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794Y1 -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794Y1
KR200169794Y1 KR2019990020712U KR19990020712U KR200169794Y1 KR 200169794 Y1 KR200169794 Y1 KR 200169794Y1 KR 2019990020712 U KR2019990020712 U KR 2019990020712U KR 19990020712 U KR19990020712 U KR 19990020712U KR 200169794 Y1 KR200169794 Y1 KR 200169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ehydration
clutch
washing machin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인전자
Priority to KR2019990020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과 탈수가 한조에서 이루어지는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 아세이의 탈수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탈수축의 구조는 막대모양의 원형 샤프트 외면에 사각지지면이 형성된 것과, 막대모양의 원형 샤프트의 일측면에 플랜지가 형성된 것이 있는데, 이와같은 구조의 탈수축은 클러치 아세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먼저 설명한 구조인 샤프트 외면에 사각지지면이 형성된 탈수축의 경우, 절삭가공시 사각부의 동심도 및 평행도 등의 정밀도를 유지하는데 어렵움이 있는 구조이고,
또 다른 구조의 탈수축의 구조인 샤프트의 일측면에 플랜지 형상의 탈수축을 이용하여 조립을 하는 경우, 컬링작업공정, 드럼체조립공정, 하우징 아세이를 조립하게 되는데 플랜지의 간섭 등으로 바람직한 조립방법을 강구할 수 없는 구조로서 조립이 완성된 제품을 적용한 세탁기에서 잦은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탈수통의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은 상기와 같은 탈수축의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단으로 고안된 것으로, 탈수축의 플랜지 부분과 샤프트부를 분리 가공하여 사용하는바, 조립과정이 쉽고 각각의 부속품을 바람직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양질의 탈수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본 고안은 세탁기용 클러치 아세이의 탈수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탈수축의 샤프트부와 플랜지부를 분리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한 탈수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클러치 탈수축은 예시도면 제4도의 (가)는 막대형상의 원형 샤프트 외면에 사각지지부가 형성된 탈수축을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조립한 것을 예시도면 제5도와 같이 설명한다.
이와같이 샤프트 외면에 사각지지부가 형성된 탈수축의 경우, 가공작업상의 동심도, 직각도, 평행도 등의 정밀한 칫수를 얻기 어려운 구조이며,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클러치를 회동시킬 경우 탈수과정에서 과다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됨은 물론, 클러치 전체의 잦은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또다른 구조의 탈수축으로는 예시도 4도 (나)에서의 설명과 같이 플랜지부와 샤프트부가 일체형으로 된 것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조립한 것을 예시도면 제6도와 같이 설명한다.
이와같은 탈수축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드럼조립체, 하우징 아세이, 베이스 아세이, 순으로 조립공정이 이루워 지는데, 샤프트부 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로 인하여 클러치의 베이스 아세이를 조립하기 어렵고, 상기와 같은 순서로 조립할 경우 컬링공정, 하우징 아세이조립공정, 드럼 조립체공정 등의 조립 품질에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단으로 탈수축의 구조을 플랜지부와 샤프트부가 분리된 특징이 있는 탈수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조립으로 인하여 회동시 클러치의 탈수축에서 오는 소음, 진동 등의 문제를 해소시킬수 있고, 탈수축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조립작업이 까다롭게 되어 중간공정의 품질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조립하는 어려움이 초례되었으나, 본 고안의 탈수축을 플랜지부와 샤프트부가 분리된 구조의 것을 제공하게 되는바, 결론적으로 클러치의 품질을 향상시켜 불량품 생산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세탁기용 클러치의 구조가 플랜지 부분과 샤프트부가 각각 분리된 것을 채용하여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으로 (가)는 플랜지부와 샤프트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한 것이고, (나)는 (가)를 조립한 상태의 것이다.
제3도는 세탁기용 클러치 부속품의 종류중 조립된 드럼구조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제4도는 세탁기용 클러치의 부속품을 나타낸 것으로, (가)는 종래의 막대형상의 샤프트 외면에 사각지지부를 구성한 탈수축 설명도이며, (나)는 플랜지부와 샤프트가 일체형으로 된 탈수축의 설명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막대형상의 샤프트 외면에 사각지지부를 구성한 탈수축을 채용하여 조립된 클러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또 다른 구조인 플랜지부와 샤프트가 일체형으로 된 탈수축을 채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클러치 2 : 탈수축
3 : 탈수축 샤프트 4 : 플랜지부
5 : 베이스 6 : 펄세이터 축
7 : 스프링 8 : 하우징
9 : 유성 기어 10 : 드럼 조립체
11 : 풀리축 12 : 브레이크 레바 스프링
13 : 드럼 플레이트 14 : 드럼케이스
15 : 기어축 16 : 고정기어
본 고안의 세탁기용 클러치(1) 탈수축(2)의 구조를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의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플랜지부(4)와 탈수축샤프트(3)가 각각 분리 가공 된 상태의 것을 채용하여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1) 아세이의 탈수축(2)에 탈수통을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로서, 세탁을 하는 회동 방법으로는 드럼 조립체(10)에 내장되어 있으며 벨트 구동장치로부터 풀리축(11)에 동력을 전달받아 유성 기어(9)를 통하여 소정의 비율로 감속하여 펄세이터축 (6)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풀리축(11)은 드럼 조립체(10)의 드럼플레이트 내측에 압입된 오일레스 메탈에 의해 양단지지 되며 그 하단에는 커플링과 풀리가 조립된다. 유성 기어(9)는 드럼 플레이트(13)상단에 수개의 돌기부에 고정되며, 입력부에는 풀리축(11)의 기어부가 삽입되고 출력부에는 펄세이터축 (6)의 하단이 삽입된다.
펄세이터축(6)은 탈수축(2)내측에 압입된 오일레스 메탈에 의해 양단지지 되며, 그 상단에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축(6)가 조립된다. 드럼 조립체(10)의 내부에 세탁시 사용하는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탈수축(2) 내측과 펄세이터 축(6) 외부축 사이에 오일 씰이 설치되어 있다.
탈수가 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벨트 구동장치로부터 풀리축(11)에 동력을 전달받아 커플링, 클러치 스프링(7), 드럼 플레이트(13), 드럼 케이스(14), 탈수축(2)을 통하여 탈수축(2) 상단에 조립되는 세탁기의 탈수통 조립체와 직결되어 회전한다.
회전 비율은 입력축과 출력축이 1 : 1 로 구성되며, 풀리축(11) 하단에는 커플링이 조립되어 그 외측과 드럼플레이트(13) 하단 외측은 클러치 스프링(7)에 의해 감겨 풀리축(11)에서 드럼플레이트(13)로 동력을 전달한다.
드럼 케이스(14)에 컬링으로 체결된 드럼플레이트(13)는 하우징(8)에 압입된 일체형 클러치베어링 내륜에 압입지지되며, 드럼 케이스(14)에 압입된 탈수축(2)은 베이스에 압입된 볼베어링 내륜에 형합되어 지지되고, 그 상단은 세탁기의 조립체와 볼트 체결된다.
탈수기능에 의하여 고속회전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조립체를 규정된 범위내에 제동 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밴드판에 브레이크 라이링이 접착된 브레이크 밴드 조립체는 그 한쪽은 하우징 외측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은 하우징 전면에 수직 조립된 브레이크 레바 연결 로드에 지지된 브레이크 레바에 조립되어 드럼 케이스(14) 외측에 감겨있다.
브레이크 밴드 조립체와 드럼 케이스(14) 사이에 면압을 가지기 위해 브레이크 레바 연결 로드 외측에 조립된 브레이크 레바 스프링(12)은 그 암 한쪽이 하우징 외측에 다른 한쪽은 브레이크 레바에 조립되어 브레이크 밴드 조립체의 가동부에 인장을 가하며 탈수시에는 브레이크 밴드 조립체와 드럼 케이스(14)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고 제동 및 세탁시에는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기능과 탈수기능의 전환장치인 클러치(1) 작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레바, 클러치레바, 클러치보스, 클러치스프링(7)등으로 구성되는 클러치(1) 시스템은 클러치 스프링(7)의 감김, 풀림작용을 유도하여 감김시에는 탈수가 되고, 풀림시에는 세탁기능으로 전환을 하게한다.
클러치 레바는 하우징(8)에 조립된 브레이크 레바 연결로드에 조립되어 브레이크 레바에 조립된 조정볼트에 의해 브레이크 레바의 수평 이동을 받아 회전이동 하게된다. 클러치스프링(7)의 경소부는 드럼 플레이트(13) 하단 외측에 조립되고 경대부는 풀리축(11)에 체결된 커플링 외측에 조립되며, 클러치스프링(7) 하단의 고리는 클러치보스 하단의 틈새에 조립된다.
또한, 클러치 레바가 회전이동하기 전에는 클러치 레바가 클러치보스의 산을 소정의 각도로 밀고있어 클러치스프링(7) 하단의 고리가 풀리는 방향으로 밀려 클러치스프링(7) 내측과 커플링 외측사이에 간격이 생겨 풀리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클러치 레바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동하게 되면 클러치레바가 클러치 보스의 산으로부터 빠져나와 클러치스프링(7)의 고리부는 커플링의 외측에 밀착감김 작용을 하여 커플링의 회전을 드럼 플레이트(13)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술한바와 같이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에 있어서, 플랜지부(4)와 탈수축샤프트(3)부가 분리된 탈수축(2)은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불량품 생산을 방지할 수 있어 클러치(1)의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회동시 탈수통의 진동, 소음을 감소시키고, 종래의 탈수축(2)의 구조상으로 인한 조립성이 난해함을 해소함으로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기어축(15)과 감속장치인 유성기어(9),고정기어(16) 등이 결합하여 드럼조립체(10)로 된 전자동 세탁기 클러치(1) 탈수축(2)의 구조에 있어서,
    탈수축(2)의 구조가 플랜지부(4)와 탈수축샤프트(3)부로 분리된 특징을 가진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탈수축.
KR2019990020712U 1999-09-21 1999-09-21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KR200169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12U KR200169794Y1 (ko) 1999-09-21 1999-09-21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12U KR200169794Y1 (ko) 1999-09-21 1999-09-21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794Y1 true KR200169794Y1 (ko) 2000-02-15

Family

ID=1959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712U KR200169794Y1 (ko) 1999-09-21 1999-09-21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7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58701B (zh) 驱动部组装体以及包括驱动部组装体的顶部装载式洗衣机
KR200169794Y1 (ko) 세탁기용 클러치 탈수축의 구조
KR20020058548A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30073850A (ko) 전자동 세탁기
JPS5818118B2 (ja) 全自動洗濯機の駆動装置
KR20030023316A (ko)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구조
JP3035100B2 (ja) 全自動洗濯機の軸受装置
KR200170648Y1 (ko) 세탁기용 클러치의 커버기능이 겸비된 베이스 판넬 구조
KR200172435Y1 (ko) 세탁기용 클러치의 세탁 및 탈수 전환장치
US4377121A (en) Bobbin case
KR100445997B1 (ko) 세탁기용 트랜스미션
KR102667041B1 (ko) 구동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탑로더 세탁기
KR950007854B1 (ko) 전자동 세탁기
KR0175184B1 (ko) 탈수겸용 세탁기
US10927490B2 (en) Clutch device and washing machine
KR0132540B1 (ko) 탈수통의 회전축조립구조
KR20020094586A (ko) 전자동 세탁기
KR0128893Y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008625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구조
JP2754787B2 (ja) 脱水洗濯機のクラッチ切換装置
JPS6118868Y2 (ko)
KR20020067951A (ko) 전자동 세탁기
JPS58130093A (ja) 全自動洗濯機の駆動装置
KR20040013992A (ko)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JPS60179091A (ja)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