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242Y1 - 도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242Y1
KR200278242Y1 KR2020020009193U KR20020009193U KR200278242Y1 KR 200278242 Y1 KR200278242 Y1 KR 200278242Y1 KR 2020020009193 U KR2020020009193 U KR 2020020009193U KR 20020009193 U KR20020009193 U KR 20020009193U KR 200278242 Y1 KR200278242 Y1 KR 200278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unting
bracket
present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2020020009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242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열고 닫기 위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의 마주보는 측면이 상기 도어가 여닫힐 수 있도록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상기 도어가 여닫히는 방향을 선택하여 상기 도어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피장착물의 장착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으로써 상기 브래킷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장착구조 { Structure for mounting a door }
본 고안은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장착물에 도어를 장착시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관계없이 도어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을 굽는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 반죽을 냉동, 해동, 발효 및 보관하는 도우 컨디셔너(dough conditioner) 및 냉장냉동기 따위와 같은 식품기기나 제과제빵기기는 그 내부에 보관실이나 조리실이 마련되어 있고, 이 보관실이나 조리실의 출입구 부위에는 보관실이나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식품기기나 제과제빵기기의 도어는 통상적으로 그 상, 하단 일측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은 식품기기나 제과제빵기기의 본체, 즉 피장착물의 조리실 출입구 부위에 장착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사용자가 도어에 장착된 손잡이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보관실이나 조리실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축에 의하여 도어가 피장착물에 지지되면 한쪽 방향으로만 도어를 여닫아야 하기 때문에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도어를 여닫는 행위가 불편하게 되는 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어는 오른손잡이가 대다수인 현 국내의 실정을 반영하여 우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장착되고, 피장착물은 그 좌측에 벽 또는 물건 등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보관실이나 조리실 내에 반죽 등을 넣거나 꺼내는 작업이 거치적거리게 될 것이다.
특히 임의의 공간에 자주 옮겨 놓고 사용할 수밖에 없는 특성을 가진 기기는더욱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코자 사용자가 직접 피장착물로부터 브래킷을 떼어 내고 원위치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떼어낸 브래킷을 다시 체결수단으로써 장착하여 본래의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브래킷을 체결수단으로써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 등을 천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떼어낸 브래킷을 장착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어긋난 위치에 브래킷이 장착되어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아니하는 경우가 초래된다.
따라서 브래킷을 떼어낸 자리에 흠집이 남게될 뿐만 아니라 작업 중 도어와 피장착물에 흠집 또는 손상이 생겨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뒤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열고 닫기 위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도어의 여닫히는 방향을 변경하는 작업을 직접 손쉽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장착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2 : 관통구멍
20 : 브래킷 21 : 지지부
21a : 힌지축 22 : 체결부
30 : 장착부 B : 볼트
D : 피장착물 D' : 장착면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마주보는 측면이 상기 도어가 여닫힐 수 있도록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상기 도어가 여닫히는 방향을 선택하여 상기 도어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피장착물의 장착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으로써 상기 브래킷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장착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제과제빵기기 중 도우 컨디셔너(dough conditioner)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 장착구조는 일측에 손잡이(11)가 마련된 도어(10)의 마주보는 측면, 즉 상단 및 하단의 한쪽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12)에 의해 도어(10)가 여닫힐 수 있도록 브래킷(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다음 상기 도어(10)가 장착되는 도우 컨디셔너의 본체, 즉 피장착물(D)이 설치되는 공간 내의 구조에 따라 도어(10)의 여닫히는 방향을 선택하여 도어(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피장착물(D) 내에 마련된 조리실(C)의 출입구의 양측, 즉 도어(10)가 장착되는 피장착물(D)의 장착면(D')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3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브래킷(20)을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브래킷(20)은 장착부(30)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바, 상기 체결수단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하기 용이한 볼트(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30)는 도어(10)를 도면에서 보아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도어(10)가 지지된 각 브래킷(2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면(D')의 네 모서리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30)는 브래킷(20)을 볼트(B)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이고, 상기 체결구멍은 도어(10)를 보다 견실하게 지지하기 위해 각 위치마다 2개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장착면(D')의 배면 일부에는 체결구멍을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부(31)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체결구멍은 장착면(D')에서 돌출부(31)까지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피장착물(D)의 우측에 벽 또는 물건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통상적인 개방방향인 우측, 즉 정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피장착물(D)의 장착면(D') 우측에 배치된 장착부(30)에 브래킷(20)을 체결시키고, 반대로 상기 피장착물(D)의 좌측에 벽 또는 물건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왼쪽, 즉 역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도어(10)를 180˚회전시킨 다음 피장착물(D)의 장착면(D') 좌측에 배치된 장착부(30)에 브래킷(20)을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의 장착부(30)에 도어(10)를 장착하였을 경우 장착부(30), 즉 체결구멍 중 어느 일측의 체결구멍은 외부에 노출되는 바, 이는 미관을 저해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므로 상기 볼트(B)로써 브래킷(20)이 체결되지 아니하는 체결구멍에도 볼트(B)를 결합시켜 놓는다.
한편 상기 브래킷(20)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관통구멍(12)에 삽입되어 도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21a)이 형성된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볼트(B)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22)로 구성된다.
또 한편 상기 도어(10)는 180˚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형상이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장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
우선 도어(10)의 각 관통구멍(12)에 브래킷(20)의 지지부(21)에 형성된 회전축(21a)을 삽입한 후 피장착물(D)의 우측에 벽 등이 있을 경우, 장착면(D')의 우측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30)와 브래킷(20)의 체결부(22)에 형성된 구멍이 일치하도록 배치시킨 다음 볼트(B)를 체결부(22)의 구멍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장착부(30)에 결합시킨다.
물론 브래킷(20)이 장착되지 아니한 좌측 상, 하측의 장착부(30)에는 볼트(B)를 결합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10)를 벽 등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음과 아울러 피장착물(D)의 조리실(C) 내에서 반죽 등을 꺼내거나 넣는 행위를 거치적거림 없이 행할 수 있다.
다음 반대로 피장착물(D)의 좌측에 벽 등이 있을 경우, 먼저 브래킷(20)을 장착부(30)에 체결시킨 볼트(B)를 풀어 피장착물(D)로부터 브래킷(20)을 떼어 낸 다음 반대편, 즉 장착면(D')의 좌측 상, 하측 장착부(30)에 결합된 볼트(B)를 풀어 보관한다.
그리고 브래킷(20)을 떼어냄으로써 피장착물(D)로부터 분리된 도어(10)를 180˚회전시킨 다음 장착면(D')의 좌측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30)와 브래킷(20)의 체결부(22)에 형성된 구멍이 일치하도록 배치시킨다.
다음 볼트(B)로써 브래킷(20)을 장착부(30)와 체결시키고, 브래킷(20)이 장착되지 아니하는 우측 상, 하측의 장착부(30)에 장착면(D')의 좌측 상, 하측 장착부(30)로부터 풀어 보관하였던 볼트(B)를 결합시킨다.
물론 이때에도 사용자는 도어(10)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고, 조리실(C) 내에서 반죽 등을 꺼내거나 넣는 행위를 거치적거림 없이 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착부(30)의 위치가 생산시 미리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10)의 여닫는 방향을 변경하는 작업이 숙련되지 아니한 사용자도 손쉽게 시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도우 컨디셔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다방면에 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로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조리실(C)이 구획되어 있는 피장착물(D)의 각 조리실(C)을 개폐하기 위하여 장착된 도어(10')에도 적용됨으로써 각 도어(10')의 개폐되는 방향을 한 방향으로 일치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장착구조는 피장착물의 장착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장착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도어가 여닫히는 방향을 선택하여 도어를 장착할 수 있어 종래 기술에서의 도어가 한쪽 방향으로만 여닫힘으로써 발생하였던 번거로움이 간단하게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부의 위치가 생산과정에서 미리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순히 볼트를 풀고 도어를 180˚회전시켜 다시 체결하면 됨으로 작업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의 사용자가 직접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발생되었던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미관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도어(10)의 마주보는 측면이 상기 도어(10)가 여닫힐 수 있도록 브래킷(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어(10)가 장착되는 피장착물(D)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에 따라 상기 도어(10)가 여닫히는 방향을 선택하여 상기 도어(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0)가 장착되는 피장착물(D)의 장착면(D')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30)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으로써 상기 브래킷(20)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는 일측의 장착부(30)에 장착시 정방향으로 여닫히도록 장착되고, 타측의 장착부(30)에 장착시 상기 도어(10)를 180˚회전시킨 다음 역방향으로 여닫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0)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이고,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 중 상기 브래킷(20)이 볼트(B)로써 체결되지 아니하는 어느 한쪽의 체결구멍에는 미관상 상기 볼트(B)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구조.
KR2020020009193U 2002-03-28 2002-03-28 도어 장착구조 KR200278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93U KR200278242Y1 (ko) 2002-03-28 2002-03-28 도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93U KR200278242Y1 (ko) 2002-03-28 2002-03-28 도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242Y1 true KR200278242Y1 (ko) 2002-06-20

Family

ID=7312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193U KR200278242Y1 (ko) 2002-03-28 2002-03-28 도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JP3045979B2 (ja) 冷蔵庫
KR100877989B1 (ko) 냉장고용 도어
KR100436277B1 (ko) 냉장고의 전도방지장치
US20090179539A1 (en) Refrigerator door stop
KR20030061672A (ko) 냉장고
KR100514910B1 (ko) 벽면매입형 냉장고
US11795745B2 (en) Furniture hinge
US20110030417A1 (en) Refrigerator
KR20090080243A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구조와 그 조립방법 및 냉장고
KR200278242Y1 (ko) 도어 장착구조
WO2016177418A1 (en) Door hinge assembly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0503503B1 (ko) 냉장고
KR100200797B1 (ko) 냉장고
US11988437B2 (en) Refrigerator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200265317Y1 (ko) 개폐식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100238049B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 장치
KR200348439Y1 (ko)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KR200308198Y1 (ko) 김치저장고 도어 힌지조립체의 임시 결합구조
KR100700616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힌지커버구조
KR100238655B1 (ko) 냉장고의 도어 결합구조
KR100828327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온도 보상 장치
KR19980073484A (ko) 냉장고
KR200168018Y1 (ko) 냉장고의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