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565Y1 -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9565Y1 KR200169565Y1 KR2019990018946U KR19990018946U KR200169565Y1 KR 200169565 Y1 KR200169565 Y1 KR 200169565Y1 KR 2019990018946 U KR2019990018946 U KR 2019990018946U KR 19990018946 U KR19990018946 U KR 19990018946U KR 200169565 Y1 KR200169565 Y1 KR 2001695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door
- hinge
- refrigerator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캐비닛에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장치를 개선하여 도어의 분해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에 의하면, 캐비닛(10)의 상면 외상(10a)을 관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레버(53)를 통해 힌지축(52)이 마련된 힌지판(51)이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도어(30)의 분해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설치장소의 변경 및 유통 중에 고정레버(53)를 통해 도어(30)를 분해하여 운반한 후 별도의 공구없이 다시 조립할 수 있어 이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냉장고의 생산라인에서도 도어(30)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에 도어 일측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닛, 캐비닛의 앞면부에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캐비닛에 마련된 저장실에는 식품을 칸칸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선반이 다단으로 마련된다.
도어는 일측 상하단부가 힌지를 통해 캐비닛 앞면에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도어의 배면에는 크기가 작은 식품, 즉 음료수 등이 꽂아져 보관되도록 도어선반이 마련된다.
한편, 이러한 도어를 캐비닛에 결합하는 힌지는 상힌지와 하힌지로 구별되는데, 상힌지를 통해 캐비닛 상측과 도어의 일측 상단이 결합되고, 하힌지를 통해 캐비닛 하측과 도어의 일측 하단이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힌지(3)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3b)이 선단부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힌지판(3a), 힌지판(3a)을 캐비닛(1)의 일측 상면부에 고정하는 4개의 볼트(3d)를 구비한다. 힌지판(3a)의 후방부에는 4개의 볼트(3d)가 관통하도록 4개의 관통공(3c)이 천공되며, 도어(2)의 우측 상단에는 힌지축(3b)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2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2)에 형성된 결합구(2a)에 힌지축(3b)을 삽입한 후, 볼트(3d)를 통해 힌지판(3a)을 캐비닛(1)의 일측 상면부에 고정하면, 힌지축(3b)을 중심으로 도어(2)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실(1a)을 개폐한다.
한편,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도 대용량의 냉장고를 선호하고 있는데, 대형 냉장고는 캐비닛(1)의 사이즈가 너무 커서 아파트의 현관문을 통해 실내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캐비닛(1)과 도어(2)를 분해하여 운반한 후 설치장소에서 다시 조립하였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힌지(3)를 통해 도어(2)가 결합된 종래 냉장고의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4개의 볼트(3d)를 모두 풀어 캐비닛(1)으로부터 힌지판(3a)을 분리시킨 후, 도어(2)를 들어 캐비닛(1)으로 분해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냉장고는 도어(2)의 분해조립 시 스패너 등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힌지판(3a)을 고정하는 볼트(3d)를 일일이 풀고 조여야하기 때문에, 도어(2)의 분해조립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볼트(3d)에 가공된 나사선이 마모되어 재사용이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일측 단부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힌지축이 마련된 힌지판을 캐비닛에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도어의 분해조립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도어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결합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레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Ⅶ - Ⅶ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 힌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캐비닛 10e..삽입구 30..도어
50..상힌지 51..힌지판 51c..관통공
52..힌지축 53..고정레버 53d..걸림턱
53c,53d..누름부 53e,53f..압박턱 54..보강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캐비닛,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도어의 일측 단부를 캐비닛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힌지축이 마련된 힌지장치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힌지장치는,
일단에 힌지축이 마련되며 캐비닛 일면에 결합되도록 타단에 고정돌기와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판,
캐비닛의 일면 외상에 고정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마련된 고정홈 및 관통공과 연통되게 마련되며 반경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된 삽입구,
힌지판을 고정하도록 하단부가 관통공과 삽입구를 관통하여 캐비닛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저장실(20)이 좌우로 구획된 캐비닛(10), 저장실(20)을 개폐하도록 캐비닛(10)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도어(30)를 구비한다.
저장실(20)은 캐비닛(10)의 앞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여기에는 식품을 칸칸으로 수납하기 위한 다수개의 선반(21)이 설치된다.
한쌍의 도어(30)는 앞면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31)가 장착되고, 배면에 크기가 작은 식품과 물통 등이 수납되는 도어선반(32)이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30)는 일측 상하단이 캐비닛(10) 상하부에 힌지장치(40)(50)를 통해 결합되는데, 이것은 상힌지(50)와 하힌지(40)로 구별된다. 즉, 상힌지(50)를 통해 도어(30)의 일측 상단이 캐비닛(10) 상부에 결합되고, 하힌지(40)를 통해 도어(30)의 일측 하단이 캐비닛(10)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이를 중심으로 도어(30)가 좌우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힌지(50)는 일단에 힌지축(52)이 마련되며 타단이 캐비닛(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힌지판(51), 힌지판(51)의 타단을 캐비닛(10)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T'자 형상의 고정레버(53)를 구비하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30)의 일측 상단에는 힌지축(52)이 헐겁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축결합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판(51)은 일단이 캐비닛(10)의 전방측, 즉 도어(3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타단은 캐비닛(10)의 일측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캐비닛(10) 전방측으로 돌출된 힌지판(51) 일단에 힌지축(52)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힌지판(51)의 결합을 위해 힌지판(51)의 타단에는 한쌍의 전방고정돌기(51a)와 후방고정돌기(51b) 및 관통공(51c)이 마련된다. 그리고 캐비닛(10) 상면에는 한쌍의 전방고정홈(10c)과 후방고정홈(10d) 및 삽입구(10e)가 형성되며, 상면 내부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보강판(54)이 매설된다.
한쌍의 전방고정돌기(51a)는 힌지판(51) 타단의 전방부 양측에 마련되는데, 이것은 힌지판(51)의 일부를 절결하여 단부를 하측방향으로 벤딩함으로써 일체로 구성된다. 후방고정돌기(51b)는 힌지판(51) 타단의 후방부 양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하측방향으로 약간 단차지게 형성된다. 관통공(10e)은 힌지판(51) 타단의 중심부위에 원형상으로 천공되는데, 후술하는 고정레버(53)의 걸림턱(53b)이 여유있게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한쌍의 전방고정홈(10c)과 후방고정홈(10d)은 힌지판(51)의 결합 시 전방고정돌기(51a)와 후방고정돌기(51b)가 삽입되도록 캐비닛(10) 상면을 이루는 금속재질의 외상(10a)에 마련되며, 삽입구(10e)는 관통공(51c)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방향으로 키홈(10f)을 갖도록 형성된다.
삽입구(10e)의 직경(D)은 고정레버(53)의 중심부(53a) 폭(W)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판(54)은 캐비닛(10) 상면의 외상(10a)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삽입구(10e)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통되는 걸림구(54a)가 가로방향으로 천공된다. 즉, 삽입구(10e)와 걸림구(54a)가 연통되도록 캐비닛(10)의 외상(10a) 내면에 보강판(54)을 가조립한 후, 캐비닛(10) 내부에 단열재인 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벽(10b, 도 7참조)을 형성하면, 보강판(54)은 캐비닛(10) 외상(10a)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견고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T'자 형상의 고정레버(53)는 힌지판(51)의 상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단이 삽입구(10e)와 결합구(54a)를 관통하여 캐비닛(10) 내부에 걸려 고정되는데, 역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양측방향으로 대칭되게 돌출된 걸림턱(53b)이 하단에 형성된 중심부(53a), 힌지판(51)을 누름과 동시에 손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중심부(53a)의 상단에서 양측부로 대칭되게 연장된 제1누름부(53c)와 제2누름부(53d)로 정의된다. 걸림턱(53b)은 가로길이(L)가 삽입구(10e) 및 결합구(54a)의 직경(D)보다 약간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누름부(53c)와 제2누름부(53d)의 하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게 이루어져 관통공(51c)의 주변부를 내리 누르는 제1압박턱(53e)과 제2압박턱(53f)이 각각 마련된다. 이 때, 압박턱(53e)(53f)과 걸림턱(53b) 사이의 수직거리(G)는 힌지판(51)의 두께 및 캐비닛(10) 외상(10a) 과 보강판(54)의 두께를 합한 것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통공(51c)과 키홈(10f)이 형성된 삽입구(10e) 및 결합구(54a)를 통해 걸림턱(53b)이 마련된 중심부(53a) 하단을 캐비닛(10)내로 삽입한 후, 고정레버(53)를 약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걸림턱(53b)은 키홈(10f)를 벗어나 결합구(54a) 주변부에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작동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를 통한 도어의 조립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후방고정돌기(51b)를 후방고정홈(10d)에 끼운 후 힌지판(51)을 하측으로 내리면, 전방고정돌기(51a)가 전방고정홈(10c)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판(51)은 힌지축(52)이 캐비닛(10) 앞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며, 관통공(51c)은 캐비닛(10) 외상(10a)과 보강판(54)에 형성된 삽입구(10e) 및 결합구(54a)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레버(53)의 중심부(53a) 하단을 관통공(51c)과 키홈(10f)이 형성된 삽입구(10e) 및 결합구(54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캐비닛(10) 내측으로 삽입한 후, 제1,제2누름부(53c)(53d)를 누르면서 고정레버(53)를 약 90도 정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턱(53b)은 키홈(10f)을 벗어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54a) 주변부의 보강판(54) 밑면에 걸리고 제1,2압박턱(53e)(53f)이 관통공(51c) 주변부의 힌지판(51) 상면을 내리 누름으로써, 힌지판(51)은 캐비닛(10)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축(52)을 도어(3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축결합공(33)에 삽입하고, 도어(30)의 일측 하단을 하힌지(40, 도 2참조)를 통해 캐비닛(10) 하단에 결합하면, 도어(30)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이러한 대형 냉장고는 외관이 너무 커 아파트 등의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으며 무게 또한 상당하여 캐비닛(10)으로부터 도어(30)를 분해하여 운반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레버(53)를 통해 도어(30)를 쉽게 분해할 수 있다.
즉, 고정레버(53)의 제1누름부(53c)와 제2누름부(53d)를 잡고 조립 시와 반대방향으로 이를 90도 회전시켜 걸림턱(53b)을 결합구(54a)와 일치시킨 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고정레버(53)는 캐비닛(10)으로 분해된다. 계속하여 힌지판(51)의 일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도어(30)의 축결합공(33)으로부터 힌지축(52)이 분해됨과 동시에 힌지판(51) 역시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고, 도어(3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하힌지(40)로부터 도어(30) 일측 하단을 빼내면 도어(30)와 캐비닛(10)이 손쉽게 분해된다. 그리고 분해된 도어(30)와 캐비닛(10)을 설치장소로 운반한 후, 분해과정의 역순으로 고정레버(53)를 통해 도어(30)를 조립함으로써, 도어(30)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에 의하면, 캐비닛의 상면 외상을 관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레버를 통해 힌지축이 마련된 힌지판이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도어의 분해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설치장소의 변경 및 유통 중에 고정레버를 통해 도어를 분해하여 운반한 후 별도의 공구없이 다시 조립할 수 있어 이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냉장고의 생산라인에서도 도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 단부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힌지축이 마련된 힌지장치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상기 힌지장치는,일단에 상기 힌지축(52)이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10) 일면에 결합되도록 타단에 고정돌기(51a)(51b)와 관통공(51c)이 형성된 힌지판(51),상기 캐비닛(10)의 일면 외상(10a)에 상기 고정돌기(51a)(51b)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마련된 고정홈(10c)(10d) 및 상기 관통공(51c)과 연통되게 마련되며 반경방향으로 키홈(10f)이 형성된 삽입구(10e),상기 힌지판(51)을 고정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51c)과 상기 삽입구(10e)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레버(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레버(53)는,하단이 상기 관통공(51c)과 상기 삽입구(10e)를 통해 상기 캐비닛(10)내로 삽입되며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캐비닛(10)내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53b)이 형성된 중심부(53a), 상기 중심부(53a)의 상단에서 양측부로 대칭되게 연장되며 상기 힌지판(51)을 압박하도록 하단에 압박턱(53e)(53f)이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누름부(53c)와 제2누름부(53d)를 구비하는 'T'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캐비닛(10)의 외상(10a)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53b)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구(10e)와 대응하게 결합구(54a)가 형성된 보강판(5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힌지판(51) 타단의 전방 양측에 절결하여 형성된 한쌍의 전방고정돌기(51a)와 후방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후방고정돌기(51b)를 구비하며,상기 고정홈은 상기 캐비닛(10) 외상(10a)에 상기 한쌍의 전방고정돌기(51a)가 삽입되는 한쌍의 전방고정홈(10c)과 상기 한쌍의 후방고정돌기(51b)가 삽입되는 한쌍의 후방고정홈(10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8946U KR200169565Y1 (ko) | 1999-02-05 | 1999-09-07 |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1717 | 1999-02-05 | ||
KR19990001717 | 1999-02-05 | ||
KR2019990018946U KR200169565Y1 (ko) | 1999-02-05 | 1999-09-07 |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9565Y1 true KR200169565Y1 (ko) | 2000-02-15 |
Family
ID=2663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8946U KR200169565Y1 (ko) | 1999-02-05 | 1999-09-07 |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9565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62561A1 (en) * | 2019-05-21 | 2021-03-04 | Whirlpool Corporation | Hinge bracket assembly |
US20210355727A1 (en) * | 2019-05-21 | 2021-11-18 | Whirlpool Corporation | Hinge bracket |
CN115111858A (zh) * | 2022-02-28 | 2022-09-27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60A (zh) * | 2022-02-28 | 2022-09-27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59A (zh) * | 2022-02-28 | 2022-09-27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冰箱 |
-
1999
- 1999-09-07 KR KR2019990018946U patent/KR2001695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62561A1 (en) * | 2019-05-21 | 2021-03-04 | Whirlpool Corporation | Hinge bracket assembly |
US20210355727A1 (en) * | 2019-05-21 | 2021-11-18 | Whirlpool Corporation | Hinge bracket |
US11939801B2 (en) * | 2019-05-21 | 2024-03-26 | Whirlpool Corporation | Hinge bracket |
US11970895B2 (en) * | 2019-05-21 | 2024-04-30 | Whirlpool Corporation | Hinge bracket assembly |
CN115111858A (zh) * | 2022-02-28 | 2022-09-27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60A (zh) * | 2022-02-28 | 2022-09-27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59A (zh) * | 2022-02-28 | 2022-09-27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58B (zh) * | 2022-02-28 | 2024-02-27 | 海信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59B (zh) * | 2022-02-28 | 2024-05-24 | 海信冰箱有限公司 | 冰箱 |
CN115111860B (zh) * | 2022-02-28 | 2024-05-24 | 海信冰箱有限公司 | 冰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45979B2 (ja) | 冷蔵庫 | |
EP4098961A1 (en) | Refrigerator | |
US8366221B2 (en) |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6070300A (en) | Refrigerator door supporting structure | |
EP3926274A2 (en) | Refrigerator | |
CN101896782B (zh) | 冰箱的制冰组件 | |
KR200169565Y1 (ko) |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 |
US11821676B2 (en) | Refrigerator | |
EP1535542B1 (en) | Showcase | |
CN101918779A (zh) | 用于冰箱的门铰链组件以及组装该门铰链组件的方法 | |
KR100200797B1 (ko) | 냉장고 | |
EP1535543A1 (en) | Showcase | |
KR100207023B1 (ko) | 냉장고 | |
KR100653055B1 (ko) | 김치냉장고 | |
KR200168018Y1 (ko) | 냉장고의도어 힌지장치 | |
KR19990026732A (ko) | 냉장고 | |
KR100299228B1 (ko) |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 |
KR100324511B1 (ko) |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 |
KR100673783B1 (ko) |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 |
JP4097347B2 (ja) | 貯蔵庫 | |
KR19990042364A (ko) |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 |
CN216921769U (zh) | 冰箱 | |
KR200189341Y1 (ko) | 서고용 잠금장치 | |
KR100299230B1 (ko) |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 |
KR200278242Y1 (ko) | 도어 장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