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06B1 -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 Google Patents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06B1
KR101829806B1 KR1020150175186A KR20150175186A KR101829806B1 KR 101829806 B1 KR101829806 B1 KR 101829806B1 KR 1020150175186 A KR1020150175186 A KR 1020150175186A KR 20150175186 A KR20150175186 A KR 20150175186A KR 101829806 B1 KR101829806 B1 KR 101829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leaner
container
cartrid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233A (ko
Inventor
박창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우드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우드블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우드블럭
Priority to KR102015017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8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너와 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와, 손잡이의 전방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폼이 수용된 폼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폼용기카트리지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의 일측에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폼클리너가 수용된 클리너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리너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우레탄폼 또는 폼클리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레버의 전후 회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폼용기카트리지와 상기 클리너카트리지의 관로 상에는 각각 상기 본체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 및 상기 클리너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폼개폐밸브 및 클리너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FOAM GUN USING FOAM AND FOAM CLEANER SELECTIVELY }
본 발명은 폼 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폼과, 폼을 세정할 수 있는 폼클리너를 일체로 함께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폼 건은 우레탄을 창문틀 또는 문틀 등에 분사하여 방수처리하거나, 건축물의 크랙부분에 분사하여 크랙을 메우는데 사용된다. 폼 건은 우레탄을 작업자가 희망하는 곳에 정확하게 도포함과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폼 건의 일례가 등록실용신안 제20-0169892호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폼 건(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폼 건(10)은 손잡이(11)와 레버(13)가 구비된 본체의 상부의 폼카트리지(15)에 폼용기가 결합되고, 레버(13)를 가압하면 배출관(17)을 통해 폼용기 내부의 우레탄폼이 외부로 분사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폼용기 내부의 우레탄폼은 압축된 고압가스가 에어로졸 형태로 배출관(17)으로 배출된다. 우레탄폼은 폼용기로부터 배출되자마자 부풀어 오르며 빠르게 굳는다.
이렇게 우레탄폼이 빠르게 굳기 때문에 폼 건(10)의 내부를 아세톤과 같은 유기용매로 세척하지 않으면 폼 건(10) 내부에 잔류하는 우레탄폼이 굳어 폼 건(10)을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폼 건(10)의 사용을 10분 이상 중단할 경우, 폼카트리지(15)로부터 폼용기를 분리하고, 폼클리너용기를 폼카트리지(15)에 결합시켜 폼클리너로 세척을 해주어야만 한다.
종래 폼 건(10)은 내부의 우레탄폼이 굳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을 중단할 때마다 폼용기와 폼클리너용기를 교체하여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한번 폼 건(10)에 결합되어 사용된 폼용기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우레탄폼의 양이 얼마가 되었든 굳어버려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현장에서 버려지는 폼용기가 많아 작업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폼 건에 폼용기와 폼클리너를 함께 결합하여 작업자가 폼용기와 폼클리너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없앤 폼 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와 폼용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폼용기 내부의 폼을 굳지 않은 상태로 끝까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폼 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폼 건은, 손잡이와, 손잡이의 전방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폼이 수용된 폼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폼용기카트리지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의 일측에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폼클리너가 수용된 클리너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리너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우레탄폼 또는 폼클리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레버의 전후 회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폼용기카트리지와 상기 클리너카트리지의 관로 상에는 각각 상기 본체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 및 상기 클리너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폼개폐밸브 및 클리너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개폐밸브는 상기 본체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폼이동관에 폼개폐밸브노브에 의해 회동조작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폼개폐밸브가 상기 폼이동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 상기 폼용기의 우레탄폼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폼개폐밸브가 상기 폼이동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 상기 폼용기의 우레탄폼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캡의 내부에는 유기용매가 흡수되어 상기 배출공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은 폼용기와 폼클리너용기를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우레탄폼과 폼클리너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사용자가 하나의 카트리지에 폼용기와 폼클리너용기를 교환하여 장착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장착된 폼개폐밸브노브와 클리너개폐밸브노브의 간단한 조작으로 폼과 폼클리너의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은 배출관에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캡 내부에는 유기용매가 도포된 스펀지부재가 내장되어 공기의 유입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폼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되지 않은 폼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폼용기 내부에 수용된 우레탄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폼 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을 우레탄폼의 분사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을 폼클리너로 세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폼 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폼 건(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 건(100)은 폼용기카트리지(115)와 클리너카트리지(117)가 구비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우레탄폼 또는 폼클리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0)과, 배출관(120)의 내부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관(120)을 개폐하는 차단봉(130)과, 본체(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폼이 배출되는 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40)와, 배출관(120)의 선단에 결합되어 배출관(120) 내부로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캡(15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배출관(120)과 한 쌍의 카트리지(115,117) 및 레버(113)를 서로 연결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카트리지(115,117)로부터 배출된 우레탄폼(a)과 폼클리너(b)를 배출관(120) 측으로 이동시키는 유동로(114)가 형성된다. 유동로(114)는 폼이동관(115a) 및 클리너이동관(117a)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본체(11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111)가 구비되고, 손잡이(111)의 전방에 전후로 회동되는 레버(113)가 구비된다. 레버(113)는 본체(110)에 회동축(113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113)는 차단봉(130)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레버(113)의 일영역에 차단봉(130)의 일영역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레버(113)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차단봉(130)도 배출관(120) 내부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차단봉(130)의 일영역은 레버(113)와 고정되게 결합되어 레버(113)와 함께 차단봉(130)이 전후로 이동된다.
레버(113)가 전후로 이동되는 거리는 조절나사(140)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거리에 의해 조절되고, 레버(113)가 이동되는 거리가 클수록 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우레탄폼(a)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폼용기카트리지(115)와 클리너카트리지(117)는 각각 본체(110)의 상단에 구비된다. 폼용기카트리지(115)에는 우레탄폼(a)이 수용된 폼용기(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리너카트리지(117)에는 폼클리너(b)가 수용된 폼클리너용기(B)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폼용기카트리지(115)와 폼클리너카트리지(117)는 서로 구성이 동일하므로 경우에 따라 폼용기카트리지(115)에 폼클리너용기(B)가 결합될 수 있고, 폼클리너카트리지(117)에 폼용기(A)가 결합될 수도 있다.
폼용기카트리지(115)와 본체(110)는 폼이동관(115a)에 의해 결합된다. 폼이동관(115a)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우레탄폼(a)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볼밸브(115d)가 구비된다. 폼이동관(115a)과 폼용기카트리지(115) 사이에는 제1볼밸브(115d)의 직경보다 좁은 제1걸림단(115b)이 형성된다. 제1볼밸브(115d)의 하부에는 제1탄성부재(115c)가 제1볼밸브(115d)가 제1걸림단(115b)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레버(113)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탄성부재(115c)의 탄성력에 의해 제1볼밸브(115d)가 제1걸림단(115b)에 접촉되어 유로를 막으므로 우레탄폼(a)이 본체(110) 측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반면, 레버(113)가 가압되고 차단봉(130)이 후퇴하여 배출관(120)이 개방되면 폼용기(A) 내부의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면서 제1볼밸브(115d)를 본체(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우레탄폼(a)이 폼이동관(115a)을 통해 유동로(114)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폼이동관(115a)의 관로상에는 폼이동관(115a)을 개폐하는 폼개폐밸브(116)가 구비된다. 폼개폐밸브(116)는 폼이동관(115a)의 외부에 구비된 폼개폐밸브노브(116a)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폼이동관(115a)의 관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폼(a)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폼개폐밸브(116)를 폼이동관(115a)의 관로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회동시켜 폼개폐밸브(116)가 폼이동관(115a)의 관로를 막게 한다. 반면, 우레탄폼(a)을 사용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개폐밸브(116)를 폼이동관(115a)의 관로 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회동시켜 폼개폐밸브(116)가 폼이동관(115a)을 개방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우레탄폼(a)이 폼이동관(115a)을 유동할 수 있다.
클리너카트리지(117)는 폼용기카트리지(115)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다. 클리너카트리지(117)에 결합된 폼클리너용기(B)로부터 배출된 폼클리너(b)는 클리너이동관(117a)을 통해 유동로(114)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클리너이동관(117a)의 관로상에는 제2볼밸브(117d)와, 제2걸림단(117b) 및 제2탄성부재(117c)가 구비된다.
그리고, 클리너이동관(117a)에는 클리너개폐밸브(118)가 구비되어 폼클리너(b)의 사용여부를 제한하게 된다. 클리너개폐밸브(118)는 클리너개폐밸브노브(118a)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구동된다.
배출관(120)은 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우레탄폼(a)과 폼클리너(b)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관(120)의 선단에는 우레탄폼(a)과 폼클리너(b)를 배출하는 배출공(121)이 관통형성된다. 배출공(121)은 배출관(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술할 차단봉(130)의 선단(131)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30)의 선단이 후퇴하며 개방된다.
배출관(120)의 후단(135)은 본체(110)에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출관(120)의 후단(135)은 본체(110)의 선단에 나사결합된다.
차단봉(130)은 배출관(12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레버(113)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후로 이동하며 배출공(121)을 개폐한다. 차단봉(130)의 선단(131)의 외경은 배출공(121)의 내경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배출공(121)에 삽입되어 배출공(121)을 막는다.
차단봉(130)의 후단(135)은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에 결합된다. 레버(113)가 회동되면, 레버(113)의 이동압력에 의해 차단봉(130)이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를 가압하며 뒤로 후퇴하고 선단(131)이 배출공(121)으로부터 후퇴한다. 레버(113)를 가압하는 압력이 사라지면 차단봉(130)은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선단(131)이 배출공(121)을 다시 막게 된다.
조절나사(140)는 본체(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레버(113)가 회동되는 거리, 즉 차단봉(130)이 후퇴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우레탄폼(a)의 양을 조절한다.
조절나사(14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10)에 나사결합된다. 사용자가 조절나사(14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140)가 본체(110)를 향해 내부로 이동되거나 본체(110)로부터 밖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절나사(140)가 본체(110) 내부로 이동되면, 조절나사(140)가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절나사(140)와 차단봉(130)의 후단(135) 사이에 배치된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차단봉(130)이 후퇴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즉, 조절나사(140)가 본체(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배출될 수록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가 신장되므로 차단봉(130)이 후퇴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즉, 레버(113)를 당길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차단봉(130)이 후퇴되는 거리가 길어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21)과 차단봉(130)의 선단(131)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출공(121)과 차단봉(130)의 선단(131)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우레탄폼(a)의 배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캡(150)은 배출관(120)의 선단에 결합되어 배출관(1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캡(150)은 배출관(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캡(150)은 일정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캡(150)의 내부에는 폼클리너와 동일한 유기용매가 적셔진 스펀지부재(151)가 내장된다. 캡(150)이 배출관(120)의 선단에 결합되면, 배출공(121)이 스펀지부재(151)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스펀지부재(151)에 침지된 유기용매가 배출공(121)과 접촉되면서 공기가 배출공(1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배출공(121) 주변의 우레탄폼(a)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폼 건(100)의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폼 건(100)의 폼용기카트리지(115)와 클리너카트리지(117)에 각각 폼용기(A)와 폼클리너용기(B)를 결합시킨다.
폼용기(A)와 폼클리너용기(B)에는 각각 카트리지커넥터(c)가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사용자가 폼용기카트리지(115)와 클리너카트리지(117)에 폼용기(A)와 폼클리너용기(B)를 결합하면 각각의 카트리지커넥터(c)가 폼이동관(115a)과 클리너이동관(117a) 내부로 삽입된다. 커넥터(c)는 제1걸림단(115b)과 제2걸림단(117b)까지 삽입되고, 제1볼밸브(115d)와 제2볼밸브(117d)에 의해 막혀져 내부의 우레탄폼(a)과 폼클리너(b)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이 때, 폼용기(A) 내부에는 우레탄폼(a)이 고압의 가스와 함께 수용되고, 폼클리너용기(B) 내부에는 폼클리너(b)가 고압의 가스와 함께 수용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폼(a)과 폼클리너(b)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폼개폐밸브노브(116a)와 클리너개폐밸브노브(118a)를 수평하게 배치한다. 이에 의해 폼이동관(115a)과 클리너이동관(117a)이 폼개폐밸브(116)와 클리너개폐밸브(118)에 의해 막혀져 우레탄폼(a)과 폼클리너(b)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레버(113)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봉(130)의 선단(131)은 배출관(120)의 배출공(121)을 막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레탄폼(a)을 희망하는 장소에 도포하고자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개폐밸브(116)를 수직하게 배치시킨다. 이 때, 클리너개폐밸브(118)는 수평하게 배치시킨다. 그리고, 레버(113)를 손잡이(111) 방향으로 회동하면, 레버(113)의 이동에 연동하여 차단봉(130)이 뒤로 후퇴한다.
차단봉(130)이 차단봉지지탄성부재(137)를 가압하며 뒤로 이동하면 차단봉(130)의 선단(131)이 배출공(121)으로부터 후퇴하고, 배출관(120)이 개방된다. 배출관(120)이 개방되면, 배출관(12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폼용기(A) 내부의 고압의 가스가 배출관(120) 측으로 이동한다. 고압의 가스가 제1볼밸브(115d)를 하부로 밀어내며 유동로(114)를 통해 배출관(120)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우레탄폼(a)도 이동하게 된다.
우레탄폼(a)은 배출관(120)의 내경과 차단봉(130) 사이의 여유공간으로 이동되고, 차단봉(130)의 선단(131)과 배출공(121)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레버(113)의 이동거리가 커 선단(131)과 배출공(121) 사이의 이격공간이 클 수록 배출되는 우레탄폼(a)의 양이 많아진다.
일정시간 동안 레버(113)를 가압하며 희망하는 위치에 우레탄폼(a)을 도포한 후, 우레탄폼 도포작업을 10분 이상 멈춰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개폐밸브(116)를 수평하게 조작하고 클리너개폐밸브(118)를 수직하게 조작한다.
그리고, 레버(113)를 손잡이(111)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폼클리너용기(B) 내부의 폼클리너(b)가 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며 본체(110)와 배출관(120) 내부에 잔류하는 우레탄폼(a)을 녹여 제거하게 된다.
이 때, 폼클리너카트리지(117)가 폼용기카트리지(115) 보다 후방에 위치해야만 본체(110)와 배출관(120) 내부에 잔류하는 우레탄폼(a)을 모두 녹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폼클리너(b)를 통해 세척이 완료되면,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개폐밸브(116)와 클리너개폐밸브(118)를 모두 수평한 상태로 조작하고, 대기하게 된다. 이렇게 대기하는 경우, 배출관(120)의 선단에는 캡(150)을 씌워 보관한다. 캡(150) 내부에는 유기용매가 흡습된 스펀지부재(151)가 내장되고, 스펀지부재(151)가 배출공(121)을 막아 배출공(12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폼용기(A)로 공기가 이동되어 폼용기(A) 내부의 폼이 굳어 못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은 폼용기와 폼클리너용기를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우레탄폼과 폼클리너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사용자가 하나의 카트리지에 폼용기와 폼클리너용기를 교환하여 장착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장착된 폼개폐밸브노브와 클리너개폐밸브노브의 간단한 조작으로 폼과 폼클리너의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폼 건은 배출관에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캡 내부에는 유기용매가 도포된 스펀지부재가 내장되어 공기의 유입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폼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되지 않은 폼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폼용기 내부에 수용된 우레탄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폼 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클리너와 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건
110 : 본체 111 : 손잡이
113 : 레버 113a : 회동축
114 : 유동로 115 : 폼용기카트리지
115a : 폼이동관 115b : 제1걸림단
115c : 제1탄성부재 115d : 제1볼밸브
116 : 폼개폐밸브 116a : 폼개폐밸브노브
117 : 클리너카트리지 117a : 클리너이동관
117b : 제2걸림단 117c : 제2탄성부재
117d : 제2볼밸브 118 : 클리너개폐밸브
118a : 클리너개폐밸브노브 120 : 배출관
121 : 배출공 123 : 본체결합단
130 : 차단봉 131 : 선단
135 : 후단 137 : 차단봉지지탄성부재
140 : 조절나사 150 : 캡
151 : 스펀지부재
A : 폼용기
B : 폼클리너용기
a : 우레탄폼
b : 폼클리너
c : 카트리지커넥터

Claims (3)

  1. 손잡이와, 손잡이의 전방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폼이 수용된 폼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폼용기카트리지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의 일측에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폼클리너가 수용된 폼클리너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리너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우레탄폼 또는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레버의 전후 회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폼용기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폼이동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폼이동관의 관로 상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폼용기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폼개폐밸브가 폼개폐밸브노브에 의해 회동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폼개폐밸브가 상기 폼이동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 상기 폼용기의 우레탄폼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폼개폐밸브가 상기 폼이동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 상기 폼용기의 우레탄폼이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며,
    상기 클리너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클리너이동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클리너이동관의 관로 상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클리너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클리너개폐밸브가 클리너개폐밸브노브에 의해 회동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리너개폐밸브가 상기 클리너이동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 상기 폼클리너용기의 폼클리너가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클리너개폐밸브가 상기 클리너이동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 상기 폼클리너용기의 폼클리너가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우레탄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캡의 내부에는 유기용매가 흡수되어 상기 배출공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건.

KR1020150175186A 2015-12-09 2015-12-09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KR10182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186A KR101829806B1 (ko) 2015-12-09 2015-12-09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186A KR101829806B1 (ko) 2015-12-09 2015-12-09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233A KR20170068233A (ko) 2017-06-19
KR101829806B1 true KR101829806B1 (ko) 2018-04-13

Family

ID=5927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186A KR101829806B1 (ko) 2015-12-09 2015-12-09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8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70A (ko) * 2018-09-12 2020-03-20 조희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KR102293678B1 (ko) 2020-04-02 2021-08-26 신백범 캔 타입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발포 분사기
KR20220067240A (ko) 2020-11-17 2022-05-24 최준혁 우레탄폼과 전용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우레탄폼 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92Y1 (ko) * 1999-09-02 2000-02-15 주식회사함일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92Y1 (ko) * 1999-09-02 2000-02-15 주식회사함일 일액형 폴리우레탄 폼 분사용 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70A (ko) * 2018-09-12 2020-03-20 조희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KR102102602B1 (ko) * 2018-09-12 2020-04-21 조희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KR102293678B1 (ko) 2020-04-02 2021-08-26 신백범 캔 타입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한 발포 분사기
KR20220067240A (ko) 2020-11-17 2022-05-24 최준혁 우레탄폼과 전용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우레탄폼 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233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06B1 (ko) 폼과 폼클리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폼 건
CA2408500C (en) Viscous fluid compound applicator
US6264071B1 (en) Viscous material dispenser
US3443725A (en) Pistol dispenser for fluent material
US20120145748A1 (en) One-touch-type gel container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KR200437724Y1 (ko) 실리콘 건
KR101625376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0406080Y1 (ko) 실리콘 건
KR200477094Y1 (ko) 실리콘용 시공 건
KR101533378B1 (ko)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CN113477443B (zh) 一种工艺礼品表面修复液便携喷涂设备
KR20130059804A (ko) 쌀 배출수단을 구비한 쌀통
CN110652683B (zh) 一种能够快速启用的消防柜
KR101151983B1 (ko) 스프레이 건
KR101066101B1 (ko) 링크 푸시형 실리콘 건
KR101840926B1 (ko) 2회 자동 세정기능이 구비된 발포 디스펜서
JP2019025401A (ja) 2回の自動洗浄機能を備えた発泡ディスペンサー
CN104161566B (zh) 咬合钳
KR102102602B1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CN205587187U (zh) 一种自动伸缩喷枪
CN210144610U (zh) 清洁装置
DE202019101172U1 (de) Abflussreinigungsgerät
KR20230139671A (ko) 반자동식 실리콘 건
KR101679973B1 (ko) 윈도우 글라스 클리너 장치
KR102654099B1 (ko) 압출형 퍼티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