기라 약칭한다) 200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아래쪽에 구멍 220이 형성되어 있는 팁 210이 탄성물 23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고정안내물 60이 별도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안내물 60은 상술한 주입안내물 50에 용기 200을 조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종래의 형태를 살펴보면 도 4, 5의 상태에서 돌출관부 61의 외측 전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주입안내물은 도 2, 3과 같은 상태에서 링형 바디 51의 안쪽 전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20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안내물을 주입안내물의 나사구멍에 조립시킴으로써, 용기 200 안의 폼은 건 100의 바디 110 안으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건은 노브 150의 이동거리(당김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나사봉이 바디 110의 좌측부에 돌출되어 있는데, 마치 볼트와 같이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나사봉을 조이면 노브 150의 이동거리는 적어지고 반대로 나사를 풀어주면 노브 150의 이동거리는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봉을 좌회전 혹은 우회전시키면 노브 150에 고정되어 있는 축 140이 전진 혹은 후진하기 때문에 결국 축끝 141이 노즐의 끝 부분을 타이트하게 막아주거나 혹은 유격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조절한 상태에서 노브 150을 당기면 축끝 141과 노즐의 끝 부분 사이의 틈새를 통해 폼은 분사되는데, 이로써 폼의 분사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량을 조절하는 나사봉이 바디 110에 나사식으로 조립이 되어 있어서 나사틈새를 통해 폼이 유출될 우려가 있고, 바디의 외부로 나사봉이 돌출되어 있어서 미관상 불량하고 거추장스러울 뿐만 아니라, 분사량 조절을 위해 나사봉을 계속 돌리다보면 나사봉이 바디로부터 빠져버리는 문제가 발생되어 폼의 유출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비경제적인 단점과 함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주입안내물은 링형 바디 51의 안쪽 전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200과 조립되어 있는 고정안내물 60을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바퀴 이상을 회전시켜서 조립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간단히 조립시키기가 어렵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이 과정에서 팁 210이 압축되어 폼이 용기 200으로부터 유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주입안내물로부터 용기 200을 분리시킬 때에도 폼의 유출현상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디의 외부로 돌출된 나사봉이 없는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Foam) 분사용 건(Gun)을 제공코저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를 주입안내물에 원터치식으로 조립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Foam) 분사용 건(Gun)을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노브 150을 당기면 축 140이 노즐 130 안에서 노브 150 쪽으로 당겨 들어옴에 따라 축끝 141과 노즐의 끝 부분의 틈새를 통해 용기 200 안의 폼이 분사되도록 한 일액형 폴리우레탄 분사용 건(Gun)에 있어서,
안으로 나사구멍 13이 형성된 채, 바디 110에 고정된 연결체 120 안으로 삽입되며 하기의 볼 30이 접촉되는 반원홈 12가 형성된 돌출관부 11을 가지는 회전노브 10과;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구멍 안으로 조립되는 나사부 21 형성되고 연결체 120의 구멍 122에 형성된 직선부 121에 접촉되는 절취부 23이 형성되며, 안으로는 하기의 스프링 40이 조립되는 구멍 22가 형성되어서, 회전노브를 돌리면 회전노브 안에서 전진 혹은 후진하도록 한 스프링지지관 20과; 상기 돌출관부 11과 연결체 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다수의 볼 30들과; 상기 스프링지지관의 전진 또는 후진 작용에 의해 압축강도가 변화하면서 축 140을 지지하는 스프링 40과; 상기의 스프링지지관이 삽입되는 직선부 121과 구멍 122가 형성되며 안쪽에는 상기의 볼 30들이 삽입되는 반원홈 123이 형성된 연결체 120과; 바디 110의 상측에 조립된 채 용기 20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안내물 60이 조립되도록 하는 링형 바디 51의 안쪽에는 3방향으로 균등히 분할되어 돌출된 나사턱 52들이 형성된 주입안내물 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 2a, 3, 3a, 4, 4a, 5, 5a는 본 고안의 구성품을 나타낸 참고도.
도 6, 6a는 본 고안과 연관된 구성품을 나타낸 참고도.
도 7, 7a은 일핵형 폴리우레탄 폼의 용기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회전노브 20:스프링지지관
30:볼 40:스프링
50:주입안내물 60:고정안내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도로써, 바디 110에 고정된 연결체 120 안으로 회전노브 10의 돌출관부 11이 삽입되어 있고, 돌출관부 11과 연결체 120의 사이에는 다수의 볼 30이 삽입되어 있다. 물론, 돌출관부 11에 형성된 반원홈 12에 볼 30이 삽입되며 연결체 120의 안쪽에도 볼 30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홈 123이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회전노브 10의 나사구멍 13에는 스프링지지관 20이 조립되어 있고, 구멍 22에는 스프링 40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프링지지관의 절취부 23은 연결체 120의 구멍 122안으로 삽입되면서 구멍 122에 형성된 직선부 121과 접촉된다. 따라서 회전노브를 회전시켜도 스프링지지관은 연결체 120에 삽입된 채로 직선운동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 40에는 축 140의 좌측부분이 약간 삽입되어 있다. 또한, 바디 110의 상측에는 도 2, 3과 같은 주입안내물 50이 조립되어 있는데, 도 3과 같이 링형 바디 51의 안쪽에는 3방향으로 균등히 분할된 나사턱 5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나사턱 52의 사이사이에는 홈 53들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의 링형 바디 51에는 고정안내물 60의 돌출관부 61이 조립되는데, 상기 돌출관부 61에는 3방향으로 균등히 분할된 나사턱 62들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턱 62들의 사이사이에는 홈 63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안내물 60은 도 6과 같이 용기 20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 200에 조립되어 있는 고정안내물 60의 나사턱 62가 주입안내물 50의 링형 바디 51 안쪽의 홈 53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약 50°정도만 회전시키면 용기 200은 주입안내물 50에 간단히 조립된다. 이때 주입안내물 50의 나사턱 52는 고정안내물 60의 홈 63 안으로 삽입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로써, 주입안내물과 고정안내물은 원터치식으로 짧은 시간안에 간단히 조립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링형 바디 51의 안쪽에 단순한 턱을 3방향으로 돌출시키고 고정안내물 60의 돌출관부 61의 외측에도 3방향으로 단순한 턱을 돌출시켜서, 다시말해서 나사턱이 아닌 단순히 끼워서 돌려 고정시킬 수 있는 턱들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본 고안과 같이 나사턱을 형성시킨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도 4, 5와 같은 고정안내물 60을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래와 같이 고정안내물의 돌출관부 61 외측 전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재래식도 병용으로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의 상태는, 회전노브 10을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돌려서 스프링 지지관 20이 회전노브 10의 나사구멍 13 안으로 최대한 당겨 들어오도록 한 상태이다. 따라서 스프링 40은 탄성력은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노브 150을 당기면 축 140은 노브 150 쪽으로 최대의 거리로 당겨진다. 그러므로 축끝 141과 노즐의 끝 부분 사이의 틈새는 최대가 되어 폼의 분사량이 최대가 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노브 10을 시계방향으로 조일수록 스프링지지관 20은 회전노브의 나사구멍 13으로부터 빠져나가서 결국 스프링 40은 탄성력이 강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스프링 40은 축 140이 노브 150 쪽으로 많이 이동할 수 없도록 간섭한다. 따라서 노브 150을 당겨도 축 140의 이동거리는 도 1의 상태보다 짧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축끝 141과 노즐의 끝 부분 사이의 틈새는 좁아지고 폼의 분사량은 적어진다. 더욱 회전노브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스프링 40의 탄성력을 상승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요령에 의해 축 140의 이동거리는 더욱 짧아지게 되어서 결국 폼의 분사량도 더욱 적어진다. 이와 같이 회전노브 10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폼의 분사량이 간단히 조절된다.
본 고안은, 분사량 조절을 위한 나사봉이 생략되고 제자리에서 회전운동만 하는 회전노브를 돌려주면 스프링지지관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스프링의 압축강도가 변화되어 결국 축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디로부터 회전노브가 이탈되는 현상이 없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디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없어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거추장스럽지 않으며 회전노브가 바디로부터 이탈되는데 대한 우려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입안내물은 용기를 원터치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어 폼의 유출을 막고 조립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새로운 고정안내물 60은 물론 종래의 고정안내물도 병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노브 150을 당기면 축 140이 노즐 130 안에서 노브 150 쪽으로 당겨 들어옴에 따라 축끝 141과 노즐의 끝 부분의 틈새를 통해 용기 200 안의 폼이 분사되도록 한 일액형 폴리우레탄 분사용 건(Gun)에 있어서,
    안으로 나사구멍 13이 형성된 채, 바디 110에 고정된 연결체 120 안으로 삽입되며 하기의 볼 30이 접촉되는 반원홈 12가 형성된 돌출관부 11을 가지는 회전노브 10과;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구멍 안으로 조립되는 나사부 21 형성되고 연결체 120의 구멍 122에 형성된 직선부 121에 접촉되는 절취부 23이 형성되며, 안으로는 하기의 스프링 40이 조립되는 구멍 22가 형성되어서, 회전노브를 돌리면 회전노브 안에서 전진 혹은 후진하도록 한 스프링지지관 20과;
    상기 돌출관부 11과 연결체 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다수의 볼 30들과;
    상기 스프링지지관의 전진 또는 후진 작용에 의해 압축강도가 변화하면서 축 140을 지지하는 스프링 40과;
    상기의 스프링지지관이 삽입되는 직선부 121과 구멍 122가 형성되며 안쪽에는 상기의 볼 30들이 삽입되는 반원홈 123이 형성된 연결체 120과;
    바디 110의 상측에 조립된 채 용기 20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안내물 60이 조립되도록 하는 링형 바디 51의 안쪽에는 3방향으로 균등히 분할되어 돌출된 나사턱 52들이 형성된 주입안내물 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Foam) 분사용 건(Gun).
KR2019990019013U 1999-09-02 1999-09-02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KR200169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013U KR200169892Y1 (ko) 1999-09-02 1999-09-02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013U KR200169892Y1 (ko) 1999-09-02 1999-09-02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892Y1 true KR200169892Y1 (ko) 2000-02-15

Family

ID=1958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13U KR200169892Y1 (ko) 1999-09-02 1999-09-02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8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06B1 (ko) * 2015-12-09 2018-04-13 주식회사 휴먼우드블럭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KR102293678B1 (ko) 2020-04-02 2021-08-26 신백범 캔 타입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발포 분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06B1 (ko) * 2015-12-09 2018-04-13 주식회사 휴먼우드블럭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KR102293678B1 (ko) 2020-04-02 2021-08-26 신백범 캔 타입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발포 분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33B2 (en) Pressing spray mop
USRE29665E (en) Apparatus for ejecting a mixture of a plurality of liquids
KR20160003713U (ko)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폴리우레탄 포말제 스프레이건
CA2305634A1 (en) An injection syringe
KR200169892Y1 (ko)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US4500119A (en) Fluid swivel coupling
WO2004051807A3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tilt steering
RU2488451C2 (ru) Пистолет для пены с устройством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KR200490037Y1 (ko) 원터치 작동방식 욕실 청소용 물분사 헤드
WO2001026820A1 (en) Gun for one-liquid polyurethane foam injection
CN201423328Y (zh) 聚氨酯发泡枪
CN202137080U (zh) 一种pu喷枪的调节锁紧装置
CA2059429A1 (en) Compound needle
US3433420A (en) Spray nozzle and valve
CN203578083U (zh) 一种泡沫剂喷枪
KR102102602B1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CN203635398U (zh) 一种发泡枪的流量调节装置
CN201543516U (zh) 一种用于聚氨酯泡沫填缝剂喷枪喷嘴的密封结构
CN215612912U (zh) 聚氨酯泡沫填缝剂用胶枪
CN103599863A (zh) 一种泡沫剂喷枪
KR200257521Y1 (ko) 다기능 에어 스프레이 건
KR100339030B1 (ko) 저장식 페인트로울러
CN201978842U (zh) 具有安全机构的泡沫堵缝枪
CN218333545U (zh) 开关控制按钮机构、按键结构及淋浴装置
CN220496653U (zh) 一种切换水路的莲蓬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